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창대가 낭창낭창한 이유.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
21.10.16 23:15
조회
223

가끔 동양 무협지나 시범 영상들 보면 왜 창대가 낭창낭창하게 휘는 거는 실전성 보다는 화려함을 추구하고 상대를 현혹시킬려고 하는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엄청난 실전적인 이유더군요.

낭창낭창한 이유는 창날이 목에 2cm만 들어가도 총알이나 화살 처럼 회전하는 것과 비슷하게 창대가 낭창거려서 진동을 줘 막강한 살상력을 준다고 하네요.

수실이 달린 것도 전 단순히 멋이라던가, 검의 혈조처럼 창대에 피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만 있는 줄 알았는데. 창을 찌르면은 수실이 목도리도마뱀 프릴처럼 촤악 하고 퍼져서 상대의 시야를 가려버린데요.

낭창낭창한 창대는 가벼워서 찌르기가 수월한데요. 검으로 찌르기보다는 같은 힘이라도 더 빠르다네요.

그 이유가 검을 찔르려면 주먹으로 쨉을 치는 것처럼 팔을 접고 펼쳐야 하는데 창은 그런 준비 동작이 전혀 없이 쑥 밀면 되니까는 더욱 빠르고 막강한 공격력이 나오네요.

크윽.



Comment ' 7

  • 작성자
    Lv.67 kirper03..
    작성일
    21.10.17 01:23
    No. 1

    창대가 낭창낭창한 이유는 낭"창" 낭"창"이어서 그렇습니다

    찬성: 5 | 반대: 0

  • 작성자
    Lv.97 묘한인연
    작성일
    21.10.17 06:34
    No. 2

    전 탄력이 있어서 휘두르기 쉬우라고 그런줄...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일
    21.10.17 09:35
    No. 3

    창으로 후려치는 기술도 있습니다 상대 목을 노리고 치기 처럼 자른다는 개념이 아니라 목젖이나 경동맥은 노리고 창대가 휘어지니 후덜덜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41 태하(太河)
    작성일
    21.10.17 20:41
    No. 4

    무협은 작가들의 상상력이 발휘되는 영역이니 더 언급할 필요가 없겠지요. 그런데 무예로 창술을 연마하는 분들이 있다면 과연 어떤 나무로 만든 창대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조선군은 기창용으로 나무 중에서도 가장 단단한 가시나무를 창대로 사용했습니다. 기창의 특성과 관련이 있겠지만 낭창낭창하고는 거리가 먼 나무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5 고락JS
    작성일
    21.10.17 21:06
    No. 5

    몇 가지 관점이 있겠죠.

    1. 가령 대나무도 창의 재료로 활용됐는데, (말그대로 죽창) 이건 유연성보다는 소재의 접근성이 더 중요했을 거고요.

    2. 군대식 창술에서 창의 유연성을 극대화한 기술이 과연 필요했을까? 란 의문도 좀 있습니다. 그게 필요할 정도의 숙련자라면 일반 병사라고 보기는 어렵겠죠.
    즉 일반 병사를 위한 창이라면 굳이 유연성에 엄청난 플러스를 줄 필요는 없었다는 거죠.
    그거보다는 위에 죽창처럼 구입의 용이성이 더 중요한 항목이었을 거고요.

    3. 현대식 창술도 그렇지만, 전 봉술과의 연관성을 생각해보는데, 사실 그 낭창낭창한 유연성을 극대화해서 사용하는 게 중국식 봉술이거든요.
    보면 중국 창술 역시 그 봉술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어보이고요.
    그 관점에서 보자면 낭창낭창한 유연한 창술이란 개념은 군사적인 전투술의 개념보다는 일종의 무술화된 봉창술의 개념에서 더 필요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찬성: 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일
    21.10.17 21:34
    No. 6

    오 그럴수도 있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8 so*****
    작성일
    21.10.18 05:03
    No. 7

    제가 생각고 있던 것을 고락님이 깔끔하게 말씀하셨네요. ㅎㅎ
    무술 경연대회 같은거 보면 유연한 봉이나 창술, 휘청휘청 휘는 칼, 유성추 같은 것들로 묘기같은 대련이나 시범들을 보여주는데 태극권이니 무슨무슨권이니 하는 맨손 무술처럼 개인 심신수양이나 퍼포먼스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엄청나게 숙련된 사람은 영화에 나오는 것과 비슷하게 사용하겠지만 과연 일전에서도 이론대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중국의 대단한 무술가라는 사람들이 격투선수에게 죄다 깨져나가고는 입만 살아서 나불거리던 영상들이 생각나네요.
    봉술이니 검술이니 해도 현실적으로는 막 휘두름이 될 것 같네요.
    바람의 검심이나 와호장룡처럼 서로 흘리고 막고 베고 화려하게 어울릴까요?
    아니면 같은 집단끼리 뭉쳐서 위아래, 좌우로 무기 휘두르면서 밀고 밀리면서 초딩들 장난감 칼싸움하듯이 할까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1165 표절 작품은 어디다 신고하죠? +1 Lv.99 오타발견 21.10.21 282
251164 문피아에 오징어게임 같은 스타일 소설 없나요? +2 Lv.21 [탈퇴계정] 21.10.21 159
251163 오메가3 복용한지 이틀. +2 Lv.52 사마택 21.10.20 132
251162 좀 나아진건가요? Lv.72 천극V 21.10.20 90
251161 맨유 싫어하는 작가님들 많은가보네요ㅇㅅㅇ +5 Lv.60 식인다람쥐 21.10.20 168
251160 한자성어가 궁금합니다. +4 Lv.1 천명혈사신 21.10.19 150
251159 드디어 선호작 0 +4 Lv.88 통금시간 21.10.19 155
251158 혹시, 故 둔저작가님의 유가족분과 연락되나요? +3 Lv.21 [탈퇴계정] 21.10.19 374
251157 오메가3 +2 Lv.52 사마택 21.10.19 122
251156 본인이 쓴 댓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3 Lv.52 금붕어 21.10.19 109
251155 소설 제목 찾습니다. 갑자기 보고싶어요 Lv.66 녹색키위 21.10.17 114
251154 문피아에 몸은 솔직한 사람들 참 많음 +9 Lv.96 21.10.17 338
» 창대가 낭창낭창한 이유. +7 Lv.52 사마택 21.10.16 224
251152 아포칼립스책벌레 왜 잠금인지 아시는분계신가요? +3 Lv.99 淸花 21.10.16 74
251151 AD 2160년에 깨어났다 보시는 분들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Lv.36 딸기빙수 21.10.16 102
251150 컨택와서 기분 좋아요 +7 Lv.7 키치남 21.10.15 303
251149 즉흥 컨테스트-작가 선발 대회 신설 어때요? Lv.21 [탈퇴계정] 21.10.15 165
251148 제발 시간 역류, 타인 시점 전환 재탕 안 했으면 좋겠네요. +6 Lv.87 누구나회원 21.10.15 202
251147 한번만 도와주실분 +4 Lv.49 앗흥 21.10.15 235
251146 추리 도전 기다립니다! Lv.21 [탈퇴계정] 21.10.14 128
251145 앱 괜찮으세요? +2 Lv.67 신기淚 21.10.14 90
251144 전독시 피규어 당첨되신 분 있으신가요? +2 Lv.42 류건流乾 21.10.14 131
251143 소설속에 초반 멸시당하는 주인공 +2 Lv.69 고지라가 21.10.14 160
251142 왜 회귀를 선택할까? +15 Lv.62 재심 21.10.14 232
251141 국뽕의 문제. +25 Lv.62 재심 21.10.14 236
251140 이 소설 제목뭔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1 Lv.41 바아로 21.10.13 132
251139 말리브해적님 글 내린적있으신가요?? +1 Lv.59 망겜조아 21.10.13 157
251138 디아3의 악몽이... 후덜덜 +5 Lv.52 사마택 21.10.12 171
251137 어느 순간 댓글을 잘 안보게 되었네요 +2 Lv.79 세계지도 21.10.12 128
251136 제가 쓴 소설은 댓글이 하나도 없습니다! +1 Lv.5 폴.D.오캐 21.10.12 18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