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8

  • 작성자
    꿈일
    작성일
    08.06.28 01:58
    No. 1

    한글을 써서 소설을 쓰는데 한문이 안 들어가기 힘들죠. 판타지여도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적절하게 쓰면 괜찮죠. 철혈공작같은 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일관되지 않게 써서 독자에게 혼란만 주지 않는다면야..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7 헤제키아
    작성일
    08.06.28 01:59
    No. 2

    글쎄요... 공작이라는 말부터가 한자어인데 그런 자잘한 것을 신경쓸 필요까지야..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검우(劒友)
    작성일
    08.06.28 01:59
    No. 3

    문제 없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가검
    작성일
    08.06.28 02:03
    No. 4

    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판타지 배경이라고 해서 용기사단 이렇게 쓰면 안되고 드래곤나이츠 이렇게 적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차라리 영어로 쓰는게 낫지 않을까요?
    한글은 한자어의 비중이 굉장히 큰 말이고 그 한글로 쓰는데 배경이 판타지라고 한자어를 사용하지 마라라고 하는건 옳지 않다고 봅니다.
    그리고 한자어를 제한한다고 해도 그 기준도 굉장히 모호하고요.
    한자어를 바꾼다고 해서 작위들을 모두 영어로 바꾸고 성(城)도 캐슬로 검도 소드로 바꾸는 식으로 한다면 한도 끝도 없을거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소지
    작성일
    08.06.28 02:07
    No. 5

    한글로 글을 쓰는데 한자가 따라 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철혈마신 같은 단어는 좀 거북하기는 하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꿈일
    작성일
    08.06.28 02:09
    No. 6

    사실 전 판타지에서 영어로 쓰는 게 더 싫어요.. 사자기사단(the Knights of the Lion)해서 끝내는 게 더 마음에 듭니다. 소드를 들었다..도 마음에 안 들고요. 검 또는 칼 이라는 우리말 표현법(한자어도 우리말)이 있는데 왜 그렇게 외래어로 쓰는지..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28 프레이오스
    작성일
    08.06.28 02:28
    No. 7

    음.. 그렇군요..^^
    예전부터 글 쓰다 보면 이런 표현이 판타지에 들어가도 되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왠지 제약.. 이랄까 그런 것에서 벗어 난 느낌이 드네요^^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김기절
    작성일
    08.06.28 02:32
    No. 8

    제가 그 글 올렸었죠..

    철혈의 공작 같은거면 차라리 한자로 통일되서 낫죠..
    철혈의 듀크 라던가
    아이언블러드의 공작
    뭐 이러면 엄청 병맛나지않나요?

    영어와 한자가 섞인게 보기 싫은거라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1 토끼와거북
    작성일
    08.06.28 02:51
    No. 9

    라이온.듀크,아이언블러드 이런것들은 다 외래입니다.소설을 쓰는데 굳이 외래어를 사용해서 분위기를 낼 필요가 있는가 생각합니다. 철혈.기사단. 한자로 조어된 글자들은 국어죠. 한국사람은 한국말로 글을 적어야된다고 생각..

    하지만 고유명사가 한자로 된거는 보기 싫더군요.

    즉 저 같은경우에는 고유명사만 외래어를 쓰고 나머지는 한자어로 쓰는게 젤 좋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saintluc..
    작성일
    08.06.28 03:16
    No. 10

    한자를 썼다고 문제 될것을 없을것 같네요 어짜피 다른 세상 이야기를 우리가 알게 끔 썼다고 하면 되니깐요 애초에 말부터가 다르다는 설정의 소설들을 전부 한글로 바꿔서 쓴 셈이니 우리가 알고 있는 어떤 말을 쓰던 그건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2 낭마니
    작성일
    08.06.28 03:26
    No. 11

    그런 건 별로 이상하지 않은데 이런 건 좀.

    예를 들어 노랑머리 푸른 눈의 소드마스터가

    "횡소천군!"

    하는 식으로 중국 무협에서나 쓸만한 기술명을 쓰는 소설들은

    참 어색하다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도시여우
    작성일
    08.06.28 03:42
    No. 12

    필력만 받쳐준다면 아예 재창조하는것도 괜찮죠.
    하얀로냐프강처럼요.
    그리고 톨킨의 작품도 대부분 그러지 않았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묘엽
    작성일
    08.06.28 06:47
    No. 13

    노랑머리 푸른 눈의 소드 맛스타부터 병맛;;
    일단 소드맛스타 전부 병맛인지라;;
    하얀늑대들 같은 포스의 기사들이 역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마르시앙
    작성일
    08.06.28 09:37
    No. 14

    한글을 쓰는데 한자는 쓰지 않는다라.....
    힘들걸요. 정말로.
    그렇게 쓴 판타지 있으면 추천좀 부탁합니다.
    정말 한자 없나 보고싶어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휘리스
    작성일
    08.06.28 10:36
    No. 15

    동양인들이 서양의 소설을 번역할 때 한문어로 번역하는 경우가 다소 있습니다. 역사서도 그렇ㄱ요

    그러니 저희가 쓰는 소설에 한문이 들어가도 큰 상관은 없겠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봉소육
    작성일
    08.06.28 11:47
    No. 16

    단어의 뜻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한자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꿈일님이나 김기절님 말씀처럼 일관성을 유지하면 판타지 소설에서 한자를 써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에고냥
    작성일
    08.06.28 11:55
    No. 17

    외국의 유명한 판타지 소설들 많지요?
    그 예로, 반지의 제왕이나, 헤리포터등이...
    번역되어서 출판되었는데, 우리가 쓰는 언어엔 순수한 한글이 대부분이지만, 한자 표기어도 상당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위의 번역된 책들은 영어로 된 글들을 번역하다보면, 한자로 되었는 단어들이 꽤 나오는데....
    왜 그런것은 지적을 하지 않을까요.
    윗분들 말씀처럼 너무 무분별한 사용만 아니라면, 무난하게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조화연
    작성일
    08.06.28 20:54
    No. 18

    판타지라고 한문이 안들어가는게 말이 됩니까. 언어가 한글인데요....
    외국에서 쓰는게 아닌, 한국에서 쓰여지는 이상 한국형 판타지가 되야하지 않겠는지요 ^^;;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