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21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3.09.02 16:05
    No. 1

    굳이 그런 단어를 써야하는가부터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6 백작.
    작성일
    13.09.02 16:07
    No. 2

    아! 좋은 말씀 이세요. 하루가 지났다. 칠일이 지났다. 하는게 독자 분들에게 더 수월하게 읽힐것 같습니다. 헌데 무의식 적으로 읽어 왔던대로 써지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 입니다. 그리고 전부 풀어서 손쉽게 쓴다고 해도... 모르는 것이라 혹 아시는분 계시면... 사용 하지는 않더라도 알고 가고 싶기 때문 입니다. 조언 감사 드립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작은불꽃
    작성일
    13.09.02 16:10
    No. 3

    주야는 낮과 밤을 뜻하는 거니 일주야는 1일이 맞는거죠.
    그걸 1주일로 사용한다면 당연히 비문이 되는 것이고요.
    특정 단어의 의미를 작가가 임의로 바꿔든다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8 수라백
    작성일
    13.09.02 16:17
    No. 4

    글의 분위기나 적당한 어감, 기타 등등 이런 것을 따져서 적당히 사용하면 될 듯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묘수(妙手)
    작성일
    13.09.02 16:17
    No. 5

    간단한 조언을 드리는게 아니라...단순히 무협에 분위기를 생각한다면, 칠주야로 적는 것이 낫습니다.
    예를 들어 보자면...
    마교의 절대지존 뭐시기와 정도의 고수 개시기가 일주일동안 격렬한 싸움을 벌이고, 양패구상을 하였다. 라는 말 보다 마교의 절대지존 뭐시기와 정도의 고수 개시기가 칠주야동안 격렬한 싸움을 벌이다 양패구상을 하였다.

    어떤게 더 분위기가 사는 것 같습니까?
    단순한 예시 글이라 느낌은 전혀 없지만, 그래도 후자 쪽에 무협에 조금 더 와닿지 않습니까?
    그리고 하루 이틀, 이런 걸 굳이 일주야 이주야로 쓰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건 단순히 하루 이틀 이렇게 써도 충분히 살릴 수 있으니 만큼, 오히려 일주야 이주야 쓰면 독이 될지도 모르죠.

    어떤 것을 쓰는 지는 작가의 마음이니 원하시는대로 쓰시면 됩니다앙..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0 남채화
    작성일
    13.09.02 16:18
    No. 6

    작은불꽃님 말씀대로 칠주야는 일곱의 낯과 밤 즉 칠일을 말하는 겁니다.
    주야라는 단어로 한번 검색해보셨으면 해결되었을텐데 아깝네요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mayt
    작성일
    13.09.02 16:18
    No. 7

    주야가 하루라는 뜻의 한 단어이기 때문에 1주일과 혼동되어 사용되는건 잘못된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6 백작.
    작성일
    13.09.02 16:24
    No. 8

    음... 듣고보니 고민도 아닌걸로 고민(나름 심각했음;;) 한것 같군요... 정의 하면.. 한문 병행이 없는 '일주야'는 하루를 나타내 지만..하루나 이틀을 굳이 '일주야. 이주야'로 표현할 필요는 없다. 어감 상으로는 칠일밤낮 보다는 칠주야 가 훨 좋다이고.... 일주야 는...뜻이 있기에 1주일이 될수가 없다는 것 같습니다.

    R하임님. 작은불꽃님.수라백님. 묘수님. 남채화님. mayt님 댓글 감사 드리구요.
    묘수님의 절대지존'뭐시기' 와 정도고수 '거시기' 에서 한번 웃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건곤무쌍
    작성일
    13.09.02 16:28
    No. 9

    그냥 칠주야 라고 하시면 해결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6 백작.
    작성일
    13.09.02 16:32
    No. 10

    네. 감사 합니다. 이틀 을 '이주야' 라고 했었거든요. 말이 아닌 문서상의 이틀이라.^^
    결국 이일(二日)로 결정 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게을킹
    작성일
    13.09.02 16:28
    No. 11

    찾기 단축키는 ctrl + f 이니 참고하세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6 백작.
    작성일
    13.09.02 16:33
    No. 12

    컨트롤 + 에프 키를 자꾸 잊어 버려요. 이제 인터넷 화면에서도 되는걸 알았으니 오래 기억 할듯요. 감사드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9 부정
    작성일
    13.09.02 16:45
    No. 13

    주일 개념은 기독교에서 온 거라 무협에선 쓰면 보통 비평이 들어오지요. 하지만 현대인은 주 단위로 개념을 잡는 경향이 있어서 그런지 시간분배를 할 때 자기도 모르게 그것이 영향을 주기도 하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6 백작.
    작성일
    13.09.02 17:55
    No. 14

    의외로 기독교에서 온것이 많군요. 감사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3 글동
    작성일
    13.09.02 23:52
    No. 15

    무협에서의 주야는 만하루가 정답같아요. 1주일(7일)이라는 개념은 동양쪽에서는 없었죠. 10(순)일 단위로 하던지 달(태음력)의 형태로 보름(15일)단위, 1개월(삭 인가?)단위....아니라면
    1일단위(주야)가 적당할것 같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현무
    작성일
    13.09.02 17:09
    No. 16

    낮주 밤야.. 천일야화가 천 하루 이야기라는 것 처럼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현무
    작성일
    13.09.02 17:12
    No. 17

    근데 낮에도 싸우고 밤에도 싸웠다는 의미강조인건 이해되는데 꼭 어설프게 이주야 라고 해야하나요. 뭔가 단어선택이 신선하지도 않고 통속적이지도 않아보여서..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6 백작.
    작성일
    13.09.02 17:56
    No. 18

    그래서... 이주야---> 이일(二日)로 바꾸었습니다.
    댓글 감사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0 남채화
    작성일
    13.09.02 17:58
    No. 19

    그게 주야라는 단어에 연속적인 의미가 붙어서 그럴겁니다.
    주야장천, 주야불사, 주야겸행처럼 낯에도 안쉬고 밤에도 안쉬고 계속 한다 등의 의미가 있는거거든요.
    하루 이틀, 일일 이일 같은 것과는 쓰임새가 좀 다른 종류인거라서...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6 백작.
    작성일
    13.09.02 18:01
    No. 20

    아! 그러네요. 좋은 비유 였습니다. 쉬지 않고... 연속적인... 그렇다면 확실이 시간 외적인 것이 가미 되는거죠. 감사 합니다. 좋은 지적 이였습니다. 참조 하겠습니다. 연속..쉬지않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말말말
    작성일
    13.09.02 18:36
    No. 21

    그냥 칠일 밤낮으로 싸웠다고 하면 되지않을까요?
    굳이 헷갈리는 단어를 쓸 필요까지는 없다고 보는데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