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8

  • 작성자
    Lv.1 비류
    작성일
    03.10.05 13:10
    No. 1

    수운검은 운엽이 벽력의 힘을 배우기 전에 쓰던 것이라서 연검으로 혈접난무라는 초식위주로 싸우기 위해 쓰엿던 것 같구요..묵령은 벽력의 기운을 버티어 낼 수 있는 검으로 벽력의 힘을 주로 쓰기 위해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또 운엽의 무공이 많이 늘었으니 굳이 연검을 쓰지 안는다고 해서 혈접난무의 위력이 약해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지금까지 제 생각이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3 머리박아
    작성일
    03.10.05 13:17
    No. 2

    아무리 무공실력이 늘었다고 해도 연검과그냥 검은 달라요.
    어떻게 별차이가 없게되는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쑹태
    작성일
    03.10.05 13:29
    No. 3

    묵령의 비밀!! 내공을 주입하면 휘어진다!! 허헉!! 퍼퍼퍼퍽 @_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스까이
    작성일
    03.10.05 15:26
    No. 4

    별차이가 없게된것은..사부가 벽력의 힘에 어울리는 새로운 검술을 만들어주었죠..혈접난무였나..?이것은 바탕으로 해서요^^;
    그리고 검은 그냥 검일것입니다.연검으론 벽력의 힘을 여러번 뿌릴수 없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폐인지존
    작성일
    03.10.05 16:03
    No. 5

    원래 연검과 일반 패검은 사용법에 큰차이가 없어요,,,,환검에 유리하긴하지만....

    무협에서는 내공이 높은 고수들이 나오니까 연검에도 다른 사용법이 있을수도 있지만 .........연검으로 하는 초식을 일반 패검으로도 똑같이 할수는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3 머리박아
    작성일
    03.10.05 16:09
    No. 6

    초식을 따라할지는 모르지만 위력은 다르지요. 그리고 연검과 일반
    패검은 달라요.내공이 높도라도 사용하는 것이 다르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6 레피드
    작성일
    03.10.05 16:16
    No. 7

    투황님 말씀대로 연검과 패검은 다르지요.
    사마쌍협에서 수운검을 처음 얻을 때도 자운엽이 그러지요
    이 녀석을 얻어서 초식이 더욱 강해질 것 같다고요
    손목의 간단한 움직임만으로 나비의 날개짓이 몇 배는 늘었다고
    말을 하는 것만 봐도 무공의 고하와는 관계없이 다른 초식들의 현란함
    은 당연히 줄겠지요 뭐 워낙 기초실력이 올라갔으니 그 때의 초식위력과
    지금 초식위력과 비교를 한다는 것은 좀 이상할테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3 머리박아
    작성일
    03.10.05 16:24
    No. 8

    그러니깐 연검을 사용하면 내력소모도 줄일수 있고 위력도 더
    나아질것 같으니까요.제가 이글을 쓴 결론은 일반패검보다는
    연검이 훨씬 낫다고 생각되니까?묵령을 연검으로 하자는 거지요.(제생각이지만)묵령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이 없으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파천러브
    작성일
    03.10.05 16:33
    No. 9

    쌍검을...수운검 묵령..(퍽),.;;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폐인지존
    작성일
    03.10.05 16:34
    No. 10

    음....실제로는 연검으로 찌르기 하는 고수도 몇안됩니다.....
    전 그런 상황을 말씀 드린거고 ...일반론이죠....

    그리고....패검의 유연성도 장난이 아닙니다....일반인도 힘차게 찌르면..검끝이 5~6개정도로 보이죠....

    연검이 채찍처럼 움직이는건 아니니까 웬만한 초식들은 패검으로 대신해도 큰 무리는 없다는 말이었습니다...연검이 현란한 변초들을 구사하는데는 패검보다 유리하지만...실제로는 힘이 별로 안실립니다...오히려 패검보다 다루기 어렵죠....사마쌍협 에서처럼 벽력의 힘을 사용하는데는...연검은 패검보다 불리 할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0 WAR神
    작성일
    03.10.05 16:54
    No. 11

    내가 기억하기론 제일 처음 자운엽이 연검 안 쓰다가 쓰게 됐을 때
    그냥 검은 위력적이지만 내공소모가 많고 연검은 위력이 조금 약해지지만 내공 소모가 적어서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걸로 알고 있는 데... 잘못 안 건가.... 만약 이게 맞다면 내공이 뛰어난 자운엽으로서는 당연히 연검을 안 쓸것 같은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살인병기1
    작성일
    03.10.05 18:21
    No. 12

    아 조용하십쇼 뭘 그렇게 따집니까

    그리고 뭉둑하다고 한거 보면 모릅니까?

    그냥검이지 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폐인지존
    작성일
    03.10.05 18:36
    No. 13

    검풍님 ...말이 좀 지나치시네요.

    앞으론 좀 조심해 주셨으면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진립
    작성일
    03.10.05 19:35
    No. 14

    벽력의 힘을 실어야 되니까, 일겁니다.
    종리재정이 만든 명검축에 들어가는 수운검 역시 벽력의 힘을 버티지 못했고, 그 후에 익숙하며 혈접난무를 펼치기 유용한 연검이 아닌 패검을 만든 것 역시 벽력의 힘을 버틸만한 연검을 만들 수 없었기 때문이겠죠 ㅡ.,ㅡ.
    뭐 자세한 이유는 월인님 머릿속을 들여다봐야 겠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사후지기
    작성일
    03.10.05 19:48
    No. 15

    제생각에는 검이라기보단.. 도에 가까울듯 하군요;;
    역시 검보다는... 힘이 쌘 도를 사용해서 내는 벽력의힘이
    더 가아겠지요...
    날이 스지 않은 도라. 멋즤내요...
    근대.. 마지막에 종리재정에게 검집을 만들어 달라는걸 보니
    검은검인대.. 우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공대무적
    작성일
    03.10.05 20:47
    No. 16

    벽력이라하면 번개라 하겠죠? 무협에서 과학적으로 따지면 안되겠지만 ^^; 단면적이 넓은것이 얇은것보다 저항이 작으니 같은 힘을 보낼경우 더에너지 손실이 적게 보내겠죠 고로 얇은 연검보다는 유리하겠죠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幻首
    작성일
    03.10.05 21:28
    No. 17

    그냥 검이겠죠...
    그리고 혈접검법을 펼치는데도 무리가 없다고 봅니다.
    전에 사부인 사중협이 말하길 혈접검법은 훌륭하지만
    너무 변화에 치우친다고 했습니다.
    어중간한 고수에게는 쓸만하지만
    진정한 고수에게는 오히려 위험을 초래한다고 했던것 같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무공을 그런 관점에서 전수한 것이고,,
    이런 면에서 본다면 완벽을 추구하는 자운엽이 검법의 단점(?)을
    그냥 두지 않았을거라 생각합니다.
    손에 익은 만큼 연검을 사용할 때는 그러하지만
    묵령을 사용할 때는 그런한 점을 감안 할 거라 생각 하고요.
    그리고 연검은 벽력의 힘을 사용해서 이제 수명이 다한걸로 알고있는데
    그러면 쌍검은 무리가 아닐까하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악비
    작성일
    03.10.05 22:01
    No. 18

    헉! 묵령으로 인해 엄청난 논쟁이 벌어지는군요.
    댓글수가 17개.

    찬성: 0 | 반대: 0 삭제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