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21

  • 작성자
    Lv.80 키루미
    작성일
    08.03.16 06:33
    No. 1

    줄거리는 기억안나고 마지막에 용이 부활해서 쿠베린이 용이랑 싸우면서 끝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0 키루미
    작성일
    08.03.16 06:33
    No. 2

    스포일러 인가? ㄷㄷ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턴슬러
    작성일
    08.03.16 06:55
    No. 3

    쿠베린에게는 소원을 들어줄 수 있는 뭔가가 있었는데요, 얘가 너무 강해서 소원이 없다가 우연히 부활하게 된 용 한 마리랑 싸우다가 용의 강함에 반해..서 용을 부활시켜달라고 소원을 빌고 끝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악멸
    작성일
    08.03.16 08:09
    No. 4

    "나는, 너에게 도전한다. 이 빌어먹을 용새끼!"

    기억에 남은 대사입니다. 지상 최강종족의 왕 다웠다고나 할까요.

    보고 또 봐도 재미있죠......오늘 한번 더 읽어야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흑마인형
    작성일
    08.03.16 10:08
    No. 5

    쿠베린이 묘인족의 왕인데 묘인족의 공통된 가치는
    "힘"이죠..
    부활한 용과 싸우면서 이렇게 강한 존재가 없다는게
    아쉽다면서 부활시켜달라고 소원을 빌어서 용을 부활 시키죠..
    그리고 쿠베린은 그 용과 싸우다가 죽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2 오르도크
    작성일
    08.03.16 11:07
    No. 6

    주인공이 죽는다고 해서 작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끝이정말 멋지니 한번쯤은 꼭 보시길 바랍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검치호랑이
    작성일
    08.03.16 12:14
    No. 7

    쿠베린 정말 강력 추천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블랙템플러
    작성일
    08.03.16 12:18
    No. 8

    어라 쿠베린 앞에만 읽어 가물가물한데.. 고양이 생키가 그리쎘나요?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흐르는물살
    작성일
    08.03.16 12:23
    No. 9

    어어... 기억이 나기 시작하네요. ㅎㅎ 마지막에 주인공이 죽어서 굉장히 안타까웠던거 같네요. 어쨌든 위에분들 한가지 빠트리신게.. 쿠베린에는 주인공의 묘인족외에도 조인족이랑 사인족 그리고 엘프도 나옵니다. 인간도 마도사들이 굉장히 강력하죠. 문제는 이 종족들이 서로 피터지게 싸운다는 건데요. 마지막에 주인공이 용을 부활시키면서 강대한 용한테 대항하기위해 이런 여러 종족들이 파티를 구성해서 같이 용과 싸운다는게 데미의 장식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피터지게 싸우다 더 큰힘이 생기니 서로 힘을 합친다는 것이죠..;; 글솜씨가 없어서 뜻이 제대로 전달된지 몰르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흐르는물살
    작성일
    08.03.16 12:23
    No. 10

    갈등뒤의 화합이 결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흐르는물살
    작성일
    08.03.16 12:25
    No. 11

    그리고 이소설에서의 묘인족은 고양이가 아닌데요..ㅋ 파충류과였던걸로 기억.. 드래곤의 피를 이은 종족중 하나죠. 변신(?)을 한다는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구름돌멩이
    작성일
    08.03.16 14:56
    No. 12

    오랜만에 느끼는 고전의 향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3 리앤
    작성일
    08.03.16 14:58
    No. 13

    아니죠. 파충류는 적으로 나왔던 키메라였구요. 쿠베린은 게으른 고양이과가 맞는 것 같은데요. 빈둥거리길 소일삼았던 쿠베린. 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6 레피드
    작성일
    08.03.16 16:00
    No. 14

    이건 질답란이나 정담란에 어울리는 글같군요.
    공지를 준수합시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4 고샅
    작성일
    08.03.16 22:51
    No. 15

    고양이 맞아요. 조낸 게으른게 부러웠다는 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7 남가
    작성일
    08.03.16 23:03
    No. 16

    고양이라기보다는 고양이과의 야수가 맞는 것 같은데요.
    고양이는 야묘족이라고 따로 나왔잖아요.
    호랑이, 표범 같은 고양이과의 육식동물이 더 어울릴 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흐르는물살
    작성일
    08.03.17 00:39
    No. 17

    흠... 그랬나요. 제기억으론 용의 피를 받은 고대종족 이라는 설정이었고 비늘이 돋아나는 변신을 했던걸로 기억해서 고양이가 아니라 한건데요..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챠챠
    작성일
    08.03.17 16:26
    No. 18

    이수영님이 쓰시는 책들은 다 강추입니다. 읽어보셔도 후회는 없을듯 지금 나오는 그럭저럭책들보다 나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변신팬더
    작성일
    08.03.30 19:52
    No. 19

    용의 피를 받은거였나요? 거인족이 멸망(?) 하면서. 그 피에서 생긴 고대3종족 아니었나요?
    묘인족 사인족 조인족...
    이셋이 합쳐서 거인족(?)을 쓰러트렸던것 같은데....

    고양이과는. 야묘족이 있었죠 ㅎㅎ
    그꼬맹이 마지막까지 살아남아서.. 엘프들과 살러 갔죠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변신팬더
    작성일
    08.03.30 19:53
    No. 20

    그런데 이수영님 쓰신책 다른거 또 뭐뭐있지요? ;ㅁ; 생각이 안나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raeB
    작성일
    08.06.08 01:14
    No. 21

    앤딩은 그렇게 쿠베린이 죽고.... 늙은 난로가 마을에 돌아와
    마리아와 함께 있는 야묘족 꼬마 녀석을 데리고 조인족과 엘프들이 있는 마을로 데리고 간다..........에서 끝이나죠.

    지금도 재미있게 읽고, 레어템입니다. .

    아주 예전, 기억도 할 수 없는 머나먼 옛적에 오로지 존재하는 것은 엘프
    와 거인과 용족만이 살던 그 때에, 엘프와 거인족이 서로 대화를 나누었다.
    엘프는 용들의 날갯짓이 싫었고 그들의 존재가 너무나 거대해서 싫었으며 그들이 너무나 독선적이어서 싫었고 거인족은 용족이 너무 강해서 싫었다. 용족이 날개를 펴고 허공을 날면 거인족은 허리를 굽혀야만 했다. 만약 반듯하게 선 거인족이 용족과 부딪치면 용족은 거인족을 부수고 그 뼈와 그 살을 짓이기며 지나갔다. 거인족은 용족을 증오했고 그들의 독선과 강력한 힘을 증오하여 엘프와 손 잡고 용족의 알을 해하기 시작했다.
    처음 용족들은 자신들과도 같은 강대한 존재를 감히 적대시하는 거인족과 용족을 무척이나 어처구니 없게 생각했고 그 다음에는 그들을 멸시했다.
    그들은 너무나 강했고 그들은 용들을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교활한 엘프들은 꾀를 생각해냈다.
    아직 어린 용들과 용의 알 중에서 암컷만 골라 죽였던 것이다. 암컷이 없
    다면 용은 아이가 생겨나지 않는다. 그렇게 해서 다시 무수한 세월이 지나 용족의 숫자는 줄어들게 되었다.
    그리고 용족들의 쇠락의 시기가 왔다.
    창조신 에르타마나는 용족에게 멸망을 노래했다. 그들은 너무 강대했고 지나치게 강하여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고 있음을 천명하고 창조신 에르타마나는 엘프와 거인들의 오른 편에 섰다.
    용족이 하나 둘 죽어갔다.
    지상 위에 가장 거대한 존재가 죽어갔다.
    엘프와 거인들의 습격을 받고 죽어가는 용족들은 신을 원망했다. 용족의 왕 헤카에타눔은 자신의 세 개의 심장을 뜯어 내어 자신들의 창조신 아르타마나를 저주하며 대지 위에 던졌다. 그 원망하는 마음으로 죽어가는 용왕의 피가 흘러서 세 가지의 보석을 이루었다. 그의 심장이 깨지면서 세 가지 보석이 생겨나고 그 보석은 흙에 묻혔다.
    대지의 여신은 용족을 안쓰럽게 생각했다.
    자비롭고 풍요로운 그녀는 두 손을 벌려 세 개의 보석을 안아 올려 그 보
    석에 살과 피와 힘을 불어넣었다. 그리고 창공의 여신이 새로이 나타난 세 종족을 바라보고 그 종족에게 미소짓자 그들이 숨을 내쉬기 시작했다. 창공의 여신은 그들에게 숨결을 불어넣어 삶의 기운을 뿜어내 완성시킨 것이다.
    첫 번째 나타난 붉은 보석의 종족은 여신들에게 키스하면서 달려나갔고 두 번째 나타난 푸른 보석의 종족은 창공의 여신에게 감사를 표하며 날아올랐고 세 번째 나타난 노란 보석의 종족은 여신들의 자비에 감사하며 걸었다.
    그리하여 고대의 세 종족은 용족의 죽어버린 심장에서 태어나 뛰고 달리고 날기 시작했던 것이다.

    세 개의 종족들이 어우러져서 가장 먼저 한 일은 자신들을 막아서는 거인족과 싸우는 일이었다. 날개가 달린 조인족은 용족의 나는 힘을, 사납고도 교활한 사인족은 용족의 교활함을, 거칠고 오만한 묘인족은 용족의 살기를 얻었다. 그들 세 종족은 서로 반목하고 서로 다투면서 거인족과 대결했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 거인족의 마지막 거인의 왕 오롤프의 눈을 꿰뚫은 것은 조인족이오, 오롤프의 다리를 자른 것은 사인족이며, 오롤프의 심장을 가진 것은 묘인족이었다. 그리하여 이들 세 개의 부족 중에서 가장 강한 것은 묘인족이 되었다.
    그리고 그 때부터 서로의 강함을 질투하는 세 종족의 반목이 시작되었다.
    거인족의 피에서 무수한 아인족이 생겨나고 아인족 중에서 가장 아이를 많이 낳는 인간이 지상 위를 덮기 시작했다. 거인족이 멸망하던 그 순간 중립을 지키고 뒤로 물러났던 엘프들을 멸시하며 아인족들은 사방으로 퍼져나갔으며 그리고 그 보다 더 많이 아이를 낳았던 인간들이 다른 아인족들 위에 서서 자신도 아인족이라 불리는 자들 중에 하나인 주제에 스스로를 '인간'이라 불렀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