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6

  • 작성자
    Lv.73 SmokinLi..
    작성일
    08.09.23 00:47
    No. 1

    와아~ 색다른 발상. 영감이 무럭무럭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8 Ca현천
    작성일
    08.09.23 00:48
    No. 2

    후우 그 견본으로 이영도님의 새 시리즈가 있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玄魔君
    작성일
    08.09.23 00:49
    No. 3

    동양 배경, 우리나라 배경, 현대 배경, SF배경 등의 많은 환상문학들이 있습니다. 문피아에서도....권오담님의 출판작, 전우치전이 수정-재연재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퇴마록이나 신비소설 무, 고리골 같은 훌륭한 출판작들도 있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9 오래된트롤
    작성일
    08.09.23 00:49
    No. 4

    개인적으로 혼자 끄적이는게 하나 있어서 써봤습니다만..

    눈마새, 피마새에서 도깨비 정말 인상적이였다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玄魔君
    작성일
    08.09.23 00:50
    No. 5

    음...그리고 전설적인 작품인 홍길동뎐과 일지매뎐이 있잖습니까..^^;;;
    일지매전은 안읽어봐서 모르겠지만..
    홍길동전 같은 경우....옥수수를 뛰어넘는 훈련을 통해 일학충천!의 경공을 깨우치는 명장면!!도 있고......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9 오래된트롤
    작성일
    08.09.23 00:51
    No. 6

    음, 저는 이런 생각을 해보거든요.


    저희가 서양쪽의 신화등을 신비롭게 여기는 것처럼 서양쪽에서도 중국이나 동방의 국가들을 신비롭게 여기는 부분이 있을거라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저기서 말하는 시각은 동양의 관점에서 동양을 바라봐서 이건 식상하다라 생각할 것들을 서양이나 외부의 관점에서 보이는,
    역사같은거에 얽매이지 않고 색다른 방식으로 썼으면 하는.. 뭐 그런 생각이 들어서요.;;

    아.. 저가 써놓고도 뭔소린지 몰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玄魔君
    작성일
    08.09.23 00:58
    No. 7

    음..이런 건 좀 생소하게 들리실 지 모르겠지만....
    무협소설 표지들을 보면 "Oriental Fantasy"라는 글귀가 종종 보입니다.
    글자 그대로, 동양적 판타지의 가장 큰 전형이죠.

    조진행님의 기문둔갑이나 (작가분 성함 잊었는데...)황정허무경 같은 작품을 보면 술법과 요괴들도 많이 등장합니다.

    오래된 고전으로는 봉신연의(애니메이션 말고)가 있고, 요재지이나 괴이지 같은 것도 있지요.

    다른 개념으로, 저런 동양적 개념은 있되 역사적 사실에서 벗어난 작품으로는 모 작가님의 충룡왕기 같은 작품도 있습니다. 마치...일본 애니메이션 작품 십이국기와 비슷한 향기가 나지만..스케일은 훨씬 크지요.(표절 등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그저 작품색?이 비슷한 종류? 라는 겁니다)

    그리고....제목이 기억안나지만, 문피아 연재작 중에서도 무협이지만 중국역사와 무관한 다른 차원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도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이기기
    작성일
    08.09.23 01:00
    No. 8

    좋은 말씀입니다. 그런 판타지가 주류가 되는 날을 고대합니다. 하지만 쉽지 않을 테고, 어쩌면 그런 날은 안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중세 유럽인 척하는 묘한 세상을 배경으로 너나할거 없이 울궈먹는 판타지(환생, 이계진입 포함)가 대세이고 그런 게 아니면 잘 안 팔리는 시장이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9 오래된트롤
    작성일
    08.09.23 01:03
    No. 9

    물이 고이면 썩는법이라고들 하는데요.

    이제 그만 흐를때도 되지 않았나하는.. 그리고 여기저기서 물길을 만드는

    상황이니 곧 바뀌지 않을까 하는 희망적인 생각을 가져봅니다.

    솔직히 차원이동같은 것도 재미면에서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만..

    그래도 항상 똑같은 패턴은 좀 아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玄魔君
    작성일
    08.09.23 01:10
    No. 10

    게임에 종사하는 입장에서, TRPG 던전스앤 드래곤즈(D&D)와 포가튼 릴름으로 대표되는 캠페인 세계관들은 참 부럽습니다.

    그렇게 거대하게 만들어진 세계관안에서 소설, 게임, 영화 할 것 없이 많은 작품들이 만들어졌지요.....우리나라 출판작 판타지소설에서도 D&D의 캠페인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그 룰은 많이 차용하고 있는 작품들도 많습니다..(...사실 저작권 위반이랍니다.--;)

    개인적으로 동양적, 한국적인 환상 세계와 규칙을 만들어보고자 하는 욕심은 있지만....회사에 매여있는 입장이라...ㅋ.....그런거 만들겠다고 하면 짤릴겁니다. ㅜ.ㅜ

    뭐...막상 만들어지면 그건 그거대로 문제가 되긴 할겁니다. 규칙은 아무래도 자유를 제한하기 마련이니..

    그저, 무협의 세계처럼 자유도가 높은 그정도의 세계라도 만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9 오래된트롤
    작성일
    08.09.23 01:15
    No. 11

    요즘 나오는 게임들 보면 대부분이 비슷비슷하다고 여겨지더라구요.;; 음.. 뭐 물론 그런 회사에서도 만들때 대단한 공을 들여서 만들테지만 아무래도 항상 똑같은 세계관이 이젠 식상해지긴 합니다. 그 덕에 요즘은 온라인게임이랑은 담쌓고 씨디게임이나 하고있습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실군
    작성일
    08.09.23 01:19
    No. 12

    중세 서양의 검과 마법을 기반으로한 세계관의 정형은 완성된지 수십년이 넘습니다. TRPG, 소설, 애니등등으로 수십년간 정립되어온 '중세' 세계관은 기초가 매우 튼튼한만큼 변형이 수월하고 전파력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동양적 세계관이라면 글쎄요... 최근 몇년간나타나기 시작한 9파1방을 기본으로한 무협적 세계관외에 다른게 기억나지 않네요. 게다가 무협적 세계관은 중세적세계관에 비해 변형이 매우 어렵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태산™
    작성일
    08.09.23 01:50
    No. 13

    동양판타지 = 무협 이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십이국기의 경우만 보더라도 발상을 조금만 바꿔도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라고 봅니다.

    단, 출판은 불가능하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玄魔君
    작성일
    08.09.23 01:58
    No. 14

    아. 오해없으시길 바랍니다.
    동양판타지가 곧 무협이라는 것이 아닙니다.
    동양 판타지의 가장 큰 전형이 무협이라는 겁니다.
    "전형"이라는 단어에서 아시겠지만, 어디까지나 "현재의 상황"을 담고 있는 의미인 겁니다.

    무협은 동양 판타지지만, 동양 판타지는 무협이 아닌 거죠.
    수학적 표현을 빌자면
    무협은 동양 판타지의 부분 집합인 겁니다. 그 중에서 (현재까지는) 가장 큰 부분집합인거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핵지뢰
    작성일
    08.09.23 02:45
    No. 15

    일단 소설이란 것은 그럴싸한 이야기, 즉 사실이 아니지만 그럴듯하게 느껴진다는 것이 대전제입니다.

    그 소설의 전제 하에,
    소설이란 장르는 크게 현실을 모사하는 모사 소설(일반 소설)과
    비현실적인 소재나 비현실적인 사건을 담는 비현실적인 글, 환상 문학(판타지)가 존재합니다. 이 판타지는 넓은 뜻의 판타지라고 받아들여도 좋습니다.

    광의의 판타지는 다시,
    비현실적이지만 자연적인 것을 다루는 소설, 과학소설(SF)와
    비현실적이고 초자연적인 것을 다루는 소설, 좁은 의미의 판타지로 나뉩니다.

    이 협의의 판타지 개념 하에서 여러가지 장르적인 소재로 구분이되는데
    그 하위 장르 중 하나가 보통 사람들이 '판타지'라고 생각하는 장르 판타지가 됩니다.

    요즘에는 한국에서 장르 판타지라는 용어가 그럭저럭 알려지고 있지만, 서양쪽에서는 이러한 장르를 "소드 앤 소서리Sword and Sorcery" 라고 불렀습니다.

    소드 앤 소서리 외의 장르를 꼽는다면
    장대한 사건을 웅장하게 서사시적으로 묘사하는 에픽 판타지(반지의 제왕 등)
    선사시대, 고대시대, 중세시대, 근대시대, 현대, 미래 등 시대와 시간배경을 의미있게 다루는 판타지, (선신세 망명자나 다잉 어스 등)
    스릴러나 탐정소설의 성격을 포함하는 판타지,(다아시 경 시리즈 등)
    고딕 소설의 비극적이고 음산하고 기괴한 분위기를 도입한 고딕 판타지 (오트란토 성 등)
    다른 문명을 가진 행성으로 이동한 주인공이 활약하는 행성 로맨스 (존 카터 시리즈 등)
    아동 층을 대상으로 하는 판타지 (톨키엔의 호비트 등)
    전쟁이나 군대 등 군사적인 소재를 주제로 삼은 밀리터리 판타지 (마법의 검은 손 등)
    SF의 논리와 문맥을 차용하거나, 과학이나 기술을 판타지의 소재로 차용한 과학 판타지나 테크노판타지 (지킬박사와 하이드 씨 등)
    오컬트를 소재로 하는 오컬트 판타지 (퇴마록 등)
    특정 성이나 도시 등 한 지역을 무대로 삼아 중심으로 심도있는 이야기를 펼치는 캐슬 판타지/어반 판타지,
    과거의 판타지 대본을 재조명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수정주의 판타지 (들장미, 기억 슬픔 가시 연작 등)
    주인공이 이미 죽은 상태이거나 죽은 이후를 이야기하는 사후/내세 판타지 (진 울프의 평화 등)
    동양, 북유럽, 아라비아, 켈트 족 등 특정 지역색과 토착 전승 등에 중점을 둔 장르, 오리엔탈 판타지, 노르딕 판타지, 아라비안 판타지, 켈틱 판타지 등 (천일야화, 브로큰 소드, 각종 무협 등)

    아주 수많은 하위 장르가 있습니다.

    중세 비슷한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판타지만을 흔히 보아와서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할 뿐, 사실 판타지라는 용어는 뿌리가 깊고도 넓습니다. 중세 시대의 각종 민담도 판타지이고, 신화도 판타지이며, 아동들에게 들려주는 동화 다수도 판타지이고,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조차도 판타지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玄魔君
    작성일
    08.09.23 03:04
    No. 16

    이야.....오랜만에 보는 판타지 장르군요....몇년전인가 정담이거나 토론마당에서 본 기억이 납니다.(어쩌면 다른 사이트...?)

    그 당시 토론에서는 대충 정리되었던 듯 했는데.....그 때는 아마 기원에 대한 토론이었을 겁니다. 쥬베나일 스토리까지 올라가는가, 아니면 신화까지 올라가는가..뭐 이런 거였던 듯...

    그런데 저는 이른 "소재에 따른 분류" 혹은 "배경에 따른 분류"는 그다지 의미가 없지 않을까 해요. 소재와 배경이 서로가 정신없게 넘나드는 지금에 와서는....

    그리고 위의 분류에 따르면...아서 클라크의 작품과 달리 아이작 아시모프의 작품은 판타지에 속한다고 보는 분들도 많더군요. 스페이스 오페라라고 하던가요... 그렇게 놓고 보면 결국 "자연"과 "초자연"의 정의가 문제가 되겠지요...

    이를 테면.....외계인이 등장하는 SF에서 외계인이 초자연적 힘을 다루게 된다는 설정...같은 것들이 자연과 초자연의 경계에 설테고....
    뭐...이런게 원래 칼로 베듯 나눌 수는 없겠지요.

    결국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광의의 환상문학, 즉 "비현실"을 다루는 것 까지가 되는 걸까요....
    음..여기까지 오면 다시 "비현실"의 정의가 또 문제가 되는 군요.ㅡㅡ;;;

    이를 테면..."초능력" 특히 "염동력"에 대해서는 그 메커니즘까지는 모르지만 실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알고 있습니다.(출처까지는 아니지만...한백림님의 어느 글에서 "감응사"에 대한 해설을 해주실때 의학 논문이나 사례?등을 언급하시더군요...나름 출처.^^;;;..)
    그렇다면 초능력은 현실일까요 비현실일까요.....
    엑소시즘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는데, 실재한다고 하더군요. 그 역시 비현실과 현실의 경계에 있을 까요....

    일상과 비일상으로 나눈다면 좀더 낫....지 않겠군요...ㅡㅡ;;

    어렵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