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7

  • 작성자
    Morphine
    작성일
    05.09.30 20:02
    No. 1

    어느정도 크기 라는건 대충 잡혀잇겠지만 설정하기 나름이겠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메선생
    작성일
    05.09.30 20:04
    No. 2

    그 어느 정도 크기라는 것 좀 알려주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帝國의꿈
    작성일
    05.09.30 20:11
    No. 3

    근데 보가 무슨뜻인지..??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3 보를
    작성일
    05.09.30 20:15
    No. 4

    장원은 중국에서는 한(漢)나라 이후로 원(園:苑)이라 불리는 황족이나 부호의 별장이 있었으며, 여기에는 전원산림이 부속되어 있었다. 또 호족이나 부상(富商)에 의한 대토지소유도 발달하였으며, 노예 ·채무노예 ·예속농민[下戶]을 사역하고 자가소비뿐만 아니라 잉여생산물을 매출하는 경우도 많았다. (네이버 백과사전중에서)
    그리고 그 이후 왕조에 따라서 약간씩 다르지만 지방의 호족이 전답과 산림등을 가지고 그 밑에 소작이나 노예를 부린것은 대동소이합니다.
    따라서 장원의 크기는 그 호족의 세력정도에 따라 다르죠..
    보(堡)는 흔히 옛날 군에서 쓰이는 말로 현재로는 진지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장원보다는 작은 개념입니다.
    근데 무협소설에서는 보를 무슨 문파집단처럼 묘사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전에 어디서 본것같아서 확실하진 않지만 흔히 무협에서 쓰이는 문,회,방등은 자세히 보면 약간씩 의미가 다릅니다.
    무슨 문,문파라 함은 그 가르침을 따르는 것으로서 학벌의 개념이고,
    회는 모임 즉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 보면되고,
    방은 이익을 따라 결성되게 됩니다.
    그리고 장은 대개의 경우 낙향한 전직 관리나 지방 호족들이 자신의 거처를 뜻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 규모를 정확히 산출하기 힘듭니다.
    보의 경우도 단순히 진의 개념으로 볼 수도 있지만 그 시작이 작게 했지만 클 수도 있구요.
    두서없는 말이었습니다. 정리해서 취사선택하시고요. 이만 수고하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프롬프트
    작성일
    05.09.30 20:24
    No. 5

    아마도 대명률을 참고해보면 답이 나올 것 같습니다.

    대명률에 보의 크기와 규격, 장원일 경우 개인, 단체일 경우의 장원의 크기와 규격이 정해져 있을 겁니다.

    대명률을 찾고 참고하기가 어려워서 개인적으로 추정해 봅니다.

    보의 크기는 약 10~30만평 인구는 1000명에서 이하 였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내성과 외성의 크기를 합쳐서 그럴 겁니다.

    만약 인구가 1천명 이상이라면 중앙에서 관리가 임명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여기서 1천명은 호패를 받은 사람의 경우로 추정합니다.

    장원의 크기는 큰 장원의 경우 5만~ 10만평 정도로 추정합니다.

    소규모 일 경우 더 작아 질 수 있습니다.

    조선의 경우 경국대전에 왕이 아닌 경우 법으로 99칸을 넘을 수 없도록 규정하였는데 이는 대명률을 따랐습니다.

    이로 미루어 보면 중국에서도 장원의 경우 99칸 이상의 건물을 짓기에는 불가능 하였을 겁니다.

    조선의 왕은 당시 중국의 지배왕조로 부터 벼슬을 받고 대명률의 제약을 받았다는 점을 상기해본 다면 대략 추정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누군가 대명률을 찾아보신 후 답변해 주신다면 정확하지 않을 까 생각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프롬프트
    작성일
    05.09.30 20:30
    No. 6

    위에 "보를"님께서 "보"를 진지의 개념으로 말씀하셨습니다.

    그것도 맞는 말입니다만

    무협지에서 등장하는 "보"의 개념은 중앙집권제 국가에서 국가의 군사력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에 중앙에서 임명한 관리를 임명하지 않고 거주지역의 토착 세력에게 지역의 관리와 치안을 위임했던 곳입니다.

    이후 보의 인구가 늘고 농업, 상업적 생산성이 증가하여 세금의 수요가 증가한다던가 또는 군사적 중요성이 증가할 경우 중앙에서 관리를 임명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현대 중국의 석가보 같은 경우를 참고해보면 추정할 수 있을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메선생
    작성일
    05.09.30 23:21
    No. 7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