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4

  • 작성자
    Lv.99 고라니
    작성일
    10.07.25 13:51
    No. 1

    영화등에서도 대중적으로 알려진 명장면을 차용해서 쓰면 오마쥬라 해서 좋은 평을 듣겠지만, 마이너한 만화씬을 오마주하면 베겼다는 평을 듣기 딱 알맞습니다.

    Tv나 영화의 씬같이 다수의 의견이 들어가면 그나마 자유로운 사용을 기대해도 되겠지만 소설같은 100% 자신의 창작물에 사용하려면 좋은 평은 기대하지 말아야죠.

    SF영화 Repo man에서도 올드보이에서의 롱테이크 장도리씬이 차용되서 쓰여집니다. 주인공은 물론 장도리는 안썻다만 그 배경 그대로 입니다하여 웃음이 나오던중 마지막 씬에서 부주인공에게서 장도리를 하나 넘겨받아 남은 놈을 처리하더군요. 이런 감독의 성의를 오마쥬라 표시하는게죠.

    라이토의 썩소를 일본만화에서 베낀다면 그거야 그쪽나라의 한때 유행인가 하는것이지 우리까지 쓸 이유가 있을지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제르미스
    작성일
    10.07.25 14:24
    No. 2

    일본 애니메이션에 너무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네요.
    일본말이 너무 범람하고... 영어로 인한 외래어도 이젠 한글로 교정 할 수잇을텐데, 아직 그런 작가분들은 얼마 없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제르미스
    작성일
    10.07.25 14:25
    No. 3

    문피아 자체적인 켐페인을 통해 한글을 더욱 한글답게 더욱 아름답게 쓸수 잇게 하면 좋을텐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제로카인
    작성일
    10.07.25 14:31
    No. 4

    제르미스님/
    한국건 이상하게 오마주가 없더라구요...저작권 때문인지 만화가 많이 안나가는지...그래서 일본 영향 댓글을 쓰신 거 같군요.

    뭐 저야 많은 한국만화도 보유중이니 오마주로 쓰려고 합니다.
    된다면 말이죠.
    신이된 사나이/도시..뭐였더라. 등의 만화도 재미있게 봤는데 말이죠.
    (퍼어억...성인만화지만...)
    이상하게 한국만화는 왜...옛날게 더 끌릴까요.
    특히 군대에 범람하는 과거 까치의 머리를 한 무협이나 만화책등이 말이죠 `-`쿨럭 ;;;
    옛날만화는 집에 많습니다. 황성 작가님이라던가...
    근처 책방 망한거 전부 얻어왔거든요 ...쿨럭.

    뭐 그래서 거기서도 공부하면서 오마주 공부중이에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무의식
    작성일
    10.07.25 15:17
    No. 5

    저도 표절과 오마주와 패러디가 잘 구분이 안되더군요. 그래서 그냥 글 시작할때 누구누구의 작품을 언급 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제르미스
    작성일
    10.07.25 16:22
    No. 6

    제로카인님, 저도 예전 만화가 확실히 끌리더라구요. 예전에 만화방(시간제로 보는 곳) 망할때 맘에 드는 만화책 한 4박스 실어온적도 잇어요. ^^
    가끔 생각날때마다 꺼내보면 요즘만화처럼 너무 가슴 강조하고 그런 것도 없고 조금 야하다 싶어도 보기 좋더라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제르미스
    작성일
    10.07.25 16:47
    No. 7

    그리고, 솔직히 요즘 사람들 우리나라에서 나온 만화 좋아하시는 분 많지 않다고 들엇어요.
    우리나라 작가나 그림그리는 사람이 일본에가서 공동으로 하면
    오오! 하고 보고 그냥 일반 한국인이 하면 에이 한다는게 현실이라던데...
    그리고 가끔가다가 일본어에서 나온 말로 인터넷에서 머라머라하고..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해 평가하는 걸 보면 조금은 이해가 안갈 떄가 많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3 고양이두근
    작성일
    10.07.25 17:10
    No. 8

    이야기가 조금 새는 것 같지만^^; 제르미스님, 한국 만화시장이 일본 만화시장보다 상대적으로 침체되어있어서 그렇습니다. 일본은 만화 잡지를 사서 읽는 것이 하나의 문화라서 사는 사람이 많아 질 높은 작품이 많이 나오지요 ^^ 상대적으로 한국만화는 ; 장르문학뿐만 아니라 한국만화도 스캔본이 많이 나돌아 다니지요. 살펴보면 괜찮은 작가도 출판사 돈사정으로 조기완결도 되기도하고 ^^;; 실제 젊은 독자분들의 인식도 한국만화는 별로고 일본만화는 짱이다라고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떄문에.. 순정은 그래도 조금 낫지만 소년만화쪽은 암울하죠; 신암행어사도 일본에서 출판한것이구요.........
    한국의 대부분 작가지망생들이 일본에 유학을 꿈꾸고 있는게 현재 한국만화계의 현실이지요. 그런상황에 좋은 작품이 나올리도 없고요. 음 그래서 라이토의 썩소를 연상하는 것이.....뭐 당연한 일이겠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3 고양이두근
    작성일
    10.07.25 17:14
    No. 9

    댓글이 조금 길어졌지만; 한국에는 종이 만화가 아니라 웹툰이 있으니까요. 공짜와 싸우는 시대랄까. 뭐 조석 표정같은 것도.........오마주 될날이 오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제르미스
    작성일
    10.07.25 17:22
    No. 10

    그렇군요... 솔직히 말해 만화나 만화영화는 크게 관심이 없어 잘 몰랏는데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Spaz
    작성일
    10.07.25 19:19
    No. 11

    제 소설에 읽어보지도 못한 소설을 갖다대면서 오마쥬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베드로스님
    작성일
    10.07.26 10:11
    No. 12

    흐음....
    패러디와 오마주는 모방이라는 측면에서 동류입니다.

    허나 원작자의 허락에 대해서 둘은 틀립니다. 오마주는 좋아하거나 존경하는 작가나 작품에 어느 한 부분(씬이나 대사, 인물등등)을 작가의 허락하에 자신의 작품에 도입함을 말합니다. 킬빌의 감독 쿠엔틴 타란티노가 한국 감독에게 오마쥬 도입을 허락받으러 온게 참으로 유명했지요.

    패러디는 풍자비슷하게 작품의 어느 부분을 꼬는게 특징입니다. 조금 코믹하게 할수도 있으며, 악의적인 의도가 들어갈수도 있습니다. 허나 오마쥬는 좋아하거나 존경한다는 전제가 들어가기에 그대로 차용하거나 혹은 자신의 색깔대로 재창조하기도 합니다.

    오마쥬는 원작자의 허락이라는 전제가 있기에 합법입니다. 허나 패러디는 각 법에 따라 갈립니다. 그 법이 불법이라고 하면 불법이고 합법이라고 하면 합법인겝니다.(뭐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인게죠)
    마치 유럽 몇나라가 마리화나가 합법이나 딴 나라에선 불법이듯이 말이죠.

    근데 우리나라는 잘 모르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고라니
    작성일
    10.07.26 16:53
    No. 13

    오마쥬가 꼭 원작자의 허락이라는 전제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둘을 분류하자면 원작자에 대한 존경과 감탄이 들어가면 오마쥬고, 비평이나 개그가 들어가면 패러디가 됩니다. 여기에는 표절과 다른 점이 분명 대중들이 충분히 공감하고 이미 알만한 유명한 그 장면을 따오면 됩니다.

    가령 야구 소설을 쓰는데 과거에 까치라는 야구선수가 굉장히 유명했대.등등 이런 장면을 삽입한다면 이현세에 대한 오마주가 맞습니다.
    야구 선수 까치가 외인구단 감독으로 등장한다면 패러디가 되겠죠.

    하지만 자신 소설의 주인공이 무인도에서 외인구단과 훈련하여 공포의 외인구단이 되어 사랑하는 여주인공을 천재타자 X 에게서 되찾아오려 한다면 이것은 표절이 되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고라니
    작성일
    10.07.26 16:55
    No. 14

    원작자의 허락을 받으려 했다면 오마쥬라 하기엔 대중이 너무 모르는 사안이기에 표절의혹을 받을수 있어서 허락을 받으려 했을 것입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