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69 고지라가
작성
23.08.27 08:28
조회
180

최근 5년 간 뇌에 스펀지처럼 구멍이 숭숭 뚫리는 병에 걸리는 한국인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해요 .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은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2021년 국내에서 총 67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최근 5년간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다. 구체적으로 2017년 38명, 2018년 54명, 2019년 53명, 2020년 64명의 환자가 보고됐다.



Comment ' 7

  • 작성자
    Lv.99 만리독행
    작성일
    23.08.27 10:19
    No. 1

    로빈 쿡이라는 영국 소설가가 있습니다. 의학과 관련된 소설을 여럿 쓰셨죠. 그 중에 [독 O-157]이라는 소설이 있습니다. 저는 이 소설을 도서대여점에서 빌려 읽었더랬습니다.

    이 소설에는 살인청부업자가 등장하는데, 그는 도축장에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위장 직업이죠. 어느 날 등장인물 중에 누군가가 도축하면서 소의 머리를 바닥에 떨어뜨리게 되는데, 그 바닥에는 소를 도축하면서 생기는 피와 오물들이 있었습니다. 소는 비싼 동물이라서 소의 머리 또한 돈이 제법 됩니다. 그래서 이 사람은 떨어진 소 머리를 '오염된 물질'로 처리하지 않고, 정상적인 처리인 걸로 조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바로 이 때문에 O-157 균이 묻은 소의 머리가 생기게 되었죠. 이 고기는 갈려서 냉동되어 햄버거 패티의 재료로 납품되고, 패티를 제대로 다 익히지 않은 상태로 먹은 사람들이 O-157에 걸려서 죽게 됩니다....

    2008년 광우병 시위가 벌어졌을 때 많은 사람들이 시위에 동참했었죠. 각자 나름대로 시위를 한 이유가 있었을 겁니다. 저는 주로 이 소설에 나오는 도축장의 관리 때문에 쇠고기 수입을 반대했더랬습니다. 맹목적으로 반대만 한 것은 아니고, 대안도 제시했죠. 한국에 수출하고 싶으면, 한국 수출 전용 도축장에서 도축하도록 하자는 겁니다. 그러면 소설 속에 나오는 것처럼 오염되는 일은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을 테니까요... 그리고 그 뒤로 저는 미국산 쇠고기를 전혀 먹지 않았습니다....

    찬성: 2 | 반대: 2

  • 작성자
    Lv.99 만리독행
    작성일
    23.08.27 10:46
    No. 2

    미국 드라마 [보스턴 리걸]에도 광우병과 관련된 에피소드가 2개 나옵니다.

    광우병을 우려한 어느 시장이 쇠고기의 판매를 금지한 사건에 관련된 소송입니다.
    물론 이 시장은 선의로 판매 금지를 결정했겠지만,
    고기와 관련된 업체라든지 쇠고기를 즐겨 먹는 사람들은 이 금지를 받아들일 수가 없었습니다.
    재판에서 시장은 패소합니다.

    어떤 목장주가 자신의 목장에서 나온 쇠고기에 대해서 광우병 검사를 하려고 합니다.
    안전하다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판매를 늘리려는 의도였죠.
    하지만 미국 정부는 이것을 법으로 금지합니다.
    왜 이 검사를 막는지 납득할 수 없었던 목장주는 소송을 겁니다.
    소송의 결과는 잘 기억이 나지 않는군요...

    찬성: 2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40 두부갑빠
    작성일
    23.08.28 12:30
    No. 3

    광우병에 대한 정보가 적어서 확실히 몰랐는데 정보감사합니다. 이제좀 그실체를 알거같네요.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80 크라카차차
    작성일
    23.08.27 18:04
    No. 4

    그래서 미국산 소먹고 광우병걸린거라고 주장하는건가요?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만리독행
    작성일
    23.08.28 07:28
    No. 5

    광우병의 경우는 인과관계를 입증하기가 어려울 듯합니다.
    증상이 발현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니까 말입니다.

    찬성: 2 | 반대: 1

  • 작성자
    Lv.97 네발개발
    작성일
    23.08.29 08:42
    No. 6

    몇달전 만났던 지인이 사망했다는 연락을 받았는데 내가 만나고 한달뒤 갑자기 쓰러져 입원했는데 뇌가 급격하게 사라지는 ??? 병이었다고 합니다. 뇌가 거의 없어져서 한달인가? 만에 죽었다고 해서 너무 슬프고 황당했었습니다.
    광우병인지는 모르죠. 다만 이런 이상한 병이 있다는걸 알고 무서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0 크라카차차
    작성일
    23.08.29 19:23
    No. 7

    뇌에 구멍뚫리는거랑 없어지는건 다른병...뇌가 거의 없다는건 아메바인가? 그거에 걸린듯 뇌먹는아메바 검색하면 어떤병인지 나옴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3771 [작가 vs 독자 논쟁] 본인의 생각을 말해봅니다. Lv.24 별랑(別狼) 23.09.15 157
253770 소설 제목을 찾습니다~ +3 Lv.68 이쁜귀걸이 23.09.14 60
253769 태그제한좀 생겼으면 좋겠네요 Lv.67 스트롱맨박 23.09.14 72
253768 문피아 글 수준 +4 Lv.36 트수 23.09.14 232
253767 글쓰면.. 흠.. 내가 너희보단 더 위다 그런건가요 ???? +9 Lv.66 ck***** 23.09.14 195
253766 글이란 게 참 재밌지요? +1 Lv.22 pascal 23.09.14 107
253765 댓글 삭제 및 차단. +11 Lv.49 뱅뱅S 23.09.14 205
253764 게시글 올렸는데 반대 댓글 달리니까 짜증나죠? +13 Lv.29 민영모 23.09.14 243
253763 치졸하게 노시는 분 같은데 그렇게 살지 좀 마십쇼 +19 Lv.26 검술매니아 23.09.14 279
253762 아래 댓삭차단 내용 악플러때문에 다시 요약합니다. Lv.40 두부갑빠 23.09.14 141
253761 댓글 보이는거 +1 Lv.60 부나방 23.09.14 57
253760 댓글 보이는거 Lv.60 부나방 23.09.14 56
253759 [댓삭&차단 악용문제]에 대해 짚고 갑시다. +38 Lv.40 두부갑빠 23.09.13 328
253758 화산귀환 문피아에서 연재했었나요? +2 Lv.68 애상야 23.09.13 160
253757 소설 추천 좀. +2 Lv.46 불편충 23.09.12 130
253756 마이페이지에 내 점수라는게 있는대 이거 용도가 뭔지 아... +3 Lv.99 진정해쟈샤 23.09.12 171
253755 문피아가 암흑기라고 생각하십니까? +14 Lv.22 pascal 23.09.11 349
253754 독자만큼 지겨운게 편집자 아닐까여 +5 Lv.69 고지라가 23.09.10 215
253753 1화 짜리 작품이 베스트 글에 올라 왔네요 +5 Lv.83 엘림 23.09.10 297
253752 작가로서 존중받기 위한 기준중 몇가지.. +1 Lv.66 ck***** 23.09.10 174
253751 ㅡ컨텐츠가 문학이 될때까지..... +6 Lv.17 서의시 23.09.09 149
253750 요즘 좀비 아포칼립스 글 수준? +7 Lv.36 트수 23.09.09 248
253749 최소한의 작가로서 존중받기위한 기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5 Lv.97 네발개발 23.09.09 253
253748 회귀물이 지루해졌다 +1 Lv.72 천극V 23.09.09 129
253747 추석때 골드 이벤트 할려나?? Lv.64 천사의소멸 23.09.08 78
253746 비난인가 비판인가. +9 Lv.46 불편충 23.09.07 261
253745 소설 하나 찾고 있는데 혹시 아시는 분 계시나요? +2 Lv.30 비블리온 23.09.07 107
253744 일부러 시간들여 댓글로 욕박아주는 글들... +1 Lv.80 크라카차차 23.09.07 124
253743 뭔가 분신류가 좀 있네요 Lv.72 천극V 23.09.07 94
253742 천재 흑마법사 같은 작품없나요? +4 Lv.31 키싱 23.09.07 123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