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4

  • 작성자
    Lv.71 고마나루
    작성일
    09.08.06 22:51
    No. 1

    확실한 건 아니구요,
    원통형 건물도 종류가 여러개일텐데...
    장원이라고 하셔서 맞는지 모르겠네요.
    고대 중국의 경우, 민족의 이동이 지금처럼 활발하지 않아서
    지역민이 존재했었는데요. 당시 지역민들간의 세력다툼이라던지,
    북방민족의 침입이라던지, 타지역민들이 이주했을 경우
    토착민들로부터의 침입에 대비해서 만들어진게 고대 중국의 원통형
    집이라고 알고 있어요.
    보통 출입구는 몇 개로 한 정되어 있고, 바깥을 향한 창문보다 안쪽을
    향한 창문이 훨씬 많은 편이죠,
    건물의 일층은 보통 잘 안쓰구요(기억이 안나서 이유는 모르겠네요)
    일반적으로 주위에 논밭이나, 지형을 이용해 방어가 용이한 곳에
    지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보통 목조형 건물보다는 흙을 이용한 건물이 많죠.
    목조 건물은 본 적이 없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연담지기
    작성일
    09.08.06 23:11
    No. 2

    짤방용 추천은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연담지기
    작성일
    09.08.06 23:11
    No. 3

    추천을 자제하는게 아니라 추천을 짤방 취급하는 글을 자제해달란 말씀입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지옥마제
    작성일
    09.08.07 01:19
    No. 4

    진짜 궁금해서 그럽니다 짤방이 멉니까?ㅡㅡ;;
    덧, 문피아 운영진분들만큼은 일본풍 줄임말이나 10대분들이 쓰는 유행어를 안쓰시면 좋겠다는...줄임말도 포함입니다
    그리고 정말 짤방이란말이 먼지 모릅니다 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고산팔벽
    작성일
    09.08.07 04:08
    No. 5

    짤방 첨들어보내요 ;;; 궁금하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4 하루下淚
    작성일
    09.08.07 08:29
    No. 6

    짤방=짤림방지용



    예전 웃대나 디씨 에서 본문이 관심 받지 못할거 같아서 유명연예인이나 다소 노출이 있는 사진을 첨부하는 행위 를 일컫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닐 수 도 있어요. 하하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늘늘
    작성일
    09.08.07 08:44
    No. 7

    PC통신 시절, 게시판에 일정 기간동안 글을 올리지 않으면 해당 아이디가 짤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걸 방지하려고 그때마다 간단한 글이나 사진 따위를 하나씩 올리는 것을 짤림방지라고 불렀는데, 언젠가부터 적색의기병 님이 말씀하신 쪽으로 변하더군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黑月舞
    작성일
    09.08.07 09:50
    No. 8

    디씨의 경우 본문이 관심 받지 못할거 같아서 짤방을 올리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은 그 정체성이 모호해졌으나 원래 디씨인사이드는 디지털카메라 사용자들을 위한 사이트였습니다. 그리고 자작 사진들을 올리기 위한 '갤러리' 라는 게시판이 존재했습니다. 그 때문에 꼭 그림파일을 첨부해야만 하는 이용규칙이 있죠.
    '갤러리' 이기에 꼭 그림파일이 하나 이상 올라가야 합니다. 지금은 그냥 사람들이 모여서 잡담하는 장소로 변해버렸지만서도.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41 격암
    작성일
    09.08.07 10:39
    No. 9

    지역별로 틀리다 알고 있는데.. 원통형 집구조는 서남쪽.. 산서지방 특징으로 알고있는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7 sesedad
    작성일
    09.08.07 11:41
    No. 10

    아마도 복건 지역의 客家 土樓를 보신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별가別歌
    작성일
    09.08.07 12:17
    No. 11

    이거 예전에 드라마에도 나왔었습니다. 카인과 아벨에서 소지섭이 중국에 갔을 때. 그때 무료봉사할 때 나왔었죠. 저도 굉장히 인상 깊어서 찾아봤었었다는. 다만 기억은 잘 안나는데.. sesemom님 말씀이 맞을 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이싸毁毁毁
    작성일
    09.08.07 15:05
    No. 12

    아하 객가인들의 모습이었군요.
    짤림방지 추천글은 죄송합니다. 다음부터 주의하겠습니다.
    베타적인 객가인들의 거주공간 이라면 대충 감이 잡히네요.ㅎㅅ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뻘줌대마왕
    작성일
    09.08.07 20:04
    No. 13

    에..원통형구조는 제가 알기론 근대에 와서 지어진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아님 말구용 중국문화수업을 거의 안들어서..ㅡ.,ㅡ
    그냥 책엔 그렇게 나와있네용
    해외로 이민간 한족이 집을 높게올려 모여살았다고요
    대가족이 아니라 여러 가족이 같이산걸로 알고있어용
    근대라는 말은 미국에 차이나 타운이 생기기전..후..??
    졸업한지가 오래돼서 가물가물...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비무장산적
    작성일
    09.08.07 23:52
    No. 14

    sesemom의 말씀이 맞네요.

    부연 설명을 덧붙이자면 객가라고 하는 일족들의 주거 형태인데 이 객가들은 근거지가 없이 중국 전역을 떠돌아 다니던 사람들이었습니다.

    어떤 학자들은 당나라 황실의 후예라고도 하고 또 어떤 이들은 위구르 땅의 본래 주인들이라고도 하는데 아무튼 오랫동안 중국을 떠돌아 중국의 집시라는 명칭까지 있습니다. 그러다가 명나라 때 복건성등과 같은 중국 남부 지방에 정착하게 됩니다.

    객가들은 학문에 조예가 깊은 사람들로 주로 상업에 종사해 지니고 있던 재물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본래 중국인<특히 남부인>은 타지에서 흘러들어 온 사람들을 싫어하는 경향이 짙었고 또 이 객가들이 장사해 번 돈에 욕심이 일어서 종종 객가들의 집단 거주지를 약탈하는 경우가 잦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태어난게 그 원통형 주택이죠. 원주민들이 밤을 틈타 약탈하러 오는 것을 막고 또 객가인들의 전통과 일족 우호를 다지는 삶의 지혜, 그 정수라 할 수 있는 건축물이죠.

    의외로 매우 방호가 단단합니다. 화공은 물론 공성 장비에도 견딜 정도로 단단하며 암구호 시스템이 매우 정밀해서 안의 사람이 허락하지 않는 한 밖의 사람은 절대로 그 안으로 들어가질 못한다고 합니다.


    객가에 대해 더하여 말하자면 명나라 이후 정제독의 대원정 이후 동남아 일대의 중국 거주지로 활발히 이주한 사람들도 거의 객가의 사람들이었고 또 지금의 동남아 경제를 좌지우지 하는 화교들 중에는 본토인들보다는 이 객가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역사적 위인으로는 중국 공산당으로서 항일 전쟁에 지휘관으로 유명한 주은래가 있습니다. 그는 객가 출신이었기 때문인지 배타적인 중화주의보다는 타민족과의 융합을 주창했습니다. 조선 역사를 폄하하는 당시의 기류에 경고를 보내는 등 한국과도 조금은 인연이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