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4

  • 작성자
    서아
    작성일
    06.01.18 00:34
    No. 1

    음 저는 호흡이 느리다가
    첫째 라고 생각 하는데요.
    예를 들어 싸움을 벌였는데 연달아 싸움이 계속 나서 긴장 상태를 유지 하게 되는 그런게 짧은거라 생각 되고
    느긋하게~ 주변 풍경도 설명 해주고 등장 인물들의 모습도 설명 해주는 그런것들이 호흡이 길다 라고 하는거라고 이해 하고 있었습니다.
    저는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89 첫째별
    작성일
    06.01.18 00:35
    No. 2

    진도가 느리다기보다 어떤 특정사건과 주위 환경이 변화기 전까지 어떤 장면이 길~~게 길게 가는것 아닐까요??진도 자체보다 하나의 사건(장면)이 세세하게 표현되는걸 말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결론은 진도 내요....이런....
    아, 단순히 제생각이예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소울[疎鬱]
    작성일
    06.01.18 00:35
    No. 3

    호흡이 길다...대표적인게...군림천하가 아닐듯.....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81 프리먼
    작성일
    06.01.18 00:43
    No. 4

    장면전환이 잦지않다...랄까요?

    그녀는 학교에 갔다. 학교에서 수업을 받았다. 수업이 끝나고 집에왔다.

    세장면이죠.

    그녀는 학교에 갔다. 가면서 이것 저것을 보고, 이런일을 겪었다. 그러면서 속으로는 이러한 생각을 했고, 결국은 그것까지 생각을 했다. 그런생각에 빠져 누구와 부딛히고. 그는 누구였다.

    이런식으로 한장면이죠. 음..영화로 치자면 한세트장에서 여러씬을 찍는다고 비유할수 있겠는데요. 호흡이 길면서 진도가 빠를수도 있습니다.

    뭔가 대단히 추상적인 개념이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힘든데요..그냥 한 세트장에서 여러 씬을 찍듯이 장면전환(그러니까 배경정도..?)이 잦지 않은정도로만 이해를 하시면 될겁니다.

    아니면 장면전환이 느리게, 혹은 물흐르듯 자연스럽게 바뀌거나요.

    이럴경우 장면과 장면사이의 차이를 확연히 느끼기 힘들기때문에 한호흡으로 간주하게되어 호흡이 길다라고 느끼게 됩니다.

    뭐...이정도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一生懸命
    작성일
    06.01.18 00:47
    No. 5

    호흡이 길다 는....

    개콘에 나옵미다..

    자세한 뉴스라고...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4 극성무진
    작성일
    06.01.18 01:00
    No. 6

    문장과 스토리에 진행 전체를 다 말하는 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火靈
    작성일
    06.01.18 01:15
    No. 7

    이 소설은 호흡이 긴 소설이다 머 그런 말은 하는것은
    글의 진도가 느리거나 문장이 긴 소설을 의미한다고 보긴 어려울것 같네요! 꼭 아니라고도 말 못하겠지만...-_-;;

    이글이 재미있다 없다도 개인적인 취양에 의한것이겠지만
    호흡이 길다 짧다 느끼는 부분도 어느정도 개인취양에 기인한다 생각합니다.

    요즘 나오는 장르소설을 보다보면
    대여점 중심체제에 맞추다보니 초기의 반짝이는 소재로 관심을 끄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흐지부지 마무리 되는소설들이 많죠!
    그러다 보니 어떤 글자체의 묘사보다는 상황이나 파격적인 설정등으로
    전체적인 글의 균형보다는
    순간순간의 재미만 주려는 시도가 많고...
    그러다 보니 개연성도 떨어지고 결국 가벼운 글이 되는거죠!
    물론 이런글들도 읽는 그순간에는 아무생각없이 재밌게 읽겠죠!

    하지만 너무 그런 글들에 익숙해지다 보니 소위 작품성있다고 평가되는 작품들은 그런 글들에 익숙해진 시각으로 보면 지루하고 그런거죠!
    감상란이나 그런데서 그런 작품성있게 평가된 소설을 보고 지루해서 1권만 보다 집어던졌다..
    머 이런 표현을 자주보게 되는데...물론 정말 자신의 취양에 맞지 않았을수도 있겠지만 소수는 싸우는 사건이나 주인공이 얼마나 강해지는가? 머 그런부분에만 초점을 맞춰보다보니 그 글의 문장이나 묘사가 얼마나 잘되어 있는지...감동을 주는지 느끼지 못하는게 아닐까 싶더군요!

    호흡이 긴 소설이란 표현은 개인취양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 소설을 음미? 하면 할수록 더욱 좋은글로 다가오는 그런소설을 두고 하는 말일겁니다..글 전체적인 흐름을 통해서 더욱 완벽해지는 그런 글들 말입니다.
    그러니까 호흡을 길게 가지고 천천히 음미하면서 맛을 보라는거죠^^
    여기서 호흡이 긴소설이란 말이 나오지 않았나 싶네요.

    먼가 머릿속에 든것을 글로 쓸려니까 정리가 안되는 느낌이지만...
    대충 이런 의미로 생각하시면 틀리지는 않을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5 동자치
    작성일
    06.01.18 01:30
    No. 8

    고무판에서 보통 작품 전체를 두고 말하는 거니까 윗분들이 얘기하시는것처럼 장면이나 상황전환이 잦지 않은걸 말하죠.

    하지만 다른 상황에서 "이 글은 참 호흡이 긴 것 같아"라고 말하면 "이 글"이 의미하는게 문장인지 작품인지에 따라 문장이 길다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 (시험볼때는 문장이 길다라는 의미로 많이 쓰였던듯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파령
    작성일
    06.01.18 02:08
    No. 9

    제 생각엔 호흡은 임팩트의 순간과 완만한 순간의 거리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소설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기억에 강하게 남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부분을 확실히 부각시켜서 재미를 돋우고, 분위기를 낮춰서 다음 임팩트에서의 재미를 더욱 증가시키는 기법을 사용합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소설의 '강약'을 조절하는데, '강'이 한 번 찾아오고 다음의 '강'을 기다리는 사이의 '약'의 길이가 길다는 것을 뜻하는 게 아닐까 합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6;;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이영신
    작성일
    06.01.18 02:39
    No. 10

    아마도 영어에 대한 반발심으로 일어난 언어인 것 같습니다.

    보통은 템포 [tempo]가 느리다 빠르다, 라고 표현하지만......

    솔직히 호흡에 대하여서는 들어본 적이 없군요.

    죄송합니다.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였군요.^^

    아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5 동심童心
    작성일
    06.01.18 08:18
    No. 11

    흠...단전호흡에서 호흡이 고르고 길수록, 수련이 높으다지요?
    예로...고승들은, 한번숨을 쉬면, 숨을 쉬는것도 느끼지 못할정도로,
    작게, 고르게, 깊게, 길게......등등...-_-;이라는 소리를 들은적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5 동심童心
    작성일
    06.01.18 08:18
    No. 12

    관련있을듯, 없을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2 강오환
    작성일
    06.01.18 08:20
    No. 13

    이영신님// 템포랑 호흡은 약간 차이가 있다고 생각되네요.
    동심님// 그런거란은 좀 다르다고 생각되네요;;

    호흡. 은 호흡이죠 뭐 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사란
    작성일
    06.01.18 13:09
    No. 14

    오옷 - 좋은 정보 !

    찬성: 0 | 반대: 0 삭제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