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8

  • 작성자
    Personacon 시링스
    작성일
    12.01.18 21:38
    No. 1

    a->ㅐ e->ㅔ 아닌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천변풍경
    작성일
    12.01.18 21:39
    No. 2

    외래어의 경우 외래어 표기법이 분명히 있지요.
    외래어 표기법 규정에 맞게 써야 합니다.
    외래어 표기법이 실제 발음과 차이가 날 때도 많지만
    어쨌든 규정은 규정이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엔띠
    작성일
    12.01.18 21:43
    No. 3

    네이버에 치면 뭐가 맞는지 나올 겁니다.
    지적할 만한 사항은 아니라도 '이건 뭐지?'라는 생각은 들겠죠.
    아니면 단순 오타라고 여기거나.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맨닢
    작성일
    12.01.18 21:53
    No. 4

    이건 발음의 문제가 아니라 약속의 문제라서 오타오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적안왕
    작성일
    12.01.18 21:55
    No. 5

    외래어 표기법 있습니다.
    <a href=http://speller.cs.pusan.ac.kr/
    target=_blank>http://speller.cs.pusan.ac.kr/
    </a>
    들어가셔서 집어 넣으시면 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용세곤
    작성일
    12.01.18 22:01
    No. 6

    적안왕님 그냥 맞춤법 검사기 아닌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등막
    작성일
    12.01.18 22:03
    No. 7

    시링스 // 레이저는 laser 인데도 ㅔ죠...



    영어 발음기호가 ae면 ㅐ고 e면 ㅔ 아닐까요

    영어 발음기호로 보면 random 은 rӕndəm 이고 laser 는 leɪzə(r) 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3 流寧
    작성일
    12.01.18 22:16
    No. 8

    랍스타->로브스타 레인보우->레인보 라도 지킬 건 되도록 지켜야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쿤테
    작성일
    12.01.18 22:28
    No. 9

    국수주의자는 아니지만 한글이 표현 할수 있는 발음은 인간이 내는 발음 중 최고로 많읍니다. 거의 75%이상 유사하게 표현이 가능한데 그래서 유네스크에서도 문자가 없는 경우 한글을 쓰도록 권하고 있읍니다. 한편 현재 표준으로 사용하는 발음 기호는 한글에 비해 턱없이 적은 표현만 가능하고 따라서 학자들은 한글로 발음기호를 쓰자는 사람도 있읍니다. 즉 발음기호로 따지기는 힘들다는 것이고 laser는 레이저에 거의 가깝읍니다.
    요즘 젊은이들이 쉽게 말하려거나 의식없이 엄연히 구분되는 것을 혼용해 쓰는데 어문학자 국어학자는 괜히 있는게 아니죠. 잘못 쓰는 경우가 너무 많아서 참 아쉽습니다. 표기도 잘 못하지만 아예틀리게 쓰는 경우가 많아요. 그 중 대표적으로
    어의 -> 어이, 대인배 -> 대인, 대통령님 -> 대통령
    정말 말이 안나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적안왕
    작성일
    12.01.18 22:46
    No. 10

    작투님//
    집어 넣으면 알맞은 녀석을 알려줍니다.
    그러면서 발음에 대해서 옆에 나오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7 심심한샘물
    작성일
    12.01.18 22:51
    No. 11

    호오 표기법이 있군요...
    학교에서 들은거는 같은데 시험위주니 몰라서...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292724
    작성일
    12.01.19 00:08
    No. 12

    고등학교때 국어문법수업을 열심히 들었다면 정말 생소하고 잘 쓰이지도않는 몇몇 경우를 제외하곤 올바른 언어생활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묘한(妙瀚)
    작성일
    12.01.19 01:17
    No. 13

    여기서 궁금한건 쿤테님은 일부러 저러시는거 맞죠?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8 熏熏
    작성일
    12.01.19 01:20
    No. 14

    외래어 표기법이 있습니다.
    구어체와 문어체가 다를 수는 있지만 출판을 염두하신다면 외래어 표기법을 염두하심이 좋지 싶습니다.
    제가 작가가 아니라서일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많은 사람에게 읽히는 글을 쓰시고 싶다면 옳은 한글 뿐만이 아니라 바른 외래어 표기법을 쓰시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반니스텔루이'로 대표되는 네덜란드의 반씨들이 외래어 표기법의 변화로 판씨가 되었죠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하지만 출판은 판씨여야 합니다 ㅎ_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黑月舞
    작성일
    12.01.19 03:02
    No. 15

    쿤테님//
    yi 와 ee의 발음을 한글로 구분해서 쓰는게 가능하십니까?
    IPA 의 문자 개수는 세자리에 이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쿤테
    작성일
    12.01.19 16:56
    No. 16

    어제 제 차를 타고 가다 CD를 틀었는데 나오는 노래가 이게 우리나라 사람이 부르는 건지 외국인이 부르는 건지 모르겠더군요. 다시 들어보니 우리나라 사람인데 반쯤은 영어로 가사를 만들었더군요. 그게 노래 수출할려고 한건지 그냥 연예인 삽질하는 건지 모르겠는데 여기서 다시 이런 제목이 나와서 하는 이야깁니다.
    요즘 학교에 국어시간이 존재하는지 의문스럽고 국어가 언어의 문제 뿐 만이 아니라 이해력과 전달력의 문제가 더 커서 결국은 자기가 뭐하는지도 모르는 인간을 교육하는 꼴이 되버린다고 생각해서 모든 학문에 우선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럽니다.
    저는 기술 쪽이지만 작가의 측면에서 보면 논리의 타당성과 전달력에 무리가 있어서는 잘 읽히지 않겠죠. 적어도 그게 우선되고 추가적으로 다른 수식들이 첨가 되는 게 기본 아닌가 봅니다.
    법륜스님의 말마따나 말하는 이나 듣는 이나 자기 생각에 빠져 임하기때문에 일이 잘못 될 가능성이 많은 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0 별소나기
    작성일
    12.01.20 01:33
    No. 17

    <a href=http://www.korean.go.kr/09_new/dic/rule/rule_foreign.jsp
    target=_blank>http://www.korean.go.kr/09_new/dic/rule/rule_foreign.jsp
    </a>
    국림국어원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에 대해서는 용례를 정해놓고 있습니다. 여러발음이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거의 이 쪽을 따락가게 되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5 파랑구름
    작성일
    12.01.20 14:38
    No. 18

    학교 고1 과정에서 외래어 표기법 배웠었는데 1년도 안되서 다 까먹었습니다... ㅠㅜ

    로봇, 로보트 어쩌구 하면서 배웠었는데 어떻게 하나도 기억이 안나는지...(그야 공부를 안했으니까...)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