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0

  • 작성자
    Lv.8 오월성
    작성일
    07.11.09 18:42
    No. 1

    기운내시기 바랍니다. 글이란 것을 쓰는 입장의 사람으로서 반드시 고민해야 할 것을 하고 계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할 때는 편하게 읽어내려갈 수 있는 글을 쓴다는 것이 곧 독자를 위한 배려일 것입니다. 전문적이고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일지라도 친절한 설명이 곁들여 진다면 문제가 없을 것이구요. ^^ 건필하십시오. 작가가 독자들과 호흡하는 길은 오직 글에 있음을 아셨으니 이제 비상하실 것만 남았습니다. 파이팅!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4 [탈퇴계정]
    작성일
    07.11.09 18:55
    No. 2

    쓰고 쓰고 쓰고 쓰고 쓰다보면 는다고 합니다.
    저는 이제 문피아에서 글을 쓰기 시작한지... 두달이 좀 넘었군요..
    조금씩 늘어가는 실력에 기분이 좋습니다^^
    ></ 건필하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테프누트
    작성일
    07.11.09 18:57
    No. 3

    누님 진짜 잔인하시네요...;;;
    아주 가까운 사람이라도 그렇게까지 이야기 하기 힘든데 =ㅁ=;;
    힘내십시오!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이 여기도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1 韶流
    작성일
    07.11.09 19:04
    No. 4

    쓰고 쓰고 는다기 보다는.. 다독이 정답같은데.. 뭐든 많이 해보는게 좋긴하지만, 가장 빠른방법은 다른이들이 쓰는글에서 유행의 코드를 읽어내는 것이랄까요? 그리고 묘사의 방식, 글의 전개방식.. 인기글에는 분명 그 이유가 존재합니다. 제가 보는 글에는 제가 세운 기준이 항상 모두 적영됩니다. 처음에 조회수가 괜찮아서 선작 찍어놓지만 3~5편만 보면 지워지는게 80프로쯤 되죠. 그렇게 남은 글들은 상당한 퀄리티를 자랑합니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조회수가 높습니다. 제가 아무리 유별난(?)놈이라 할지라도(왜 이런 영어식 표현이 입에 붙게된걸까. ㄱ- 영어공부에 올인한 인생이라서 그런가? ㄷㄷ) 그 취향이라는게 어차피 거기서 거기입니다. 그 거기서 거기를 잡아야합니다. 큰 틀이 괜찮으면 소소한 것들을 무시하고(자기 취향과 좀 안맞더라도) 보는 독자들이 훨씬 많으니.. 그런것들을 생각하는게 좋겠지요. 그리고 시놉을 짤때 잘 정리해 놓고 쓰는게 좋습니다. 일단 쓰고 보자. 시작이 반이잖아.. 라는 생각으로 시작하면 초보들은 분명 시작이든 중간이든 끝이든 글이 꼬이는 타이밍이 옵니다. 대부분 중간으로 넘어갈때 꼬이는게 많던데.. 어쨋든 시놉을 정하면 이런게 엄청나게 줄어들죠. 그리고 표현력이 풍부해야합니다. 모든 장면에서 밋밋하게... 표현하면 GG치는거죠. 바로 이런것들이 다 다독을 통해서 형성되는 거라고 봅니다. 장르를 가리지말고 보세용. 저도 판타지(무협을 통합한 장르문학의 개념입니다)를 좋아하지만, 현대 추리물, 로맨스 물이라든지 심지어 에세이도 가끔 읽는다는.. 물론 전 글을 쓸 생각이 없지만, 장르의 구분을 적게 해서 독서하는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하고싶은 말이 있다면...... 개념잡힌 소설을 쓰자 입니다. '공학'들어가는 소설이 요즘 나왔더군요. 뭐라고 말하긴 그렇고.... 진짜 개념없습니다. 제가 공학도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아무 설명없이 설명만 하면 만들어지는 세계랍니다. 그것도 정도가 있지...... 그냥 된다 라고 설정면 된다는 '안일한' 생각을 가지고 글을 쓰면 안됩니다. '왜' 라는 의문을 제기하는 독자는 반드시 있게 마련입니다. 그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타이밍은 독자마다 다르겠지만.. 그 '왜'를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는 작가는 글이 아무리 참신하고, 괜찮은 실력을 가지고있더라도 마지막은 분명 die 입니다. 이건 출판 작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2~3권 써놓고 잠적타는 수많은 작가들이 대다수 이런류 이니까요. 스스로 글을 이어갈 능력조차 안되는 사람이 부지기수입니다. 그리고....
    목표는 크게 잡는게 좋지만, 그것이 전적으로 '출간'으로 잡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런 목적을 가지고 쓰면 글이 그런식으로 흘러갑니다. 물론 프로작가분들은 여기에 해당하는 사항이 아니겠죵..

    이게 제가 바라는 작가에 대한 생각입니다. ;ㅁ; 흠 요구가 많았나요? ;ㅁ; 물론 이렇게 해라가 아니라 이런식의 작가가 저에게는 좋다 입니다 오해하지 마시길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료인
    작성일
    07.11.09 19:13
    No. 5

    저도 초보지만 저는 주로 영화나 시각으로 보는 어떤 상황같은걸 글로써 표현해보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아. 나라면 저 장면을 어떠어떠하게 표현하겠어. 아 이 장면은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거지?" 같이 생각하면서 노력하는 편이에요~

    열심히 하세요~ 파이팅~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테프누트
    작성일
    07.11.09 19:18
    No. 6

    번역상에 문제가 생기는 거라면
    역시 현대 소설이나 동화책을 듬뿍 읽어보시는 게 좋겠지요. ^^
    영문의 리듬감과 국문의 리듬감이 다르기도 하고.....^^;;
    사전은 주로 문어를 다루니까, 외국어로 대화하시는 게 아니라면
    자신이 쓰는 말을 기준으로 쓰시는 것도 괜찮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진아眞牙
    작성일
    07.11.09 19:22
    No. 7

    솔찍히나 일딴 같은 기본적인 맞춤법은 지켜 주셔야 독자가 늘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2 노벨앤뮤직
    작성일
    07.11.09 19:24
    No. 8

    이런 글을 올리시게 된 것 만으로도 발전이 있는겁니다

    힘내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혈랑군
    작성일
    07.11.10 00:12
    No. 9

    이 위의 댓글들의 글들을 자세히 읽어보시기만 하셔도 엄청나게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저도 엄청난 도움이 되었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2 다읽기
    작성일
    07.11.10 01:07
    No. 10

    누님이 좋은 분이내요
    자기 혼자만 잘쓴다는 착각에 빠져있으면 실력이 늘어날수가 없죠
    주변 분들한테 많이 보여주세요
    리플에 그런글은 악플 취급 받으니 주변 지인들한테 보여주고
    평가 받는게 확실하겠네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