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25

  • 작성자
    뎃힝
    작성일
    09.08.03 19:24
    No. 1
  • 작성자
    Lv.8 prodigal
    작성일
    09.08.03 19:27
    No. 2

    제가 직접 지어드릴 수는 없지만 한번 순 우리말에 대한 간단한 조사를 해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전에 어디서 소서노의 어원이 '솟은네' 라고 주장하는 글을 읽은적이 있습니다. 솟아있다는 것은 남보다 높다는 것이고 사극에서 보면 ~네 하는것은 여자에게 붙이는 일종의 호칭 비슷한 것이니 '잘난여자' 라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는게 그 글의 요지였습니다.
    글 내 인물들의 특성을 순 우리말로 서너글자로 표현할 수 있다면 거기서 조금씩 발음을 바꾸는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6 isso
    작성일
    09.08.03 19:28
    No. 3

    현존하는 고구려 이름은 대부분 한자 표기로 원형과는 달라졌다더라구요.. 주몽 이름이 추모인 것처럼.. 그래서.. 뭐, 모르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6 isso
    작성일
    09.08.03 19:31
    No. 4

    2번님 서쪽에서 온 소씨 여자 아니었던가요? 대게 유교권에서 역사 속 여성의 이름은 성만 남는 경우가 많아서.. 삼국지의 손상향처럼 후대에 덧붙여지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prodigal
    작성일
    09.08.03 19:45
    No. 5

    저도 실제로는 어떠한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그런 글을 읽었던 것 뿐이라서요 ^^;;
    글을 쓰신분이 저명한 학자는 아니신거 같고 우리말의 원형에 대한 나름의 연구를 하시는 분으로 기억합니다.
    그냥 그분 나름의 연구를 바탕으로 주장을 하시는거지 정식으로 인정된 설은 아닌 것으로 압니다.
    꽤 긴 글이었는데 허황되다 느껴지는 부분도 있지만 나름 설득력이 있는 부분도 있어 관심있게 읽었던 글이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스수무부
    작성일
    09.08.03 19:59
    No. 6

    미리네?미리내?
    어느 만화에 나왔던 우리말이었던 거같은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elsil
    작성일
    09.08.03 20:00
    No. 7

    미리내는 순 우리말로 은하수를 뜻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에어(air)
    작성일
    09.08.03 20:01
    No. 8

    미리내는 우리말로 '은하수' 라는 뜻을 가진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나저나 고구려적인 이름이라니....끄응....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Gony
    작성일
    09.08.03 20:04
    No. 9

    또랑이라는 단어가 있죠. 냇물을 말하는데...
    조금 바꿔서 도란이라는 이름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59 slglfslg..
    작성일
    09.08.03 20:04
    No. 10

    홍라녀라고 고구려사람 있습니당 근데 그건 한자인데 흠 아니다 발해사람이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우뢰맨
    작성일
    09.08.03 20:05
    No. 11

    태왕사신기에 나왔던 '수지니'라는 이름도 괜찮은것 같습니다만, 고구려적인 이름이라고 하긴 뭐하네요. 고구려적인 이름의 기준이 뭘까요? 강인함?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휴도왕
    작성일
    09.08.03 20:17
    No. 12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미리내가 괜찮을 것 같아요(후훗, 고이 모셔두었다가 고구려 최초로 아들을 섭정한 태후에게 쓸 겁니다. 1부에서는 등장하지 않을 거지만 2부에서는 정말 중요한 인물.)

    고유어 공부를 해서 언젠가는 스스로 이름을 지을 수 있기를 바라는 휴도왕이 모두에게 감사드리며 인사합니다.

    그리고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도 고구려적인 이름은 잘 모릅니다. 그냥 우리 역사상 가장 독자적인 국가라 생각하면서 왠지 우리 고유어적인 이름이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을 뿐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휴도왕
    작성일
    09.08.03 20:29
    No. 13

    다른 분들도 아시는 이름이 있으시면 댓글에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제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weep
    작성일
    09.08.03 20:37
    No. 14

    그 당시 이름이 알려진 것이 소서노, 화희, 치희, 그리고 무슨무슨 공주 정도밖에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이싸毁毁毁
    작성일
    09.08.03 20:53
    No. 15

    고종의 아명은 참고로 `개똥이`었습니다.ㅋ황희의 아명은 도야지 ㅋ
    옛적의 작명센스는 부족마다 조금씩 틀리지만(한민족이 원래 한민족이 아니고 만주,한반도의 소부족이 통합됬다는것을 사실하에) 일정한 규칙이 있어요 ㅋ
    서열,지명,계절,사물,상황,관습에따라 불규칙해보이지만 나름 규칙을 정해 이름을 지었음 ㅋ
    그리고 일본어에 한반도 고대어원이 많이 있습니다. 일본식 이름이 보통 어떤식인지는 아시죠? ㅇㅅㅇ.
    지명과 고대어원에 대한 자료찿아서 응용하면 개성있는 고유 이름 창작 가능하실듯 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유헌화
    작성일
    09.08.03 20:57
    No. 16
  • 작성자
    Lv.10 광림
    작성일
    09.08.03 21:19
    No. 17

    자료를 찾아보고 스스로 지으시는 것을 권합니다. 이러한 경험들이 쌓여서 본인의 능력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 트벼
    작성일
    09.08.03 23:57
    No. 18
  • 작성자
    Lv.4 트벼
    작성일
    09.08.03 23:58
    No. 19

    우리 나라 말임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한가장주
    작성일
    09.08.04 06:00
    No. 20

    연개소녀 을지문순...
    죄송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AuEagle
    작성일
    09.08.04 07:00
    No. 21

    고구녀........., 죄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도플갱어.
    작성일
    09.08.04 10:43
    No. 22

    고구마........, 죄송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소중한오늘
    작성일
    09.08.04 11:24
    No. 23

    순우리말인 단어를 찾아다가 쓰는게 편하고 어감도 좋을듯....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1 회색물감
    작성일
    09.08.04 15:57
    No. 24

    그냥 우리말 관용어나 순 우리말 한번 뒤적여보세요. 진짜 생각외로 "이게 정말 우리말인가?"하는 것들이 많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8 熏熏
    작성일
    09.08.04 16:51
    No. 25

    고구녀 ㅋㅋㅋㅋㅋㅋ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