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9

  • 작성자
    Lv.99 은여울
    작성일
    11.03.15 01:24
    No. 1

    공감되는군요.
    읽으며 헛웃음으로 넘기는 책보다는 고개를 가끔은 끄덕이는글이 나중에 한번이라도 더 생각나겠지요.

    그리하여 이 긴 글 쓰는시간에 잊혀진신의세계 라는 글도 한편 더 준비하셨으리라 믿겠습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엘프가싼똥
    작성일
    11.03.15 01:25
    No. 2

    어이쿠 한수 배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88 네크로드
    작성일
    11.03.15 01:46
    No. 3

    추가로 복선과 암시는 주요 사건이 벌어질 가능성을 환기시켜 줌으로써 개연성을 만드는데 필수적입니다. 우연적인 사건이라도 가능성을 환기시키고 독자를 납득시키면 개연성이 생겨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2 진진묘
    작성일
    11.03.15 03:30
    No. 4

    새 글 시작하셨군요.
    달려 갑니다. ㅎ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 벨콧
    작성일
    11.03.15 04:09
    No. 5

    항상 현실성이 있는 판타지소설을 원한다...
    말하면서 무언가 이상하다고 생각해봤는데
    알고보니 제가 제게 말하려던건 현실성이 아니라 개연성이였군요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9 광염소나타
    작성일
    11.03.15 07:10
    No. 6

    그렇군요. 현실성은 현재 실현 가능성이군요. 너무 소설을 보다보니 착각했나.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0 협행마
    작성일
    11.03.15 08:20
    No. 7

    개연성이라 말하면서 현실의 중세 시대를 판타지에 대입하는 독자분들께서 읽어주셨으면 좋을 법한 이야기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뮬도다
    작성일
    11.03.15 09:48
    No. 8

    예전에 개연성과 현실성을 착각했던 것을 기억하면 창피함이. 으으윽.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77 저냥그냥
    작성일
    11.03.15 10:39
    No. 9

    작가분들도 치밀한 세계관을 짜야겠지요. 설정이 뭔지를 모르겠으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스위스용병
    작성일
    11.03.15 11:46
    No. 10

    미처 구분하지 못 하고 있었던 두 가지 개념에 대해서 정말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그나저나 정말 글을 잘 쓰시네요. 부럽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 상담술사
    작성일
    11.03.15 11:59
    No. 11

    제가 말하고 싶었지만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것을 저보다 훨씬 잘 쓰셨군요. 부럽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2 다훈
    작성일
    11.03.15 13:16
    No. 12

    판타지에 개연성을 따지는 걸 넌센스로 주장하는 분들이 꼭 보아야 할 좋은 설명문이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0 남채화
    작성일
    11.03.15 15:44
    No. 13

    현실하고 현실성하고는 또 틀립니다.
    현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을 뜻합니다. 반면 현실성은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말하는 겁니다.
    무협소설은 기반이 되는 무공이 존재한다면이라는 전제조건으로 현실성 있게 이야기를 꾸며나가는 것이고, 판타지 소설은 마법이 존재한다면 이 전제조건이죠.(대략적인 의미가 그렇다는 겁니다.)
    현실성하고 개연성하고는 다소 틀리지만 현실성도 무시하시면 안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삐약이
    작성일
    11.03.15 15:55
    No. 14

    동감입니다.
    현실성과 개연성을 착각하시는 분들을 보면
    답답하기도 했었는데 이런 글을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 글을 읽어보시면 좋겠네요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채이서
    작성일
    11.03.15 16:21
    No. 15

    음.. probability 랑 possibility 를 혼돈 하신듯..가능성, 확율을 의미 하는 것은 possibility 지요. probability 는 가능성이라기 보다는 공감성이라 해야 할까요? 사건이 논리적 설명이 가능하냐는 거죠. 연쇄 살인범이 차에 치인것은현실성(reality)도 있고 가능성(possibility)도 있습니다. 하지만 개연성이 있는지 없는 지는 상황을 보기 전까지 알수 없죠. 만약 운전자가 분노한 피해자의 가족이라면 상당한 개연성이 느껴 지는 거져. 개연성이란 인과의 논리가 성립 되냐는 거죠. 가족이 우주인에게 납치당한 주인공이 신이 되어 우주인에게 복수 하는 스토리는 개연성(probability)은 있지만 현실성(reality)도 없고 가능성(possibility)도 없지요? 즉 개연성은 그 상황이 소설의 설정을 인정 한다면 논리적으로 이해가 되냐는 거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8 네크로드
    작성일
    11.03.15 19:49
    No. 16

    개연성을 쉽게 풀이하기 위해 가능성, 확률이라고 표현한 것을 두고...
    착각했다고 단정짓는 것은 대체 뭔지 모르겠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黑月舞
    작성일
    11.03.15 19:56
    No. 17

    체이서님//
    probability라는 말에 확률이라는 뜻 역시 있습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샌드박스
    작성일
    11.03.15 21:46
    No. 18

    예를 들어서 자세하고 정확히 설명해 주셨는데, 비유의 정확성을 가지고 딴지를 거는 분들이 좀 계시는군요... 좋은 글인데.

    문피아 글을 쭉 보면 이 개념에 부합하는 글을 쓰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것을 알게되죠.
    왜냐하면 아는 것과 이해하는 것이 다르고, 이해하는 것과 실제로 쓸 수 있는 경지가 또 다르니까요.

    그리고 필력의 구성요소들은 많지만
    (개연성, 캐릭터, 문장력 등등)
    나머지가 아무리 뛰어나도 결국 이 중 한 가지라도 기준 이하가 되어버리면 결국 다 부질없게 되어버립니다. 독자는 하차 선언을 하게 되죠.

    실감하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치야랑
    작성일
    11.03.15 23:05
    No. 19

    오늘도 이 댓글을 남기고 가네요

    이 글을 추천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