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38

  • 작성자
    Lv.1 시뮤
    작성일
    11.10.20 15:49
    No. 1

    유부용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박격포
    작성일
    11.10.20 15:49
    No. 2

    글쎄요... 패밀리 레스토랑을 가족식당이라고 안 하는 것과 같은 원리 아닐까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0.20 15:52
    No. 3

    영어가 어울릴때도 있고
    한국어가 어울릴때도 있고
    그런 것 아닐까요?

    이미 영어를 혼용하고 있는 대한민국에서는
    이상할 것이 없다고 생각해요.

    영어를 쓰면 뭔가 있어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조금은 있는지도
    모르지만 저는 해당 작가님들이 아니라서 단정 지을수는 없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여비(魮)
    작성일
    11.10.20 15:56
    No. 4

    상당히 흥미있는 생각을 가지고 계신 분인 것은 알겠으나, 만약 제목을 진짜 그렇게 지었다가는 처음부터 흥미를 갖는 독자들이 많이 줄 것 같군요. 윗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영어가 어울리는 곳이 있고 한글이 어울리는 곳이 있는 것이 아닐까요?
    참고로 제 글도 제목이 영어입니다만, 이건 도저히 한글로 옮기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ㅎㅎ
    '트리플 헤드 오우거' -> 삼두괴 정도하면 될까요?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체셔냐옹
    작성일
    11.10.20 15:57
    No. 5

    재미있어지다 못해 너무 재미있어져 버렸어요! 유부용이라닠ㅋㅋ

    근데, 통계학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미국의 Beautiful Mind가 한국에 들어올 때 [아름다운 마음]이란 제목으로 번역했다가 몇 백 부 못 팔았는데 재판할 때 [뷰티풀 마인드]라는 제목으로 내놓으니까 수천 부 이상 팔린 전적이 있어서.......

    우리나라 국민성이 좀, 좀, 그래요. 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runes
    작성일
    11.10.20 15:58
    No. 6

    한글이 좋다고해도 PC를 일일이 개인용 전자해석기계라고 부를순 없는법이잖습니까?
    영어가 일상화 된만큼 어느정도까지는 감수하셔야 할듯 합니다.
    확실히 약간은 과한면도 있지만 뉘앙스라는게 있잖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바람은
    작성일
    11.10.20 15:58
    No. 7

    유부용이 포인트였었는데... 아무도 웃지 않으시네요. ㅠㅠ
    트리플 헤드 오우거는, 저는 세머리 도깨비로 해석했습니다. ㅋ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4 SbarH
    작성일
    11.10.20 16:00
    No. 8

    저도 영어 너무 많이쓴다는 감은 없지않지만..
    유부용에서 알수있듯 한국어로하면 어색한것들이 영어로하면 자연스러워보이죠 이게 한국사람만 이런건지 외국사람들도 이런건진 잘 모르겠습니다만...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바람은
    작성일
    11.10.20 16:02
    No. 9

    유부용이 어색한가요?ㅠㅠ 저는 어감이 재미있기만 한데. 유부우~~~~용!
    재미 없나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0.20 16:04
    No. 10

    정확히 표현하면 용부인이 옳은 표현이겠지요.
    유부용하면 왠지 유부로 용을 만들었다는 느낌이 든달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落淚悲哀
    작성일
    11.10.20 16:07
    No. 11

    유부녀 용 혹은 유부녀 미르 하면 되겠네요 앞의 분이 이야기하신 용부인이라던가요 . 유부 용 하니까 유부 초밥 생각이 나서 용을 유부 초밥 형식으로 유부로 감싼 느낌이 나는군요 유부에 포박당한 용이 되는건가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고운산
    작성일
    11.10.20 16:11
    No. 12

    미친..전기........
    미친..이라는 말이 어감이 별로 안 좋아보여서
    크레이지 사가라고 한 겁니다....

    흑..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0.20 16:14
    No. 13

    그러고 보니 제 글도 한국어로 직역하면
    검은 이야기에요.
    충격적이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0.20 16:28
    No. 14

    뭐랄까, 한국어로 쓰면 어감상 이상한 것들도 몇가지가 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파장
    작성일
    11.10.20 16:30
    No. 15

    정말 재미난 글이네요.

    근데 아직도 한국이라고들 부르나 보죠? 코리아가 아니고?

    본문의 의문은, 뭐 영어권인 영어판 코리아에서 영어를 워낙 잘 하는 분들이 넘쳐서 그러는 거 아닐까요?
    일단 연재 제목은 고사하고 별명(닉네임이라던가 뭐라던가?)도 영어판이잖아요?
    저처럼 영어 못하는 사람은 그저 우찌됐든 언문으로나 적을 뿐......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달의쉼터
    작성일
    11.10.20 16:32
    No. 16

    트리플 헤드 오우거가 세머리 도깨비로 해석되면 안될것 같습니다.

    오우거랑 도깨비는 엄연히 다른 생존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파장
    작성일
    11.10.20 16:35
    No. 17

    아, 요즘은 다른 조짐도 보이는 거 아닐까요?

    일본 식 이름이 굉장히 많이 눈에 띄던데.

    이제 조만간에 영어를 몰아내고 일본어가 코리안을?

    자 이제는 우리 모두 한글이라는 걸 무시하고 푸대접하던 조썬시대로 회귀하는 걸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0.20 16:48
    No. 18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특히 영어의 경우 기본 교육과정에서 어느 정도 배우기 때문에 의미상 오해는 거의 없지만 이국적인 느낌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분명 문제점이 없는 건 아닙니다. 우리나라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 각종 계획/사업 이름을 과도하게 영어로 만드는 점을 지적하는 뉴스기사도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한상소설이라고 안하고 판타지소설이라고 하지요. 쓰는 사람이나 보는 사람이나 내내 그런 점을 크게 기대하지 않는 건 아닐까요.

    그런 의미에서 예시를 드신 제목을 좀 어감 괜찮은 우리말 (+한자어) 로 재구성해보자면,

    미세스 드래곤-> 황룡여사 (그 소설에 용이 무슨 색인지를 몰라서 황룡)
    스너프 게임->살육유희
    크레이지 사가->광란전기

    이런건 어떨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파장
    작성일
    11.10.20 16:48
    No. 19

    그리고 저처럼 영어 짧은 사람은 ...파트라니 ...빈스트니 ...코프니 하는 영언지 됙일언지 그런 출연진 이름이 읽기 힘들......다기보다도 입속에서 발음도 안되고 머리 속에 들어오지도 않아,
    그 판타진지 환타진지 그런 것도 보지 못한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黑月舞
    작성일
    11.10.20 16:50
    No. 20

    한자조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은 너무 익숙한 것을 진부하게 여기게 마련입니다.
    그 때문에 똑같은 외래어 등으로 표현하면 더 참신해 보이는 거죠.
    다만 그렇다고 해서 너무 참신하다못해 이해가 안될 정도의 제목이면 또 역효과입니다. 그래서 평상시에 잘 사용하지는 않되 그래도 개략적인 뜻은 이해 가능한 영어가 널리 쓰이는 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黑月舞
    작성일
    11.10.20 16:51
    No. 21

    하지만 요새 어설픈 영단어 제목은 하도 범람해서 오히려 한글 제목이 참신해보일 지경이기는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파장
    작성일
    11.10.20 16:58
    No. 22

    영어로 쓰려면 차라리 alphabet으로 써주든지. 한글로 발음도 안되는 걸 억지로 써놓은 건 정말 사전을 찾아볼 수도 없고 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黑月舞
    작성일
    11.10.20 17:01
    No. 23

    홍길둥님//
    영어의 한글음차는 차라리 양반입니다. 비영어권 언어의 어설픈 한글음차는 손발이 오그라들 지경. 슐란지(Schlange) 같은거 볼때마다 작가한테 메일보내야 하나 망설입니다만...

    아 그래도 그중 전설의레전드는 푸르테르 가울(further gaul).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파장
    작성일
    11.10.20 17:14
    No. 24

    黑月舞 님/
    그저 웃고 말아야 되겠지요? 허허허...

    그런데 사실은 지금 세대들에게만 뭐라 할 수도 없어요.
    전세댄지 미... (죄송, 자꾸 격해지면 안되는데..) 어쨌든 뭐하는 작자들인지가 언제부터인지 영어공화국으로 꾸며 놓아버렸으니...
    그저 안타까울 뿐......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서비스
    작성일
    11.10.20 18:27
    No. 25

    교육과정에 영어가 들어가 있어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중에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식민지에서 벗어나기 전엔 안고쳐 지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카이드라
    작성일
    11.10.20 18:56
    No. 26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어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의 경우, 현재 쓰고 있는 콜드 크라운의 구상 당시의 제목은 차가운 왕관이었습니다. ^^ 그런데 제목이 뭔가 마음에 안들고 신경을 거스르더군요. 대체 뭐가 그렇게 마음에 걸리는걸까 고심을 하다가 결국 이유를 발견했습니다. 어감이 문제였던 겁니다. 실금이 가기 시작하는 살얼음판 같은 어감을 원했는데, 차가운 왕관은 ㄴ,o 발음이 많이 들어가서 너무 둥글둥글하고 부드럽더라고요. 밟아서 금이 가는게 아니라 날이 따뜻해져서 녹아가는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뭐, 어디까지나 제 느낌이 그랬다는 거지만요. 아무튼 그래서 의미는 같고 ㅋ발음이 중복되서 좀더 날카로운 어감을 가지는 영어제목으로 변경을 했었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5 레이젠
    작성일
    11.10.20 18:57
    No. 27

    뭔가 점점 얘기가 괴랄해지는데..랄까, 식민지는 뭐지 대체 식민지는.
    ....어울리는대로 쓰면 되는 일이지 그런 것을 가지고 대체 무엇을..

    글을 쓰는 분이 제목에 '이게 내 소설에 어울리겠다' 라고 생각되면 쓰면 되는거죠 뭐. 그 평가는 작가가 하는 것이 아님만 알고 있다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만비
    작성일
    11.10.20 20:36
    No. 28

    한글날 특집으로 영어제목을 한글로 바꿔보는거 했으면 재미있었을것 같네요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진정한나
    작성일
    11.10.20 21:20
    No. 29

    스너프는 한문(억지로 붙이려면 가능도 하겠지만)으로도 축약 불가능한 영역이고 유일하게 바꿀 수 있는게 미세스 드래곤을 유부녀 미르로 바꾸는 정도겠네요

    크레이지 사가는.. 그냥 크레이지면 미친놈정도로 단독사용 가능한데 사가 즉 전설(=무용=모험담)이란 말이죠 따라서 같이 붙여쓸 수가 없습니다

    사실 정확히 '미친놈(광인)전설'이라고 할려면 크레이지가 아니라 루나틱으로써야 하는게 더 맞는 표현이고 말이죠

    따라서 영어권의 중의적표현 정도로 쓸려면 결국 크레이지 사가가 가장 알맞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앞에 크레이지를 쓰는데 굳이 뒤에 전설을 붙여서 영+한문 합성어로 만들 필요는 없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2 빛의균형자
    작성일
    11.10.20 21:38
    No. 30

    그런 의미에서 저는 한글을 애용하고 있습니다.

    아.....

    다중접속놀이 용사가 되어랏!이 되어야 완전 한글인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진정한나
    작성일
    11.10.20 21:50
    No. 31

    아 참고로 스너프는 하품나오는 사전적 최대한 축약된 의미로 살인, 외설 등을 찍은 불법비디오&영화라고 합니다만.. 뭐 이런정도가 아님을 아실분들은 아시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사이다켄
    작성일
    11.10.21 00:01
    No. 32

    이거 왠지 그거 떠오르네요 중국 영화 포스터들...
    매트릭스 => 흑객제국
    트랜스포머 => 변형금강
    터미네이터 => 종결자
    미션임파서블 => 불가능적임무
    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청청루
    작성일
    11.10.21 03:36
    No. 33

    우리나라 괜히 영어식 표기 쓰는 문제가 있는 건 사실이죠. 위에 pc로 예를 드신 분의 경우는 틀린 게 그건 외국어가 아니라 외래어입니다. 뭐, 그런식으로 이름 붙일순 있지만 컴퓨터가 맞죠.
    근데 콜드 크라운 보다는 차가운 왕관이 더 날카롭고 그런 느낌이 강한 것 같은데 말이죠. 콜드보단 차가운이 좀더 의미 깊게 느껴지고 크라운은 모 브랜드때문에 너무 .... 아무튼 왕관이 더 무게가 느껴져서 저의 경우는 차가운왕관이 더 원하신 조건에 부합하는 것 같아요.

    이처럼 취향 차이라는 것도 있으니 이해도 필요하죠. 뭐, 괜히 영어로 쓰면 거부감 들기는 하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작은네모
    작성일
    11.10.21 06:11
    No. 34

    있어보인다고 생각해서 그런게 아닐까요.

    사실 와우도 처음에 완역한다고 했을때 'ㅁㅊ 불화살 얼음화살 이게 판타지 분위기에 맞냐 --' 이런 분위기였는데 지금은 완역이 대세. 고로 영어쓴다고 딱히 있어보이는건 아니니까 한글로 해도 상관 없을것 같아요. 유부용이야 이상하지만 용부인하면 그렇게 어색하진 않은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취서생
    작성일
    11.10.21 07:41
    No. 35

    유부용 뭐지 하다 한참 웃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푸른나래
    작성일
    11.10.21 13:13
    No. 36

    죄송해요 저 로맨스 제목이 Misty Memory 였어요 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기린or
    작성일
    11.10.24 13:43
    No. 37

    헉헉..... 유부용........... ㅋㅋㅋㅋㅋㅋㅋㅋ 넘 욱겨요. ㅋㅋㅋㅋ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에니시엔
    작성일
    11.10.25 18:22
    No. 38

    제 글을 영어로 바꾸면 'Non-Daily Intoduction'인가요 ㅋㅋ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