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29

  • 작성자
    Lv.96 무전청신
    작성일
    14.05.13 15:19
    No. 1

    다크게이머가 약간 비꼬는 형식의 표현 아닌가요? 여태까지 그렇게 알고 있었던 ......... 하하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해피루스
    작성일
    14.05.13 15:20
    No. 2

    프로게이머가 당당하게 게임으로 돈을 버는 이들이고...다크게이머란 비공식적 수입게이머라는 뜻으로 그리 말하는 것으로 압니다.
    제가 게임 쪽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이 아니지만 아이템현금거래나 게임머니거래 같은 그런 것들이 불법으로 알고 있어서요...불법이란 것은 아니고 저는 불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불법적으로 돈을 벌기에 어둠이란 의미를 담은 게이머가 되는 것이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8 방프로
    작성일
    14.05.13 15:34
    No. 3

    세금을 안내기 때문이죠.

    지하경제랑 같은 맥락이라고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魔羅
    작성일
    14.05.13 15:44
    No. 4

    다크게이머라고 불린게 좀 오래됩니다.
    MMORPG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이 나오면 일반적으로 유저의 성장폭(경험치량)을 계산해서
    언제까지 어느 레벨에 도달할거다 라는 계산을 합니다.
    물론 이것에는 장비, 필요경비 등을 계산을 하는 법이죠.
    하지만, 다크게이머라는 직종이 노가다를 통해 머니 아이템을 게임내 유통되는 금액과 관계 없는 현금거래를 통해서 특정 회원에게 대량으로 풀어버리는겁니다.
    이러한 식으로 특정회원은 현금을 통해서 필요한 시간을 대폭줄여버리는거죠.
    즉, 게임의 수명이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해당 회원이 회사측에서 정한 60레벨(예를 들어 만레벨)까지 도달할떄까지
    6개월로 잡고 6개월 내에 다음 업데이트 작업을 한다면
    다크게이머로 인해 특정회원이 6개월이 아닌 2~3개월만에 만레벨이 나와버리고
    컨텐츠 없다 재미 없네 등의 이야기를 해버리면 문제가발생하는거죠.
    빠르게 업데이트를 하기위해서는 게임의 완성도가 떨어질수 밖에 없고(버그 테스트나 경험치 습등 등) 저레벨 컨텐츠를 더 다양하게 하는 등의 시간이 없어지는 것이라서
    그렇게 불리는 것이라 알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1 광인자
    작성일
    14.05.13 16:14
    No. 5

    겜판에서 만든 단어 아닌가요

    MMORPG 하면서 그런 말 쓰는 사람 본적이 없는데..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1 우룡(牛龍)
    작성일
    14.05.13 16:19
    No. 6

    있긴 하지만, 그 수가 적고 만일 적발되어 신고를 당하면 안되기에 '나는 다크 게이머다!'같은 미친짓은 하지 않죠.
    솔직히 다크 게이머. 오글거리잖아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3 슈크림빵이
    작성일
    14.05.13 16:28
    No. 7

    없죠. 그 사람들은 그냥 용돈 번다 또는 작업한다라고 하지. 프로게이머나 다크게이머 같은 게이머라고 생각안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3 starfish..
    작성일
    14.05.13 16:21
    No. 8

    겜소설에서 나온거죠 용어자체는.
    대리겜이나 아이템사고 파는건 게임초창기부터 있었지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슈크림빵이
    작성일
    14.05.13 16:29
    No. 9

    그렇죠 겜판에서 나온 유치한 단어일뿐.
    그냥 아이템 사고 팔고 대리겜하는 일종의 알바 또는 작업자일뿐이죠. 다크게이머라는 웃기는 단어를 쓸 필요도 없는데. 먼가 있어보이게 하기 위해 중2병 가진 어린작가들이 쓴 단어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9 금토일
    작성일
    14.05.13 16:37
    No. 10

    oo
    아마 진짜 현실 게임에서
    다크게임머 란 단어을 쓰면 다들 배꼼잡고 자빠 질듯

    게임 판타지 작가들이 만드러낸 단어 일뿐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커피고냥이
    작성일
    14.05.13 17:00
    No. 11

    그렇죠 윗분들 말처럼 겜판에서 만들어낸 중2병 단어죠.

    겜판 초기에는 없었는대 어느사이 생겼더군요.

    저 단어 생긴 이후로는 겜판은 거의 접은거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魔羅
    작성일
    14.05.13 17:16
    No. 12

    대부분 그냥 작업장이라하죠 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쿠리오
    작성일
    14.05.13 17:19
    No. 13

    되게 한심해보이는 직종을 어케든 포장해보려고 만든 단어죠.

    겜판은 그런 한심한 짓거리때문에 팔란티어 이후론 본적이 없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채이서
    작성일
    14.05.13 17:38
    No. 14

    댓글 모질게 단 분들. 그럼 작업장에서 24시간 전업으로 매매용 캐릭 돌리는 사람을 프로게이머라 부르나요?
    글쓴 분의 생계형 게이머는 입에 붙나요? ㅋㅋ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3 보드기
    작성일
    14.05.13 17:53
    No. 15

    사실 템팔이 골드팔이가 적당합니다
    근데 그럼 안멋있고 찌질해보이니까 다크게이머라고 이름붙였든데 사실 이게 더 오글거림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제이르트
    작성일
    14.05.13 17:55
    No. 16

    무슨 단어가 있어요 그냥 작업장주랑 작업장알바지
    다크게이머가 중2병 단어 아니면 뭡니까 생계형 게이머도 웃긴건 마찬가집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1 水月猫
    작성일
    14.05.13 18:56
    No. 17

    생계형도 입에 붙진 않지만 다크게이머 보단...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3 슈크림빵이
    작성일
    14.05.13 19:16
    No. 18

    보통 작업장을 돌리는 사람들에겐 사장님 또는 작업장주라고 하죠. 거기서 일하는 사람들은 그냥 알바생 그 이상 이하도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2대이상 돌리면서 겜하는 사람들은 작업자 또는 골드팔이라고 하죠.
    먼 다크게이머씩이나.. 어둠의 자식도아니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변태왕
    작성일
    14.05.15 23:15
    No. 19

    작업장에서 돌리는 케릭들은 자동 프로그램으로 돌려서
    그냥 자동,동자 등으로 부르죠

    자동좀 잡아라,자동 제제안하냐,자동땜에 짜증난다,누구누구 자동 돌린다 신고한다,
    누구누구 작업실 케릭이다, 어디 작업장에서 일한다,

    이런식으로 부르죠 금전적 이득을 위해서 24시간 풀로 사냥하고
    리니지 기준으로 수천만원에서 몃억원하는 장비 들고 싸우는작업실케릭들은
    일반유저가 감당하기 힘들죠 비 작업장 케릭중 착용장비 합계가 몃억 넘어가는 케릭이 몃잇긴하지만 회사 사장 정도되는 돈만은 사람들이고
    일반인이 검하나에 몃천에서 억대까지가는 집판검(집행검) 사서쓰진 안으니까요

    다크게이머 라고 나온글 처음본게 좀 예전에 어떤 중학생인가 고등학생이 쓴 겜판소설에서 봣는데 그후로 여기 저기서 막써대는 사태가 ㅡ.ㅡ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변태왕
    작성일
    14.05.15 23:18
    No. 20

    아 일반적인 작업실 케릭들 장비는 싸구려씁니다.
    자기 작업장 자동들 죽이면 고렙+고강장비로 도배한 작업장 케릭들이 싸우러 날아오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9 금토일
    작성일
    14.05.13 17:49
    No. 21

    생계형...작업장알바...비꼬아서 프로게임머...

    딱3가지는 실제 게임에서 쓰는 단어 이고
    그것 말고 쓰는 단어가 생각 나지 않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1 운도실력
    작성일
    14.05.13 21:22
    No. 22

    그것보다... 전 그걸 사는 사람이 있는게 놀랍고 그걸 사도 등장조차 못하는게 신기하던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0 발로쓴다
    작성일
    14.05.13 22:32
    No. 23

    아직 바람의 나라에다 6개월 동안 천장이상 현질 하는 것도 본적있군요
    그래서 모두가 병신이냐고 까고 있는데
    술안먹고 용돈으로 샀는데.......이러면서 월급명세서를 인증
    그러자 모두들 순삭
    돈벌어서 어릴때 놀았던 게임을 심심할때 하고 싶었다는데 무슨 말을 합니까 ㅋ
    극단적인 것으로 예를 들었지만
    사람을 자신의 기준으로만 보면 이해를 못하겠지요
    그냥 이해는 하지만 싫다고 해야겠지요

    국내에서 템을 현금으로 환전하려면 세금붙습니다.
    그리고 현금영수증도 끈어줍니다 ㅋ
    문제는 중국작업장 때문에 한해에 몇조식 중국으로 빠져나가서 문제지요
    다크게이머라는 말은 여기서 생략하고


    마지막으로 게임판타지소설들처럼 운으로 돈이 되는건 아닙니다
    현존하는 2D 3D 논타겟 게임만 해도 엄청난 확률싸움입니다
    게임의 종착역이라는 가상현실게임이면 얼마나 잘 만들겠어요
    보통 운빨로 돈벌던데 어림도 없겠지요
    그냥 로또 당첨되는게 더 쉬울겁니다,
    실제 로또 당첨 확률을 가뿐하게 넘겨 버리는 드랍확률과 성공확률은 흔합니다
    버그라면 모를까?
    현제도 게임이 출시되고 얼마지나지 않아서 숨겨진 스탯과 능력치까지
    분석해버리는데 운은 글쎄요
    가장근접하는 정답은 지칠줄 모르는 노가다가 정답입니다
    시행착오없는 순수노가다가 빠르냐, 게임이 분석되는게 빠르냐의 싸움일수도~

    현재 가상현실게임 소설을 보면.
    사람이 직접 게임속에 들어가서 움직이는 것만 빼면
    게임설정은 놀랍게도 현재 게임설정수준보다 못합니다
    어떤것은 설정이 모바일게임수준만도 못하더군요
    과학기술은 발전했는데......게임은 퇴보합니다
    만일 가상현실이 가능한 과학시대에 그런 게임은 사람들의 시선을 끌지 못하고
    망합니다.
    마차는 바퀴없이 공중부양시키는데 정작 마차를 끄는 건 진짜 말이 끄는거와 비슷한 경웁니다
    현실은 실현 못시키는 가상환상게임이라고 해야겠습니다
    그런데 2D게임설정보다 못한 게임소설이 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게임프로그래머들을 대상으로 한 게임소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재미만 있으면 되잖아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3 슈크림빵이
    작성일
    14.05.14 02:23
    No. 24

    다른건 다 동의하는데 게임설정은 동의 못하겠네요.
    지금 3D를 넘어 4D의 시대인데 인기를 끄는 게임들 보면 2D인것도 많고 이해가 가지 않는 그래픽의 게임들도 있습니다.
    즉 가상현실겜이 현실화 된다고 해도 무조건 현실적인 그리고 초현실적인 그래픽이나 게임설정이 인기끌거란거는 아니라고 봅니다.
    어느게임이 대박날거라는건 그 누구도 장담못합니다.. 그걸 장담한다면 매년 수백억써서 게임만들고 망하게 하지 않겠죠.
    수백만원쓰고 대박나서 하루 수억 버는 모바일겜도 있고. 게임설정 및 게임성의 대박 유무는 정말 신도 모르는거임.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8 방물장수
    작성일
    14.05.14 10:32
    No. 25

    게임은 몰입도와 접근성 그리고 밸런스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겜판의 밸런스는 상상을 초월하는 언밸런스 입니다. 그렇게 게임 만들면 아무도 안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스킨크
    작성일
    14.05.13 22:38
    No. 26

    참 이상한걸로 논쟁이 벌어졌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2 난꽃이다
    작성일
    14.05.14 00:55
    No. 27

    다크게이머.. 바로 책을 덮게 만드는 마법과도 같은 그 단어. 동의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시디
    작성일
    14.05.14 13:20
    No. 28

    다크게이머라는 말은 겜판에서 만들어진겁니다
    현실에서도 있긴 했는데 다크게이머라고 부르지는 않고 딱히 특별한 명칭은 없었던걸로 압니다.
    그냥 작업장돌린다고 하면 다 알아들었죠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0 발로쓴다
    작성일
    14.05.14 22:44
    No. 29

    페이지가 넘어겠네요...안보겠지 하면서 씁니다

    확률로 게임은 돌아갑니다
    해외사이트 중에 이런 곳도 있지요
    주문제작 개념으로 템을 판매하는 곳입니다
    게임 아이템 중에서 옵션을 적는 곳이 있습니다
    원하는 옵션을 기록하면 .....몇대 몇의 확률로 나오는 템입니다
    그래서 몇일 몇시간 몇분 정도 지나면 받아 갈수 있습니다

    그리고 확률에 따라서 판매금액이 자동측정 해서 통보해줍니다
    딱 그시간쯤 되면 원하는 옵션의 템이 나옵니다
    원하는 옵션은 기본에 재수 좋으면 추가옵션까지 붙어서 나올수도 있습니다

    한마디로 게임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몇만개가 동시에 돌아가는거죠
    하지만 프로그램은 주문한 템 외에는 아무리 좋아도 무시 입니다
    작업장 개념으로만 이해한다면 설명 불가능 ㅋ

    재미있는건 비선호 템이라도 확률적으로 나오기 어려운 옵션조합으로 가상 주문해보면
    어마어마한 금액으로 측정되어 보여줍니다
    사이트 운영은 많아봐야 두명 세명? 정도 인듯 보이죠
    그나라의 휴가철이 되면 보통 15일에서 30일간 주문 안받습니다 공지 뜹니다 ㅋ
    우리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주문하는지 .....한글로도 공지가 뜹니다
    대한민국의 현질까지 동원한 게임사랑은 국제적으로 알아줍니다 ㅎㅎ

    그런데 대부분 난 모르는 일이라고 이해를 안하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