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 수 없이 많은 설정들과 여러 장르들의 혼합. 포화 상태 속에서 새로움을 만드려다 보니 생기는 여러 무리수 소설들.
그 속에서 피로함을 느끼셨다면 이 소설을 적극 추천합니다.
설정은 이렇습니다.
구한말 시기, 아직 흥선대원군이 바보로 살고있던 시절. 우리에게 백운학이라고 알려져 있는 실존인물 관상가 김유붕에게 미래 한국군 소령이 빙의하게 됩니다.
그 이후론 실제 역사처럼 박유붕이 흥선대원군의 책사가 되어 무너져가는 조선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이야기입니다.
실제 역사와 다른 점이라면 백운학이 미래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겠네요.
관상이라는 소재로 시작하지만 이 소설에서 설정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초반부 진행도 고리타분하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소설의 진가는 실제 무너져가던 조선을 거시적으로 어떻게 바꿔나가는지 그 과정에 있습니다.
미래 지식을 가지고 와 먼치킨 조선을 만드는 것이 아닌 현실적인 역사 개변을 보여줍니다.
그 시대 정치외교나 역사 자체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다른 대역에서 나오지 않던 실존 인물들을 보는 재미도 있겠네요.
보다보면 나름 뽕차는 순간도 있습니다.
말 그대로 ’대체역사‘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아마 좋아하실 겁니다.
한줄요약: 여러 대역물에 지쳐 클래식을 찾는다면 이 소설 나쁘지 않음.
Commen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