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9

  • 작성자
    Lv.21 CReal
    작성일
    10.04.02 22:47
    No. 1

    국문과 교수분이 그러시던데 언어는 본래 살아움직이는 거고 변화는 당연한 거라고 그게 언어가 생존하는 방식이라고 하시더군요. 모 디자이너가 생각나도록 하는 어정쩡한 국영문혼용체 수준이 아니라 일상에 이미 자연스럽게 녹아들었다면 그대로 가는게 타당한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4 서가.
    작성일
    10.04.02 23:06
    No. 2

    전 잘 모르지만.. 독자입장에서는 그냥 편하게 읽히면 좋다는 생각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폐인산적
    작성일
    10.04.02 23:08
    No. 3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이 글 외에 다른 번역 어투 논쟁 글을 찾을 수 없습니다. 굳이 이런 글을 올려서 그들의 행위를 언급하는 것은 어떠한 목적으로 올렸든지간에 한담란에서 번역 어투 논쟁을 재점화시킬 우려가 있으니 글을 토론마당으로 옮기는게 좋을듯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5 天劉
    작성일
    10.04.02 23:18
    No. 4

    딴 건 둘째치고.. 필요로 한다는 필요하다로 바꾸면 끝 아닌가요.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풍뎅이왕
    작성일
    10.04.02 23:18
    No. 5

    긴 글 쓰시느라 수고하셨다만 글쓴이께선 혼자 논쟁중이십니다. 극단적인 옹호와 반대의 표현이 싫으시면 이런글을 안올리면 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홍차
    작성일
    10.04.02 23:26
    No. 6

    열심히 쓰셨는데 필요로하다는 필요하다가 맞는 문장인걸로 압니다
    그냥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렇게 쓰시면 될걸 참 많이 돌려쓰셨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자공
    작성일
    10.04.02 23:39
    No. 7

    개인적으로 번역체 순화를 강요, 강제할 마음은 없습니다. 이미 번역체는 대중들이 쉽게 구분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으니까요.
    다만, 이왕 글을 쓰는 거면 올바른 문법과 표현을 써주십사하고, 바랄 수는 있겠죠.
    제 경우에는 예전에 번역체 문제가 불거지고 나서부터는 스스로 글을 쓰고 난 뒤에, 내 글에 번역체는 없나, 잘못된 표현은 쓰지 않았나, 문법에 어긋난 게 있나, 정도는 살펴보게 되더군요.
    그렇다고 제가 완벽하게 구사한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저도 최소한의 노력은 한다는 얘기죠. 아마 글을 쓰시는 분들도 이 정도 노력은 하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뭐, 저와 생각이 다르신 분들은 어쩔 수 없지만 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9 요통남
    작성일
    10.04.02 23:47
    No. 8

    폐인산적// 그냥 답답해서 써본겁니다. 문제가 되면 게시판 관리하시는 분들이 알아서 하시겠죠.
    天劉// 그래서 '북한의 식량부족에는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다'라는 문장을 마지막 답으로 제시했는데 못 보셨나보네요. 앞에 써놓은 것들은 그냥 훼이큽니다.
    천사명박// 이런글을 안 올리면 됩니다. 라고 말씀하시는 명박님이 올리셨던 '번역체 안 쓰면 문제가 되나요.'는 잘 읽었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홍차// 그래서 필요하다라고 써놨었는데 못 보셨나보네요.
    취우// 넌 이거는 무관심하니까 저거에도 무관심해라는 게 아니라, '이것을 지적하면서 왜 이건 무관심 하느냐, 이것에 무관심하다면 네 주장의 논거는 설득력을 잃는다.'라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9 부정
    작성일
    10.04.03 00:21
    No. 9

    문학은 구성적인 부분이나 글을 쓰는데 필요한 기교 같은 것들도 중요하겠지만 기본적으로 그 나라의 언어를 이용해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에 기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가라면 올바른 방법으로 올바른 언어표현을 해야하는 것이 의무이자 기본정신이라고 생각합니다.
    자꾸 번역체에 대한 논란이 생기는 것은 바로 그 기본정신에 대한 부재 때문에 생기는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창월
    작성일
    10.04.03 00:29
    No. 10

    지식을 떠나서 국어에 대한 애정만큼은 존중받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 번역투는 올바르게 고쳐쓰는 것이 글의 느낌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영어 표현을 수정하면 글의 느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취우님 말 처럼 번역투는 일반인이 구분하기에 힘들 지경에 온 위기 상황이라면 영어 표현은 확실히 다른 나라 말을 쓰는 것이기 때문에
    영어 표현에 무관심하다고 번역투에 대한 논거의 설득력까지 잃는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창월
    작성일
    10.04.03 00:30
    No. 11

    그래도 예시로 든 문장은 좀 심하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늑대양
    작성일
    10.04.03 00:37
    No. 12

    아.. 그래 혼자 잘났어... 인정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7 ha***
    작성일
    10.04.03 08:07
    No. 13
  • 작성자
    Lv.78 시시포스
    작성일
    10.04.03 11:20
    No. 14

    예시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북한의 식량부족은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의 영어 원문을 알려주십시오. 영어 단어 need를 우리말로 옮길 때 명사(주어) need, 동사 need, need something, need to do, need ~ing, need to be done, 의문문에서 need 등등 경우에 따라 그 표현법이 달라집니다. ‘필요’와 ‘의무’라는 개념도 마찬가지구요. something needs something. something needs to do something. 이런 영어 표현이 있는가요? The shortage of provisions in north Korea needs our help. 이 영어 표현이 올바른 건가요? 영어 실력이 딸려서 혼란스럽네요.
    [북한의 식량부족에는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 문장도 어색합니다. 도움이 필요한 것은 <북한>이지 <식량부족>이 아닙니다. [북한은 식량부족으로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다.] [북한의 식량부족사태에 우리가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이래야 의미가 명확하지 않을까요? 간결한 표현법도 중요하지만 글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정확한 의미 전달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바로 주어와 서술어가 올바르게 연결 구성된 문장이라야 가능하겠죠. 번역체의 문제점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사대주의이니 쇄국주의이니 하는 애국의 문제가 아니라, <주어와 서술어가 일치하지 않는 문장> <뜻이 불명확한 문장>이라는 논리의 표현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문장 구조, 말의 구조는 매우 중요합니다, 의미라는 면에서도 그러하지만 정서라는 면에서도 그렇죠. 구조가 다르면 느끼는 감정, 정서도 달라집니다.
    1. [잘 씌여진 글을 보면 기분이 좋다].
    2. [잘 쓴 글을 보면 기분이 좋다.]
    어떤 의미와 느낌이 드는지요? 의미가 같나요?
    3. [화선지 위에 잘 씌여진 글을 보면]
    4. [화선지 위에 잘 쓴 글을 보면]
    어떤 의미와 느낌이 드는지요? 의미가 같나요?
    5. [죽여진 시체를 보면]
    6. [죽은 시체를 보면]
    어떻습니까?
    7. [조약돌이 이마를 깼다.]
    8. [조약돌에 이마가 깨졌다.]
    어떻습니까?

    [아주 소프트한 블랙이 내츄럴한 멋을 더합니다.] 외래어 단어의 이러한 무분별한 사용도 당연히 문제이긴 합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눈에 띄는 문제이기에 위의 번역체 문제보다 심각한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점(點), 선(線), 면(面)의 문제 중 점(點)-단어, 수준의 기본 문제이지요. 선(線)은 띄어쓰기 이중피동의 문제, 면(面)은 번역체, 비문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번역투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용인하자'는 주의] => 따질 건 제대로 따져야 합니다. '깨진 유리창 법칙(Broken Windows Theory)'이란 범죄예방이론이 있습니다. 누군가 건물 유리창 하나를 깨뜨렸는데 만약 이를 고치지 않고 방치해 둔다면, 다른 사람들도 이 건물은 관리가 전혀 되지 않는다는 생각에 거리낌도 없이 나머지 유리창들도 다 깨뜨려서, 결국 건물엔 유리창이 하나도 남지 않는다는 이론입니다. 누군가 무심코 집 앞에 휴지 한 장을 버렸는데 아무도 치우지 않는다면, 점차 많은 사람들이 쓰레기를 버리게 되어서 그곳이 완전히 쓰레기장으로 변하는 이치입니다. 쓰레기 하나만 치웠어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었던 집주인은 결국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살벌한 문구의 푯말을 붙이고 나서야 쓰레기 투기 행위를 방지할 수 있게 되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am*****
    작성일
    10.04.03 14:27
    No. 15

    자꾸 제 장문 답글이 날아가는 이유는 뭘까요. 그래도 다시 써봅니다.
    일단 가장 처음의 예시문인 "북한의 식량부족은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에서 글쓴분께서 지적하신 필요로 한다 외에도 "북한의 식량부족은"도 한국말 아닙니다. 영어표현이죠.
    Television has killed the art of conversation. (출처:옥스포드 예문)
    이 문장을 텔레비전이 대화의 기술을 죽였다고 해석하는 것과 똑같은 겁니다. 영어에는 사물 주어가 있지만 한국어에는 없습니다. 애초에 장문으로 써놓으신 예시들이 훨씬 낫다고 봅니다.
    또 정답이라고 말씀하셨던 "북한의 식량 부족에는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다."도 그다지 좋은 표현이 아닙니다. 자세한건 윗분이 말하셨으니 넘어가겠습니다.
    또 영어 단어를 쓰는 것을 말씀하셨는데요, 일단 저같은 경우, 몇몇 예문에 들어 있는 소드마스터나 파이어볼, 블링크 등은 일종의 고유명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굳이 번역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제너럴 셔먼호 사건 같은 건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라고 부르지, 번역하려고 노력하지 않지 않습니까?
    또 이것은 논쟁의 핵심주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다들 언급하지 않았지, 반대하는 사람도 찬성하는 사람도 있어 무척 열띤 토론이 됐을 겁니다. 하지만 주제는 번역체인걸요? 문제제기 차원에서는 훌륭합니다.
    뭐 저도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번역체를 은연중에 많이 쓰고 있을겁니다. 다만 알아채지 못하는 것이지. 하지만 이런 경우는 '거슬리지 않을 정도'이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글쓴분 말씀대로 대안할 수 있는 표현을 찾지 못해서이기도 합니다. 그런 부분에서는 분명 글쓴분 말씀처럼 그 말을 배워서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대안이 있다면 쓸 필요는 없는것이죠. 지킬 것과 배울 것은 올바르게 구별해야합니다.
    글을 읽는 내내 정성이 느껴져서 좋았습니다. 저 같으면 귀찮아서라도 이런 글을 올리는 것은 피했을 겁니다. 말미에 쓰여진 포기하면 편해, 라는 말을 좋아하는 편이라서요. 하지만 이 글을 보니 저도 모르게 신나서 답글을 써버렸습니다.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5 720174
    작성일
    10.04.03 14:29
    No. 16

    [북한의 식량부족은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훌륭한 의인법

    [북한의 식량부족에는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다.]
    중간을 적절히 잘라 먹어 주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월세이
    작성일
    10.04.03 14:55
    No. 17

    저와 논지가 똑같군요.
    이 글을 보니 제가 제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얼마나 떨어지는지 절실하게 느꼈습니다.
    저도 번역체를 용인하자는 논지로 쓰긴 했지만, 눈에 띄는 번역체나 제가 이미 알고 있는 부분은 되도록 한국어를 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번역체부분이 한국어로 표현한 부분보다 마음에 더 와닿으면 그걸 쓰지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3 One한
    작성일
    10.04.03 21:57
    No. 18

    그냥 한번 찔러보기인건가 한담에 어울리지 않는 글인데

    연담지기님이 요즘 관리가 뜸하신건가....

    연재한담 사용법을 보고 쓰셨으면 좋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푸른봉황
    작성일
    10.04.03 23:32
    No. 19

    옹호가 너무 극단적이니
    반대도 당연히 극단적일수밖에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