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2

  • 작성자
    Lv.53 글빨.
    작성일
    14.09.12 15:34
    No. 1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9.12 15:35
    No. 2

    근데 SF와 스페이스 오페라의 차이는 과학에 변수를 넣었냐 넣지 않았냐의 차이인듯 합니다.
    솔직히 스타워즈도 심층적으로 접근하면 과학의 법칙에 위배될 만한 건 없죠. 게다가 우리는 우주에 대해 아는 게 제로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굳이 과학적 기반을 세우지 않습니다.
    포스의 경우 나침반이 없어도 방향을 정확히 구분한다는 것과 상어가 눈이 없어도 자기장을 감지하여 사물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처럼요.
    게다가 과학 중에 가장 변수가 많은게 우주와 관련 된 것이기도 하구요. 즉, SF는 현재 입증된 과학이 아닌 입증되지 않은 것들을 심층적으로 다루는 것이니까요.
    예를 들면 아시모프의 소설. 아이로봇을 쓸 당시에는 로봇의 개념만 있을 뿐(강제노동) 나머지 요소는 아무 것도 없었죠. 즉, 현 과학을 가지고 SF를 바라보면 상당히 오류가 많아요. 그냥 그렇다구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6 강림주의
    작성일
    14.09.12 15:40
    No. 3

    아서 클라크의 저작들, 특히 단편집을 몇번 쭉 읽어보면 하드 SF와 스페이스 오페라가 왜, 어떻게 다르고, 어째서 스페이스 오페라가 말 그대로 우주 활극인지를 느낄 수 있으실텐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9.12 15:46
    No. 4

    물론 하드 SF와는 다르죠. 하드 SF와 스페이스 오페라는 거의 다른 개념적 장르니까요. 헤일로라고 하드 SF와 스페이스 오페라를 합친 게임도 있죠. 앞서 말했듯이 하위 SF 장르들은 잘르보다 분류나 소재로 보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2 환등
    작성일
    14.09.12 15:47
    No. 5

    쉽게가죠.
    SF에는 우주가 들어가지 않아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SF 만화중에, 이브의 시간이라는 만화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우주 이야기 하나 없고 로봇과 인간의 이야기 뿐입니다. 하지만 SF라는 걸 느낄 수 있죠.
    하지만 스페이스 오페라에는 꼭 우주가 들어가야 합니다.
    안들어가면 스페이스 오페라의 의미를 벗어나는 다른 작품이 되니까요.

    그리고 중요한 것은 과학적 상상력의 기반된 것이 SF 라고 한다면 스페이스 오페라는 과학적 상상력을 벗어난 영역의 것도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하위장르로도 구분 했었지만 지금은 너무 많이 갈라져 나와서, 이걸 같은 장르라고 말하기엔 너무 차이난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9.12 15:57
    No. 6

    음, 그쪽이 더욱 적절한 것 같습니다.(저도 비슷하게 표현하려 했지만 내묭이 산으로 가는 바람에... 저는 이만 글쓰러...!)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조단9
    작성일
    14.09.12 16:02
    No. 7

    렌즈맨과 같은 어린이용의 쉽게 나온 스페이스 오페라가 아니라면 과학의 유무로만 SF에 속하는지, 스페이스 오페라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오류가 생기기 쉬울것 같습니다.
    가령 아너 헤링턴 시리즈를 보면 분명히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에 더 가깝지만 과학적인 기반이 탄탄하거든요.
    저는 스페이스 오페라는 활극이라고 해야 할까요? 동적인 전투 등이 주가되는 SF 소설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과학적인 설정은 당연히 바탕으로 깔려 있어야 책을 읽을수 있을 거구요.
    즉, 과학의 유무보다는 주제와 그 주제를 풀어나가는 방식의 문제로 분류가 달라진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송문리
    작성일
    14.09.12 21:57
    No. 8

    언젠가 스페이스 오폐라 한번 찐하게 쓰고 싶습니다. 은영전처럼 등장인물 무지 많은 걸로.. 하하하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9.12 22:05
    No. 9

    은영전의 등장인물이 몇 명이져? 곧 은영전 읽어볼 생각이라.(저는 주인공이 8명...! 각자 가치관이 달라서 미쳐버릴 것 같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2 환등
    작성일
    14.09.12 23:27
    No. 10

    전 은영전에서 가장 매력적인 캐릭터 두개를 꼽으라면 첫번째는 키르히아이스 이고 두번째가 양웬리 인것 같아요.
    매력적인 캐릭터가 많아서 은영전이 더욱 재밌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0 po*****
    작성일
    14.09.14 03:37
    No. 11

    스페이스 오페라는 그냥 스페이스를 배경으로하는 서부극이죠. 여기에 무슨 과학이 있나요. 총, 대포, 말, 인디언 대신 신무기와 우주선, 악당이 등장하는 것 뿐이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2 환등
    작성일
    14.09.14 05:04
    No. 12

    무조건적으로 과학을 부정하진 않습니다. 예전에는 하위장르로 인정받던 시절도 있었지만 지금은 아예 다른 장르라고 봐야 하지만 과학적 요소를 모두 부정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ㅇㅇ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