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8

  • 작성자
    Lv.14 벽암
    작성일
    07.12.15 22:27
    No. 1

    근데..중세의 범위가 어디부터인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6 새로운하루
    작성일
    07.12.15 22:39
    No. 2

    어짜피 레이피어야 결투에서 주로 쓰던 무기이지 전쟁터의 무기는 아니지 않을까요?
    레이피어는 한 손엔 긴 레이피어를 다른 손엔 짧은 망고슈를 들고 결투를 하는데 쓰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간단한 예로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티발트와 로미오의 결투 장면을 들 수 있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1 릴체
    작성일
    07.12.15 23:05
    No. 3

    [명사]<역사> 역사의 시대 구분에서, 고대에 이어 근대에 선행(先行)하는 시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건국 초기부터 망하기까지의 시기를, 중국에서는 당나라의 멸망으로부터 명나라 말기까지의 시기를, 서양에서는 5세기의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에서 15세기 중엽 동로마 제국의 멸망에 이르는 시기를 가리킨다. ≒중세기.



    국어 사전을 붙여 주는 이 센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프라우다
    작성일
    07.12.15 23:27
    No. 4

    새로운하루// 그렇죠.... 결투용. 망고슈(왼손이라는뜻:그런데 오른손에도 낄수있다)라는 짦고 가는칼을 방어용도로 쓸정도로 레이피어는 빠르면서 그 레이피어라는 무기자체로 상대의 공격을 막아내기 어려운 무기였죠. 게다가 위력이 심하게 약했다는것.... 만일 레이피어가 전쟁용이었다면 -_-....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59 slglfslg..
    작성일
    07.12.15 23:29
    No. 5

    흠, ~~ 너무 그렇게 따지면, 음, 권장할 사항이 아니라고 하고 싶지만..
    구구절절 옳은 말이고, 또한 지구는 공전한다'와 같은 당연한 얘기를 적어놓으셔서.. 반박이 나오기 힘들겠네요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서비스
    작성일
    07.12.16 00:24
    No. 6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 칼이 갑옷을 입은 상대를 죽일 수 있는가 아닌가요?
    그 칼과 갑옷을 만들 수 있는 기술력의 차이(시간의 차이)를 말하는 것은 아닌것 같네요...
    판타지 소설에서 중세를 보통 바닥에 깔고 시작하는데...
    지구에 있어서의 중세와는 약간 다른점이 마법의 파괴력과 마법을 부여한 무구 등이 있어서 겉모양이나 그 물건을 만들 기술등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2 asdfg111
    작성일
    07.12.16 00:47
    No. 7

    솔직히 저도 레이피어가 전쟁에서 사용 된다는게 웃겨서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스트리나
    작성일
    07.12.16 01:52
    No. 8

    도검류는 원래 전쟁 무기가 아닙니다.
    일부 사막에 사는 민족처럼 더위 때문에 방어구를 착용할수 없는
    특이한 상황이 아닌한 도검류를 사용하진않습니다.
    본문에 쓰인 것처럼 적을 수월하게 때려잡는 치명적 무기를 선호하게
    됩니다.
    중세시대 전쟁에서 선호된 무기는 창과 메이스입니다.
    도검은 보조무기로 지참하고 다녔습니다.
    가장 적은 노력으로 큰 효과를 볼수 있는 창을 주무기로 지급되었으며
    전체의 일부에 해당하는 기사들은 마상에서 창과 메이스류를 사용했습니다.
    창은 당연히 돌격에 사용되었고 메이스는 난전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제련술이 많은 발전을 했다고는 하지만 도검의 내구력은 믿을만한게 못돼었고 난전중에 도검이 부러진다는것은 목숨을 내 놓은것이나 마찬가지 였습니다.
    도검은 상대의 방어구를 효과적으로 무력화 시키기 힘든 무기입니다.
    보조무기로 많이 사용된 도검엔 에스톡이란것이 있습니다.
    레이피어의 전신이라고 보면됩니다.
    레이피어의 두께를 넓힌것으로 직경 2-3cm에 2-4Kg정도의 무게로
    창처럼 찌르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위력은 풀플레이트만 아니라면 대부분 뚫을 정도로 강력합니다.
    하지만 1대1이라면 모를까 찌른다는 동작은 매우 위험한 동작입니다.
    그래서 메이스류의 타격무기로 강타하는 것이 애용된것입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총포류가 나오자 중갑의 효율이 떨어집니다.
    차라리 경갑을 입고 기동성을 살리는것이(장전시간이 길기때문에
    장전사이에 돌격해야하는데 중갑으로 인해 기동력이 떨어지면 1번
    사격으로 끝날게 2번의 사격으로 이어질수도 있기 때문에) 변화 합니다.
    그에 따라 무기도 무거운 무기에서 가벼운 무기로 변화합니다.
    창이나 메이스처럼 무겁거나 거추장스러운 무기대신 총신에 도검을
    장착한다거나 제련술의 발달로 내구력이 많이 좋아진 도검이 전쟁에
    등장하게됩니다. 에스톡은 두껍고 무거운 필요가 없어져서 좀더 얇고
    가벼워집니다.(펜싱칼 보다는 두껍고 무겁습니다)
    힘에 의한 무기술이 점점 사라지고 가벼운 무기를 다루는 도검술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의장용으로 발전된 레이피어는 귀족들이 흔히 차고 다니는 무기가 됩니다.
    마상결투는 점점사라지고 도검에 의한 결투가 귀족다운 결투로 자리잡아가며 레이피어에 의한 검술은 귀족의 기본덕목으로 자리잡습니다.
    점점 가벼워지고 살상능력이 줄어서 스포츠처럼 변한 레이피어가
    현재 전해지는 레이피어입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