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0

  • 작성자
    Lv.59 OXYZEN
    작성일
    05.05.07 22:53
    No. 1

    동감... 소비자를 생각하지 않는 사이트는 아무래도 어렵죠..책값도 비싸고 볼책도 없고... 볼 연재물도 없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0 bonoly
    작성일
    05.05.07 22:58
    No. 2

    명왕전기랑 궁귀검신만 본다는 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가림토검사
    작성일
    05.05.07 23:01
    No. 3

    전 정액권으로도 보고 정액권 하니까 e-cash 4500원이가 주더군요.
    솔직히 책좀 더 많앗으면 좋긴 하지만 별로 아깝다고 보진않습니다.
    안봤던 책들도 많아서 별 불만은 없네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43 청풍야옹
    작성일
    05.05.07 23:15
    No. 4

    동감입니다...궁귀검신 권왕무적만 보죠... 제가 못찾는건지도 모르겠지만 e-book에는 독자들이 이야기를 한만한 마땅한 공간(게시판)도 없더군요... 지금 e-book 에 대한 불만이 하루이틀 된 이야기도 아닌데.. 아직도 교정의 모습이 거의 보이지를 않으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불멸의망치
    작성일
    05.05.07 23:23
    No. 5

    제가 e-비즈니스를 전공하고 있는데 그래서 이런 내용을 보면 좀 관심있게 보는 편이죠.
    저런 사소한 접근 방식 문제만으로도 사이트의 성패가 결정되어집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금강
    작성일
    05.05.08 02:34
    No. 6

    뭔가 크게 착각을 하고 계신듯 하네요.
    사이트의 문제점은 저도 파악하고 있기에 그걸 리뉴얼 중이긴 합니다만...
    연재가 100개가 되어도 정액제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정액제 가입한다고 해서 연재는 볼 수가 없게 되어 있거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서설
    작성일
    05.05.08 07:25
    No. 7

    으음.. 그렇다고해도, 이북은 웬지 수익모델이 아니라 서비스 모델같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비유하자면, 아주 오래되서 만화도 소설도 오래된것 몇권뿐이지만, 역앞에있어서 하루손님 두세명은 꼭오는 그런곳이랄까요. 아마 적극적인 투자도 이루어지지 않는 형편이라고 보는데, 그건 수익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이겠지요?
    예를 들어, 출판된지 일정기간이 지나지 않으면 특별히 출판사와 협의를 거치지 않는한 이북으로 나오지 않는것으로 아는데, 아마도 대여점등 출간된 책의 매상저하를 우려한 것이겠지요. 이북모델이 그수익을 대체할만한 시장이 못된다고 생각하는거겠구요.
    그런데, 적극적인 시장조사가 이루어진게 아니라 확실히 말씀드릴수야 없지만, 대여점까지 가서 보지 않고 연재된분량만 읽거나 혹은 이곳에서 추천을 받아도 대여점에 가면 잊어버리는 독자가 분명히 있습니다. 즉 시장이 반드시 일치하는 게 아니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그런 독자의 주머니를 열게하기 위해서, 또한, 인터넷 뱅킹이나 핸드폰 결재등 온라인에서 돈쓰는게 간편해서 독자에게 쉽게 구매충동에 빠지기 쉽게한다는 점에서 이북시장은 상당한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북이 고무림이북만있는게 아니고 여러 업체가 있는 와중에 이곳에서만 볼수있는 내서재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아질수 있는점이야 있지만요, 신간이 바로바로 올라오고 연중된글이 바로바로 이북에서 올라온다면 대여점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일정비율이상이 이북쪽으로 몰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고무림 이북이 사실 가장 큰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고도 생각하고요. 물론 이정도론 택도 없으니 적극적인 홍보도 필수겠지요. 고무림뿐이 아니라 다른싸이트에서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서설
    작성일
    05.05.08 07:30
    No. 8

    위에한말은 요새 수업듣는내용이랑 겹쳐서 좀 제생각을 말씀드린거구요
    이제부턴 좀 근거없는 생각이랄까요
    수익의 효율이라는 면에서도 이북쪽이 훨씬더 좋다고 알고있거든요. 출판사는 잘모르겠지만, 작가에게는요. 출판사와 이북업체가 서로 알력이 있어서 그런건가.. 만일 그런거라면 몇개 출판사주도로 합심해서 만드는것도 괜찮을텐데.. 고무판이 주도해서요(라기보단 고무판이북이 그런거 아닌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긴수
    작성일
    05.05.08 12:39
    No. 9

    금강님 그건 왜 그런가요? 정액권으로 연재물도 보고 그러면 안되는지?

    그리고, 이북은 정말 비쌉니다.
    대여점에서 빌리는 가격보다 싸야 하는 거 아닌지..
    여튼 윗분들 말씀에 동감!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7 玄魔君
    작성일
    05.05.08 16:46
    No. 10

    이북..대여점보다 비싸도 됩니다. 볼게 있으면 사서 봅니다.(저는요) 문제는....종이책과 동시출간이 안된다는 겁니다.

    결국..오래전에 보고 싶었다가 어느날 문득 생각은 났는데, 근처 책방에 없으면...그 때 이북찾아봅니다.--;
    여기서 두번째 문제....원하는 책이 없습니다..쩝.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