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5

  • 작성자
    시느현
    작성일
    07.03.26 13:50
    No. 1

    왜 다들 정통정통 남발하는지 모르겠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58 세마포
    작성일
    07.03.26 15:15
    No. 2

    한국이 통념적으로 정통을 중요시하니까요. 그래서 원조라는 말도 많이 쓰죠. 애초에 판타지에서 정통이라는 단어는 그다지 ... 국내 판타지는 역사도 짧고 지금도 장르의 하나로서 확고하게 인정받진 못하고 있어서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Azathoth
    작성일
    07.03.26 17:18
    No. 3

    -_-) 어이쿠... 이거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레이니블루
    작성일
    07.03.26 18:15
    No. 4

    최소한.. 상상력을 빙자한 깽판은 안나오니까요. (경험상) 제가 여태까지 본 바로는

    정통 어쩌고물 : 어느 정도 안정된 설정, 좋을수도 나쁠수도 있는 상상력과 세계관
    기타 :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는 설정,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는 상상력과 세계관


    이런 상황에서 당연히 '정통'을 선호하게 되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닥터던힐
    작성일
    07.03.26 18:32
    No. 5

    시느현//정통이라는 말에 기분이 상하셨나보네요.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__)
    제가 굳이 정통이라는 말을 넣은 이유는 초창기 한국 판타지들의 설정과 느낌이 그나마 비슷해서 넣은겁니다.
    초창기 한국판타지는 무분별한 먼치킨이 난무하는게 아닌 사람이 스스로 이룩해서 나아가는 형태였죠(영지물은 이 분류에서는 선자 즉 무분별한 먼치킨쪽으로 분류하겠습니다)
    먼치킨류를 좋아하지만 요즘 나오는 먼치킨처럼 말만 노력할뿐 기연이나 우연,운등으로 강해지고(노력한다고 해도 글을 읽어보면 그다지 노력하는 모습이 상상이 안갑니다)뭔가 어색한것에 비해 예전 판타지들은
    강하지만 주위에도 그런 강함이 넘쳐나고 꼭 그 강함을 무조건 들어내지는 않았다고 봅니다. 마침 이블엠파이어가 그런종류의 소설이길래 한번 추천해본겁니다. 한번 읽어봄도 나쁘지는 않다고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