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21

  • 작성자
    Lv.87 네크로드
    작성일
    08.11.26 17:05
    No. 1

    몇 년쯤 후에는 '~씨'라고 부르는 거 기분 나쁘다고 '~군''~양'이라고 불러달라는 시대가 올지도 모릅니다...--;
    어차피 호칭 방식만 조금 바뀐 거고, 쓰이는 방식은 똑같으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루나레나
    작성일
    08.11.26 17:09
    No. 2

    사소한 태클을 걸자면 벗꽃->벚꽃

    다른 내용에는 공감백배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너의기억
    작성일
    08.11.26 17:09
    No. 3

    거기서 더 지나면. 어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7 네크로드
    작성일
    08.11.26 17:11
    No. 4

    루나레나님 수정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7 네크로드
    작성일
    08.11.26 17:16
    No. 5

    저 지금 일본 살고 있습니다. 일년 반 되었군요.
    energy를 에나지라고 읽는 애들도 꽤 많습니다.
    전부 에네르기라고 읽지 않습니다.
    발음적 한계를 말하는게 아닙니다.
    에나지, 바이라스, 세이바 모두 잘 쓰이는 용어입니다.
    에네르기, 위루스, 사베루 같은 것 이상으로 말이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환유희
    작성일
    08.11.26 17:21
    No. 6

    좋은 말씀 잘 듣고 갑니다'ㅁ'
    잘 쓰이지 않는 표현은 사회적 현상에 의해서 사용빈도나 필요성이 떨어진 것일 뿐인데 그걸 사용하는게 [옳지 않다]라고 우기는 사람들은 답이 없습니다. 문피아 캠페인처럼 타인의 의견은 틀리지 않고 다를 뿐이란걸 인정하는게 그렇게 어려울까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7 네크로드
    작성일
    08.11.26 17:24
    No. 7

    エナジー【energy】
    에나지-
    エネルギー【(ドイツ)Energie】
    에네르기-

    일본어 사전을 뒤져 보면 나옵니다.
    energy를 에네르기로 읽는 일본인이 있다면...
    가방끈이 짧아서 그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외래어로서는 에나지-보다는 에네르기-를 좀더 잘 씁니다만..
    energy는 에나지-로 읽어야 됩니다.

    - 정확히 조사해서 다시 돌아왔는데, 댓글이 사라졌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환유희
    작성일
    08.11.26 17:27
    No. 8

    위의 에나지가 영어표기고 아래의 에네르기가 독어표기인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에스텔
    작성일
    08.11.26 17:29
    No. 9

    사실 선생, 사장 이라고 부르는 것을 '경어'라고 주장한다면 일본식 언어사용이지요

    일본어에서는 '쿠로이선생' <- 경어입니다.
    우리말에서는 아랫사람이 저렇게 부르면 싹수노란놈이지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4 말린생수
    작성일
    08.11.26 17:29
    No. 10

    오홀... 그랬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8 시시포스
    작성일
    08.11.26 17:31
    No. 11

    좋은 말씀에 공감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7 네크로드
    작성일
    08.11.26 17:32
    No. 12

    옙...
    아래에 에네르기 옆에 괄호 안에 들어있는게 (도이츠-독일)입니다.
    사실, 일본어의 진짜 잔재라고 하면....
    미국과 독일이지요.
    일본애들이 한자를 읽으면 메국이 되고, 독일은 도이치가 됩니다.
    이 한자들을 거의 고대로 옮기면서 아름다울 미자를 쓰니...
    이거 내막을 알고보면 되려 부끄러울 노릇이지요.
    한국이라면, 아국이나 메국, 도이치는 도국이나 도이치라고 한자를
    붙여야 하는 것 아닐런가 십습니다. 요즘이라면...
    그냥 한글로 아메리카, 도이치라고 부르는게 정말 일재 잔재를
    청산하는게 아닐까 싶은데...이런 표현은 그냥 방치하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3 구선달
    작성일
    08.11.26 17:58
    No. 13

    네크로드님, 미국이니 영국이니 독일이니 하는 말은 전부 중국에서 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ㄱ=;

    아메리카를 중국이 메이리젼이라고 쓰고, 그걸 한국은 미국이라고 쓰고, 일본은 아름다울 미가 아니라 쌀 미를 써서 메이고쿠라고 부른다던가 그렇게 들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김은파
    작성일
    08.11.26 18:18
    No. 14

    우리말이 왜 이리 중국어+일어+영어 잡탕으로 되어버렸는지...언젠가는 1문장을 쓰고 나서도 한숨을 내쉰 적도 있답니다.

    저는 ~군/양이 일제 잔재라고 생각한 적이 한번도 없었는데, 제가 교양과목으로 일어를 배울 때는 그런 표현을 배우지 않았거든요.

    그리고 개화기로 기억하는 신소설에서도 곧잘 봤던 걸로 기억해서 더더욱...학창시절 선생님, 교수님들이 학생들에게 ~군/양이란 표현을 곧잘 썼기 때문에 사실 저도 학생들에겐 ~군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자주 쓰이진 않지만, 지금도 30대이상 사람들은 어린 학생들에게 곧잘 쓰긴 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7 네크로드
    작성일
    08.11.26 18:21
    No. 15

    일본어: ドイツ(独逸) (Doitsu).한국어: 독일(獨逸) (Dogil/Togil).중국어: 德意志/德意志 (pinyin: DeYiZhi)

    드루이드님, 위의 예시를 보면...아시겠지만....
    한국만 완전히 동떨어진 발음에다가, 일본식 한자를 거의 그대로 옮겼습니다. 중국 잔재라기보다는 일본 잔재로 봐야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폐인산적
    작성일
    08.11.26 18:35
    No. 16

    한담란은 연재작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곳 입니다. 100000번 맞는말도 엉뚱한데서 하면 엉뚱한 소리일 뿐입니다.

    정담가서 이야기를 나누셔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8 총려
    작성일
    08.11.26 18:56
    No. 17

    저야 워낙 모르는게 많기에 누가 이렇다 하면 '아하 그렇구나' 하고 다른데서 그것과 반대되는 주장이 나오면 혼란스러워 합니다[...]
    이래서 공부를 하는것인가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sydm
    작성일
    08.11.26 20:34
    No. 18
  • 작성자
    검뎅이
    작성일
    08.11.26 22:17
    No. 19

    일본어, 히라(가타)가나 그 어디에도 [ ㅓ ] 발음은 없습니다. 세이버라는 단어를 정말 사용하는지 의심되는군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다물이
    작성일
    08.11.26 22:34
    No. 20

    그 뭐냐 페이트에서도 세이버를 세이버로 불러주던...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29 스톤부르크
    작성일
    08.11.26 23:26
    No. 21

    검뎅이님//'세이바'라고 적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