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0

  • 작성자
    Lv.1 SL.아리엔
    작성일
    08.07.11 16:39
    No. 1

    소설은 소설일 뿐이다. VS 소설은 현실을 반영한다.
    두가지는 항상 충돌하겠지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라후드
    작성일
    08.07.11 16:50
    No. 2

    무개념한테서 무개념이 나오지 않겠습니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문백경
    작성일
    08.07.11 17:12
    No. 3

    휴우... 우리 아킨이는 그런 진단에 해당이 안된다는 것에서 안도의 한숨을..... ;;;;; (머엉)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실군
    작성일
    08.07.11 17:34
    No. 4

    공감가는 좋은 글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파나엘
    작성일
    08.07.11 17:41
    No. 5

    으음. 그렇긴 하지만...저는 조금 다르게 보고 싶습니다.
    현대의 도덕관과 그 세계의 도덕관은 전혀. 다르죠.
    중세시대의 교수형은 축제에 가깝다는 거. 아세요?
    현재 우리나라를 위해 사람을 죽이면 죽일 놈이지만 중세에서는 영웅이지요.
    뭐랄까요.....그 무협에서 나오는 주인공이 약한데 좋은 검을 가지고 있으면 다른 사람이 주인공을 죽여서 검을 뺏으려 들겁니다.

    살인은 나쁩니다. 나쁜 주인공을 변호하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세계관에 어울리는 가치관이면 저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살인은 나쁜 세계관에서 저런 무개념 주인공이 나오면 매너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민(珉)
    작성일
    08.07.11 18:08
    No. 6

    제 주인공들은 대부분이 사이코패스입니다 제가 인정을 합지요... 괜히 착한척을 하는게 아니라 자기중심적인 인물들로만 채워져있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0 홍은수
    작성일
    08.07.11 19:42
    No. 7

    상상으로 커버가 되는 건 사이코패스가 인간이기 때문이겠죠.

    등 뒤로 무엇이 지나갓을까? 하는 사이코패스 진단도

    통계에 불과하고 연쇄살인마들은 지능적으로 모델을 세우자면

    한니발 렉터 박사가 그 모델에 적합하다..

    솔직히 저는 사이코패스라는 소재에 대해 별로 좋은 소재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

    이 이후의 글은 연쇄살인범 파일이라는 서적에서 많은 부분

    영향을 받은 개인적인 견해이며 개인적인 견해이므로

    지적은 받지 않겠습니다. 새로운 사실 추가는 아, 그렇군요 하고

    보는 정도로 넘어갈게요.

    1. 연쇄살인범들의 발생

    연쇄살인범은 충격적인 유아경험이나 선천적, 그리고 확연한

    목적살인등에 의해 생깁니다, 이 들은 대부분 좋지 못한 가정환경이나

    폭력적인 부모 밑에서 자란 경우가 많아 사회적인 피해자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 들은 고등교육을 못받았거나, 불온한 성장환경으로

    그다지 정신상태가 깨끗하지 못합니다.

    테드번디같은 연쇄살인범도 있다, 이지.

    연쇄살인범은 지능적이며 테드 번디와 비슷하다. 가 아닙니다.

    2. 연쇄살인범의 행동

    연쇄살인범은 살인이라는 행동과 성충동을 직 간접적으로 연관지어

    행동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들의 충동은 성충동과 비슷하며,

    그래서 여자연쇄살인범보다는 남성연쇄 살인범의 수가 많고.

    그 살인의 수법은 교묘하기보다는 음흉하고 비밀적입니다.

    이들은 대부분 자기들이 한니발 렉터가 된 것 마냥

    단서를 숨기려고 하고 비밀스러운 곳에서 작업했다고 생각하기에

    조디악 같은 폭탄살해범이라도 된 것마냥 자신의 범죄를

    지능적이라고 생각합니다.

    100명 살인의 목적살인이나 청소년 연쇄살인범들이나

    죽음의 간호사같은 여러 연쇄살인범들은 그것이 범죄임을

    인식하고 있고, 사이코패스의 경우도 도덕관념이 없는것이 아닙니다.

    무협의 주인공들 같은 경우는 이렇게 생각해보죠.

    공산주의의 군인들이 대립되는 사상을 가진 군인들을 포로로잡아

    공산주의에 대해 찬양하는 글을 쓰게 합니다.

    그러면 쌀과 약간의 포상이 나오는데, 이 포로들은 자신들이

    이 포상때문에 공산주의를 찬양하는 글을 쓴 것이 아니라

    자기가 공산주의자였기 때문이라고 자기세뇌를 하고

    공산주의로 전향한다고 합니다..

    이토록 자기긍정의 힘이 강력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관습적인 풍토도 그럴 것이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성주[城主]
    작성일
    08.07.11 19:45
    No. 8
  • 작성자
    Lv.9 캄파넬라
    작성일
    08.07.11 23:17
    No. 9

    애초에 연쇄살인범 들이 주인공인 소설은 어쩝니까 그럼(......)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취서생
    작성일
    08.07.12 09:23
    No. 10

    공장 무협이전 중국류 소설이 지배적일 때는 주인공이 살인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자기를 해하려 했던 사람들을 몇번이고 용서하고 풀어주기에 그 때문에 화가나고 읽으면서 답답해 울분을 토하던 적이 많았습니다. 그 때 소설들은 살인보다는 의와 협 또는 사람들 사이의 정에 대한 내용이 주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기정(奇情)소설이라고 예전에 많이 불렀었죠...구무협에도 좋았던 점이 많이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