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45 복날
작성
17.12.06 19:18
조회
742
훌륭하다고 인정받는 작품을 읽고싶다면 도서관에 가면 공짜로 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서관 문학들은 맘잡고 읽기가 쉽지 않습니다. 훌륭한 소설은 무엇일 까요? 조회수가 많으면 훌륭한 소설일까요? 훌륭하다는건 주관적 가치이기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것 같습니다. 어떤 소설을 훌륭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훌륭한건 잘 모르겠고, 제가 안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글들은 예를 들어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어디서 봤던 설정에 어디서 봤던 캐릭터 그리고 항상 봐오던 전개, 
새로울게 하나도 없는 그런 글
 읽고나서 새롭게 느낀것이 하나도 없는 책들은 어느샌가 읽는 시간이 아까워 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하차를 하게 되지요. 

 항상 주인공 옆에는 어린 여자만이 있는 글
 어린 여자가 아닌 대상은 주인공에게 위협이 되는 악당이거나 혹은 존재감이 거의 없는 그런 역할만을 수행 하는데 결국 주인공은 주변인과 연애를 하면서 글이 유치해 지는 경우

 주인공 말고 다 다운그래이드 된 글
 주인공이 뛰어나기 위해서 주변 사람들은 다 모자란 사람이 되서 모든 갈등이 주인공을 통해서만 해결이 되는 소설, 


 위 경우에 다 해당 되지 않는 제가 생각했던 훌륭한 글의 경우 유료로 전환 했을시 따라오는 사람이 조회수와 대비해보면 아주 저조한 모습을 자주 보이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만약에 조회수와 유료로 결제한 것이 글의 성공과 글의 훌륭함을 나타낸다면 훌륭하다고 볼수 없겠지요. 
어떤게 좋은 글일까요? 

Comment ' 13

  • 작성자
    Lv.28 삼각초밥
    작성일
    17.12.06 19:28
    No. 1

    그리스에선 글의 가치를 두 가지로 평가했다고 합니다.
    재미가 있는가?
    교훈이 있는가?
    재미와 교훈이 있는가?

    재미와 교훈 중 하나라도 잡으면 좋은 글이고, 재미와 교훈을 동시에 잡으면 훌륭한 글이겠죠.
    물론 단순히 유료 구매수로만 판단한다면 '재미'와 기호를 잘 캐치하고 쓴 글이 훌륭한 글이 아니겠습니까.
    그래도 저는 재미와 교훈, 둘 다 잡은 글을 자주 보면 좋겠습니다. 굳이 구매수 절대주의에 무게를 두지 않고 말입니다.

    찬성: 1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5 복날
    작성일
    17.12.06 20:09
    No. 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7.12.06 19:42
    No. 3

    말씀하신 주인공 몰아주기 글이 초반에 독자를 끌기는 쉽습니다. 그렇게 몰입도를 높인다음에 재미 속에서 작가의 철학이나 반전시나리오, 설정을 조금씩 열어나가서 완결까지 읽었을때

    아 - 훌륭했다. 라고 느끼는 그런 글이 좋은 글이라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5 복날
    작성일
    17.12.06 20:05
    No. 4

    완결까지 가는게 정말 참 쉽지 않은것 같습니다. ㅋ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탈퇴계정]
    작성일
    17.12.06 20:12
    No. 5

    정서적인 부분에서 공감되는 소설이 명작이라고 꼽을수 있겠죠.
    물론 자극과 사이다를 넣어서 즐거움도 있어야 하겠죠.

    찬성: 3 | 반대: 0

  • 작성자
    Lv.22 pascal
    작성일
    17.12.06 20:21
    No. 6

    본질을 그려낸 글. 바람에 기초한 망각을 지우고, 그 망각의 본질인 허무함, 간절함, 애절함. 본질을 그려낸 글. 사람의 본질을 그려낸 글. 자연의 본질을 그려낸 글. 관계의 본질을 그려낸 글. 현실의 본질을 그려낸 글. 사회의 본질을 그려낸 글. 더 감할 수도 없고. 더 가할 수도 없는 그런 글. 사람들이 거울 속 자신을 마주하지 않으려 그림을 그려넣는다 하더라도, 거울 속 자신의 가치와 중요도는 훼손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남은 모든 명작은 인간을 바라보았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 빅토르 위고 는 인간을 보았습니다.

    찬성: 1 | 반대: 3

  • 작성자
    Lv.88 barbaria..
    작성일
    17.12.06 20:25
    No. 7

    행복한 가정의 조건은 뭘까요?
    풍족한 재산? 화목한 가족? 안정적인 삶?
    그들에게 직접 물어보면 꼭집어서 설명할 수는 없을겁니다.
    아마 여러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만족됐겠죠.
    그러면 역으로 불행한 가정의 조건은 뭘까요?
    아마 각각의 가정마다 "이것 때문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게 하나씩은 있을겁니다. 그게 돈이 됬든 배후자의 불륜이 됬든 말이죠.

    그거랑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잘쓴 글은 여러 요소들이 전부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했을 것이고 못쓴 글은 몇몇 요소들이 기준 이하이겠죠.


    추신; 위의 예시는 제 머리에서 나온 것이 아닌 이전에 본 서적에서 나온 것이므로 저의 있지도 않은 공신력이나 설득력을 보충할 수 있을 겁니다.

    찬성: 3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선술집
    작성일
    17.12.06 21:47
    No. 8

    내 입맛에 맞으면 그게 좋은 소설이고 훌륭한 소설이죠. 왜 다들 어렵게 생각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자신의 입맛이 대세를 이루는 입맛일 수는 있어도 자신의 입맛이 꼭 대세를 이루는 입맛은 아닐 수도 있는 거잖아요.

    찬성: 1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45 복날
    작성일
    17.12.06 22:38
    No. 9

    너도 옳고 나도 옳다면 누구도 비평이라는 것을 할 수 없게 되지 않을까요?
    저는 글을 너무 쓰고싶은데, 좋은 작품을 써보고 싶은데, 제가 쓰려는 글이 어떤 글이어야 할지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게 필요 하다고 생각했어요.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선술집
    작성일
    17.12.06 23:11
    No. 10

    제 글은 독자입장에서의 선택은 결국 주관적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말씀을 드린 거고요. 소설가라면 반대로 자신 주관이 아닌 다수를 이루는 독자의 취향에 맞추는게 맞겠죠. 잘 쓴 소설이 잘 팔리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취향을 저격하는 소설이 잘 팔리는 것이 현실이니깐요.

    찬성: 1 | 반대: 3

  • 답글
    작성자
    Lv.45 복날
    작성일
    17.12.06 23:23
    No. 11

    잘 쓴 소설이 잘 팔리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취향을 저격하는 소설이 잘 팔린다. 정곡을 찌르는 말입니다. 글을 올리는건 결국 읽히기 위해서인데 슬픈 현실이네요. ㅜ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8 글쇠
    작성일
    17.12.06 23:08
    No. 12

    글을 보면서 하나의 세계가 연상되면 좋은 글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글을 읽을 때 이미지화 됩니다. 잘 쓴 글은 색이 다양하고 장면들이 머릿속에 떠오릅니다. 일부 글은 단색이지만 그럼에도 흡인력이 있습니다. 가장 싫은 글은 색이 없거나 색이 이리저리 바뀌는 글입니다.
    권경목 작가의 나이트골렘, 채색이 아닌 단일색입니다만 재밌게 보았습니다. 드래곤라자 역시 단색입니다. 눈마새는 채색이었습니다. 가장 훌륭한 글은 채색의 글이지만 매력있는 단색의 소설들도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3 | 반대: 1

  •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일
    17.12.07 01:12
    No. 13

    현 장르에서 보자면 당연 잘 팔리는 소설이겠죠.
    업자도 좋고. 작가도 좋고. 독자들도 좋고.
    물론 아닌 분들도 많겠지만.
    전 재미를 절대적 가치로 봅니다.

    찬성: 1 | 반대: 1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7097 작품 완결 이후의 행보는 어떻게 될까요? +5 Lv.35 첼로른 17.12.13 728
237096 대체 누구냐앗! +18 Lv.1 [탈퇴계정] 17.12.12 795
237095 소설제목이 기억 안 납니다 +5 Lv.61 Chastirg 17.12.12 592
237094 추천글 쓰기 힘드네요... +18 Lv.83 승천하라 17.12.12 703
237093 비트코인 고등학생을 주인공으로 소설 써보는건 소재로써... +11 Lv.44 나이슈우 17.12.12 730
237092 정담에서 한번 광고 했던 거 같은 글인데요. 찾아주실분! +3 Lv.21 변명은죄악 17.12.12 621
237091 현직 작가님들이나 지망생분들은 글을 어떻게 쓰시나요 +10 Lv.67 아버지당 17.12.12 777
237090 좀비 아포칼립스를 다룬 소설 추천받을수 있을까요? +9 Lv.55 n9******.. 17.12.11 630
237089 먼치킨 주인공들이 너무 숙이고 들어가는 것 같아요 +13 Lv.31 호랑이연고 17.12.11 814
237088 카페 출입금지가 근래에 유료 연재된 적이 있었나요? +9 Lv.41 김시온 17.12.11 826
237087 요새 현판 중에 헌터물 아닌 작품이 있을까요? +8 Personacon 소설씁시다 17.12.11 707
237086 정품 와우 공짜로 하기 +2 Lv.55 씁쓸한 17.12.11 689
237085 창 찌르기만연습해서 초월자되는 소설 아시나요 +8 Lv.53 Rosevery 17.12.11 628
237084 예전작품들 재미있는것들이 있나요? +9 Lv.54 [탈퇴계정] 17.12.11 548
237083 스완슨 잡은 오르테가, 할로웨이 적수될까 +6 Personacon 윈드윙 17.12.11 454
237082 태어나서 처음으로 악플이 달려보네요. +31 Lv.38 땅피 17.12.11 710
237081 잘 써야 된다는 압박감을 어떻게 이겨내세요? +14 Lv.30 태인殆仁 17.12.11 528
237080 가난한 고3이 컬쳐캐쉬를 현명하게 쓸 수 있도록 도와주... +4 Lv.96 17.12.11 531
237079 예전에 본 작품을 찾아요 +6 Lv.68 비구름 17.12.10 498
237078 던전과 게이트는 다른 개념인가요? +10 Lv.9 총균쇠글 17.12.10 498
237077 사회경험이 없으니 사회이야기를 쓸수가없어요.. +12 Lv.55 아메노스 17.12.10 618
237076 버스표 분실! +10 Personacon 적안왕 17.12.10 504
237075 악플에 무너지는 하룹니다 +23 Lv.19 인랑人狼 17.12.10 738
237074 너무 일찍 출발한게 아닐까 했는데 Personacon 적안왕 17.12.10 414
237073 작품홍보 란이 있는줄 오늘 알았습니다. +6 Lv.65 후RU 17.12.10 442
237072 (중요) 현재까지 KOCN(KOCM) 사건 정리 +9 Lv.27 [탈퇴계정] 17.12.10 1,406
237071 UFC ‘신성 킬러’ 스완슨, 오르테가 앞길도 막나 +1 Personacon 윈드윙 17.12.10 515
237070 질문답변과 토론마당 란은 모바일에선 볼 수 없는 건가요? +3 Lv.55 흰색코트 17.12.09 514
237069 여전히 와우를 하고 있습니다. +16 Lv.1 [탈퇴계정] 17.12.09 634
237068 거짓말로 통쾌! +4 Lv.55 짱구반바지 17.12.09 589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