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8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4.12 21:24
    No. 1

    "선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진명眞明
    작성일
    16.04.12 21:29
    No. 2

    오카상♥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6 흉갑기병
    작성일
    16.04.12 21:29
    No. 3

    별 차이 없지 않나요? 이름 대신 법명으로 부르는 것 외에는...사형, 사숙, 사조 다 쓰던걸로 기억하는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1 흑색숫소
    작성일
    16.04.12 21:55
    No. 4

    같은 항렬이나 배분은 사형이 될거고 하나 높으면 사숙 2배분이상이면 사조 아닌가요? 무협 본지가 오래되서 가물가물 하네요ㅎㅅ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정주(丁柱)
    작성일
    16.04.12 21:55
    No. 5

    불교의 교는 '가르칠 교'입니다.
    가장 위에 석가모니의 가르침이 있고, 모두 그를 따라가는 수련자 들인데, 자신을 가르친 스승과 사형제들이 있습니다.
    즉, 다른 곳에서 사형 사숙 사숙조 쓰는게, 사실 다 불교에서 나온 겁니다.

    그리고 이건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첨언하는 겁니다.
    흔히들 '종교'라 하면, 영어로 하면 religion이나 faith를 생각하는데...
    오역이 그냥 쓰이다 굳어진 겁니다.(굳이 해석하자면, 신앙, 믿음 으로 해석했어야...)

    동양의 종교는 '최상의 가르침'이라는 것으로...
    유교, 불교, 도교는 신이 없고 사람이 있으며(토착화 되어 신과 결합하기도 하지만...) 제자백가라고 아시죠?
    그것 처럼 '스승'이 있고 가르침을 배워가는 '학파'입니다.

    그중 가장 조직적이고, 시스템적으로 잘 정비되었던 것이 '불교'이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5 난토
    작성일
    16.04.23 17:13
    No. 6

    학파로 분류할 때는 불가 유사 도가와 같이 사용합니다. 불교 유교 도교 같은 경우는 시스템적으로 종교적 색체를 가질 때 사용합니다. 위 사례와 반대로 제자백가의 다른 학파인 묵가 법가 음양오행가 등에 교자를 붙이지 않는것도 다른 학파는 종교적 색채를 가진적이 역사적으로 없기때문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정주(丁柱)
    작성일
    16.04.12 22:02
    No. 7

    해서...
    따지고 보자면, 어떤 스승 아래 제자냐에 따른 배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나이는 절대 중요하지 않습니다.
    나름 기수제라고 보시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악산(岳刪)
    작성일
    16.04.12 23:11
    No. 8

    아직 계를 받지 않은 사미라면 먼저 계를 받은 정식 스님들에게 '현공스님' 이나 '법우스님' 처럼 법명으로 부릅니다.
    소림에서는 계를 받을 때 이마에 계인을 찍습니다. 계를 받고 나서야 소림의 상징인 붉은 가사와 한손 합장이 허락됩니다.(혜가를 기리는 의미입니다.)
    계를 받아 출가를 했다면 자신보다 먼저 출가한 스님들을 '현공사형' 이나 '법우사형' 이라 부르겠죠.
    그보다 한 배분 더 높다면, 즉 자신의 스승과 같은 배분의 사형제들은 '공진사숙' '료범사백' 등으로 부릅니다.
    그 위로는 '사조님' '사숙조님' 이라 부르죠. '사백조님'은 없습니다.
    그 위로는 '태사조님' '태사숙조님',
    마지막으로 책임자인 방장인 경우 '방장스님' 이라 부릅니다.
    간혹 설정에 따라 나한당의 책임자를 '나한당주' 라거나, 장경각의 책임자를 '장경각주'라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