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5

  • 작성자
    Lv.4 3MUITNEP
    작성일
    05.09.14 01:48
    No. 1

    글을 지웠다가 다시 생겨서 그런게 아닐까요??? 아직 읽어보지도 않아서 순전히 저의 추측입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서하(瑞河)
    작성일
    05.09.14 01:57
    No. 2

    수작중의 수작이라 할 수 있는 글입니다.
    오수영 작가님이 벌써 몇년에 걸쳐 집필중인 대작이기도 하지요.
    이유는 단 하나, 무협이 아니라 정통 역사소설이라는 점이지요.
    아무래도 그점이 독자들에겐 부담이 되는 듯합니다.
    하지만 출판이나 조회에 연연해하지 않고, 작가님은 성실연재를 하고 계시지요. 소생의 생각으론 고무판을 풍성하게 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바람으론 많은 분들이 읽으셨으면 한다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0 약먹은인삼
    작성일
    05.09.14 02:41
    No. 3

    가볍게 읽기엔 버거운 소설입죠. 네... 먼치킨물에 적응된 독자들에겐 읽기 힘들어지는 소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滅魂
    작성일
    05.09.14 04:09
    No. 4

    먼치킨물에 적응된 독자=가벼운 글 이외에는 읽을 수 없다?

    이건 무슨 논리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0 약먹은인삼
    작성일
    05.09.14 04:42
    No. 5

    먼치킨물에 특징중 하나가 주인공에게 너무 과도한 힘이 주어진다는 겁니다. 세상만사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힘이 집중된 상태.
    그리고 모두에게 불가능이라 여겨지는 일들을 척척해 나가죠. 여기서 독자들은 대리만족을 느낍니다.
    통쾌함. 호쾌함이 주된 즐거움이죠.

    이러한 글을 읽을수록 소위말하는 정통과는 거리가 멀어집니다. 언덕이 있다한들 넘어가며 힘겨움과 쟁취를 즐기기보다는 훌쩍 넘고 날아가기를 바라죠. 하지만 현실이 어디 그렇습니까?
    해결과정중에 생기는 오해. 치열함. 복잡다난함은 머리를 감싸게 만들죠.

    오수영님의 글은 저도 봐서 알지만 연령대로 치자면 20대 후반은 족히 되야할 겁니다. 뭐.. 몇몇 조숙하신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말이죠. 나이로 구분을 해서 죄송하긴 하지만 소위 말하는 상업성 소설. 학원물에 신데렐라성 사랑이야기들은 청소년층에게 맞는 부류죠. 꿈과 상상을 더하기에 그만인 글들.

    습관은 무서운 겁니다. 비록 '난 아냐.'라 할지라도 온갖 기연이 난무하고 절대무적. 호쾌무비함을 많이 봐왔다면 오수영님의 글은 짜증이 나리만큼 여겨질게 분명합니다. 처음엔 견디겠지만 나중에는 지레 지치고 말죠. 각각의 주인공들이 머릿속에서 정립이 안되고 따로 놀게 되거든요. 가볍게 읽는게 습관화 되면 말입니다.

    때문에 그런 말을 했던겁니다.
    음.. 간단한 변명이 너무 길어졌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창월
    작성일
    05.09.14 05:55
    No. 6

    나이로 구분하시는건 찬성할 수 없네요 삼국영웅은 10대 후반에도 충분히 읽을 수 있습니다. 신데레랄성 이야기가 청소년에게 맞는 부류라고 단정하시면 문제가 심각하죠^^(청소년들이 그런 책만 읽는다면;;ㅋ) 먼치킨물에 익숙한 독자는 가벼운 글만 읽는다기 보다 고무림에 들어오는 목적이 호쾌한 소설에 있기 때문이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하늘소ii
    작성일
    05.09.14 07:41
    No. 7

    어디에나 예외는 있는거죠. 어린층들에겐 안맞는 소설도 있다는
    겁니다. 가장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삼국지와 열국지 차이겠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20 약먹은인삼
    작성일
    05.09.14 10:25
    No. 8

    음... 1년전이었나... 대학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대여된 책.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본 책이 '묵향'이라는 신문기사가 생각나네요.
    시간이 지났으니 지금은 많이 바뀌었기를 바랄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SOSLE
    작성일
    05.09.14 10:30
    No. 9

    하늘소님 말은 별로 무게가 없는게 전 삼국지는 중3때 억지로 1번 읽었고 열국지는 6학년때 무려 5번이나 읽었는데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방황하는
    작성일
    05.09.14 12:19
    No. 10

    글쎄요....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이라는 반응이실껀데 ㅡㅡ;;
    주변 둘러보세요 삼국지 읽어본사람이 많은지 열국지 읽어본 사람이 많은지...
    전 초등학교 4학년때부터 삼국지 읽어서 (삼국지 10번 안읽은사람과는 대화를 하지말라였던가 하는거에 열받아서) 중3때까지 이문열삼국지 전권 10번씩 정독했지만서두 열국지는 읽지 않았습니다
    뭐 바로 초한지와 후삼국지(맞나요 ㅡ.ㅡ촉에서 다시 통일해버리는거)
    로 넘어갔다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2 강오환
    작성일
    05.09.14 14:40
    No. 11

    아아 또 토론 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마루터기
    작성일
    05.09.14 15:07
    No. 12

    삼국진 완전 성인이 되고 나면 별로 인 소설이죠..

    삼국지는 마케팅에 의한 승리한 소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한참 감수성과 가치관을 정립해 가는 청소년들에겐 적극 권하고 싶은 책은 절대 아니죠.

    단순히 일독 정도라면 몰라도...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6 [탈퇴계정]
    작성일
    05.09.14 15:27
    No. 13

    저도 솔직히 삼국지 10대 때부터 읽었지만..... 청소년들이 읽기에는 별로

    라고 생각하는데.. 가치관이 정립될 시기인데 사회의 더러운 면을 간접체

    험 시켜주고 싶지 않다는...ㅎ

    차라리 월든! 이나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이런 따뜻하고 생각할수 있

    는 소설들을 읽었으면 합니다... 요즘 너만의 명작을 그려라는 책 재미

    있던데..^.^

    요즘 청소년들 보면 저희 시절때 많이 읽었던 오헨리 단편집이나 나의 라

    임 오렌지 나무, 위대한 개츠비 등등 마음을 성장시키는 책들 보다는 머

    리를 성장시키는 책들을 많이 보더군요... 너무 사회가 이해타산적으로

    변하는 것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 머리를 성장시킨 만큼 마음도 성장

    시킵시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4 근이
    작성일
    05.09.14 16:39
    No. 14

    삼국영웅... 정말 대작입니다...
    위에 글 보고 가서 읽기 시작 했는데... 엄청난 몰입감...
    정신 없이 읽고 있습니다... 역사물로 이정도라니...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노란병아리
    작성일
    05.09.14 21:12
    No. 15

    맞아요 대단해요 혈맥이랑 이거랑 넘 넘 좋아한다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