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2

  • 작성자
    Lv.32 환산
    작성일
    14.07.13 14:55
    No. 1

    오 감사합니다.. ㅋㅋ 뭔가 제대로 이해가 된 것 같습니다!!! 굿!!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4.07.13 14:56
    No. 2

    백린님이랑 밑에 그 댓글 단 사람과 결국은 같은 이야기를 하는거라고 생각해요;
    이런 글까지 나온 이유는 그 댓글 단 사람이 상대의 댓글은 읽거나 이해할려고 하지않고 무조건 반박만 할려 해서, 백린님이 자세하게 설명을 붙이신건데...
    결국 두개가 같은 이야기;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2 환산
    작성일
    14.07.13 14:56
    No. 3

    저도 비슷하다고 느꼈습니다.. ㅋㅋ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4.07.13 14:59
    No. 4

    물론 이해는 백린님의 설명이 훨씬 쉽습니다 :D
    왕이 죽자 왕비도 죽었다. -> 이런 인용을 이용하니 빠르게 와닿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tasd1245
    작성일
    14.07.13 14:59
    No. 5

    A physical event (Point A = psycho killer is picking off everyone in town. Point B = police arrest the killer).

    A decision (Point A = character wants to practice law like his father. Point B = character decides to be a ballet dancer).

    A change in a relationship (Point A = They hate each other. Point B = They fall in love)

    A change in a person (Point A = character is a selfish jerk. Point B = character has learned to be less of a selfish jerk.)

    A change in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a situation. (Point A = character appears to be a murderer. Point B = The reader realizes that character is actually innocent and made a false confession.)

    대략 이런 것들이 포함된게 Plot 이죠 :0... 일단 저분말대로 설계도라면 나름 설계라 할 수있는데 설명이 부족했습니다. 잘 정리 해주셨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별궁
    작성일
    14.07.13 15:00
    No. 6

    이해를 못하시네 ㅋㅋㅋ
    왕이 죽자 왕비가 죽었다 (스토리)
    왕이 죽자 왕비가 죽었다 이 스토리를 이용해 슬픔 이야기를 만들다.( 작가 목적 슬픔 이야기 만들다. 슬픔은 주는 플롯를 이용해)
    왕이 죽자 슬픔을 못이겨 왕비가 죽었다.
    왜 와 논리적 구성이 있을면 슬픔 이야기가 됨?? 걍 이야기만 있는것지
    슬픔은 주기 위한 목적 플롯이 없는데?
    재미를 주기 위해 논리적 구성만 있다고 재미다? 재미를 주기 위한 플롯이 없는데?
    무슨 개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0 백린(白麟)
    작성일
    14.07.13 15:01
    No. 7

    결정적으로 착각하고 계신게, '좋은 플롯 = 재미있다' 가 아닙니다.

    좋은 플롯이란 논리적 구성, 연결이 잘 되어 있는 플롯을 뜻하는 거예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위대한알라
    작성일
    14.07.13 15:00
    No. 8

    플롯이란 건 그냥 스토리의 인과를 짜는 도구 같은 것. 대단한 것도 아니고 꼭 짤 필요도 없는 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7.13 15:32
    No. 9

    저기요.
    여긴 디시가 아니에요.
    찍찍 내뱉으려면 디시 가시구요.
    개솔? 이라니.
    놀라워라.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미더라
    작성일
    14.07.13 16:07
    No. 10

    플롯에 대한 모범적인 설명이네요. 왕과 왕비의 내용은 스토리와 플롯의 차이를 설명할 때 예로 드는 유명한 이야기이죠. 별궁님은 플롯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한 듯 합니다. 그리고 플롯은 대단한 것이고 꼭 짜야하는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김은파
    작성일
    14.07.13 16:09
    No. 11

    원글의 주장도 맞습니다만, 드라마 및 시나리오 교본 및 강습에선 플롯=설계도 개념으로 가르치기도 합니다. 또한 플롯이 설계도고, 그 설계도를 바탕으로 소설을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왜냐 하면 주제와 인물, 사건을 정한 상태에서 얼마나 논리적으로, 또 얼마나 극적으로 전달할 것인가를 고민해서 설계를 해놓고, 그걸 바탕으로 씬을 쓰고 하는 것이 플롯이고, 실제로 영화 방송계에선 먼저 짜놓고 스토리를 진행하는 훈련을 합니다. 그런 훈련을 몇년이나 받는 사람들도 있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2 다훈
    작성일
    14.07.13 18:09
    No. 12

    학교에서 배운 것.
    소설의 3요소 : 주제, 구성(플롯), 문체
    구성의 3요소 : 인물, 사건, 배경(시간,공간)

    즉 구성은 어떤 공간과 시간 속에서 인물이 펼쳐 나가는 행동(사건)을 어떻게 배열하는가 하는 것. (요령있게, 개연성있게, 이가 맞아 떨어지게 )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