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24 약관준수
작성
17.06.18 06:32
조회
1,230

산위에 프로펠랄 설치하겠답니다.

정말 욕나오네.

소음공해 때문에 주위가 살수 없는 땅으로 변하는데


밤에 어깨들 대리고 돌아다니면서

노인정에 과자공세하고

동장 소고기 먹이고..


정말.

원자력 땐 온천 공세더니...


가장 웃긴 설명


사람에겐 위험하지 않은데

소만 새끼를 낳지 않을 뿐이레요.



Comment ' 7

  • 작성자
    Lv.42 산하련
    작성일
    17.06.18 06:50
    No. 1

    친환경 발전이란게 먼미래에는 어떨지 모르지만
    아직은 허상이 많습니다.
    결국 전기를 얻는 방법은
    지구오난화 문제 일으키는 석유가 효율 가격 등 모든면 고려해서
    랭킹 1위고
    사고나면 끝장보는 원자력발전이 랭킹 2위입니다.
    아직 다른거는... 전기안쓰는 원시시대로 가면 모를까.....
    .

    찬성: 0 | 반대: 3

  • 답글
    작성자
    Lv.10 아저씨냄새
    작성일
    17.06.18 08:00
    No. 2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전력을 원자력에 의존하고 있어서 당연 1위인줄 알았는데 석유가 더 효율이 좋을줄이야...

    찬성: 0 | 반대: 3

  • 답글
    작성자
    Lv.8 미노루
    작성일
    17.06.18 12:29
    No. 3

    단순히 전기 만들어 내는 효율을 따지면 원자력발전소가 압도적이겠지만..
    원자력건설비용 폐원자로처리비용 핵폐기물처리비용등을 따지면
    석유가 더 효율적이라고 하는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4

  • 작성자
    Lv.12 [탈퇴계정]
    작성일
    17.06.18 13:35
    No. 4

    원래 영덕에 풍력발전기 있어요 소음이요? 풍력발전기 바로 아래아니면 소음 들지지도 않던데요 물런 풍력발전기 근처는 소를 못키우죠 발전소 땅이니까

    찬성: 12 | 반대: 0

  • 작성자
    Lv.55 씁쓸한
    작성일
    17.06.18 13:56
    No. 5

    석탄 아닌가요???
    자가발전기 돌리는 새상이 옵니다
    한전 다죽어서 ㅋㅋㅋㅋ

    찬성: 3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멀티태스킹
    작성일
    17.06.18 22:56
    No. 6

    친환경 발전이라는 발전은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습니다. 덜 환경파괴적일뿐이죠. 원자력발전소가 사고의 위험과 폐연료 처리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는다면 사실상 가장 깨끗하고 싼 발전이죠. 친환경발전에 대한 학계의 논쟁은 실제 인터넷 상에서 일어나는 논쟁과는 조금 거리가 있습니다. 단순한 언론이나 간단한 지식으로서의 친환경 발전은 풍력, 태양광, 조력, 지열 등이 거론 되지만, 그 중에서 고도로 산업화된 국가의 전력을 책임질 수 있는 발전방식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가장 탈원전에 집착하는 독일조차 사실은 프랑스와 터키에 있는 원전과 화력발전소를 이용하고 있죠.

    말이 길어졌는데, 풍력발전소를 실제로 가본 저로서는 글쓴 분의 심정이 이해가 가네요. 풍력발전의 단점은 발전소인데 발전단가를 못맞추는 한심한 발전량과 프로펠러가 돌아가면서 생기는 엄청난 소음이죠. 소가 임신을 못하는 것을 떠나서 주변에서는 숙면을 취하기가 어렵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 소리는 들어본 사람만 알죠.

    찬성: 4 | 반대: 3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7.06.19 21:40
    No. 7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문제는 피해갈 수 없는 현실인데, 애써 눈감고 외면하려는 사람들 보면 안타깝더군요.

    차세대 원전 모델이 여러가지가 있고, 그 중 일부가 상용화 된다면 폐기물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고 하는걸 본 적이 있는데, 그 정도라면 인류가 감당할 만한 수준이라는 생각은 들더군요. 그러나 현재 기준의 원전은 정말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당장 사용중인 원전은 우리가 감내해야할 문제지만 새로 짓거나 할 때는 신중해야 하는게 맞다고 생합니다.

    가까운 미래는 아니겠으나 10년 또는 20년 안에는 차세대 원전과
    에너지 전환효율이 30%에 육박하면서 대량생산으로 가격적으로도 충분한 경쟁력이 있는 상용화된 태양광(실험실 수준은 이미 그에 근접) 등이 널리 쓰이게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지게 합니다.

    풍력은 지금보다 더 나은 발전효율이 나오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는 소린 아직 못들어 본것 같습니다.

    찬성: 1 | 반대: 1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5118 중국의 양자통신 +9 Lv.60 카힌 17.06.20 940
235117 참 밑에층 사람들 예민하네요. +21 Personacon 윈드데빌改 17.06.20 1,126
235116 책 추천 댓글에 비공은 왜 다는거에요? +2 Lv.60 식인다람쥐 17.06.20 884
235115 북한에 납치된 미국 남대생이 어떠하게 죽은 것일까요. +3 Lv.4 남성학 17.06.20 1,088
235114 으어어어어 결제이벤트를 기다려요 +1 Lv.99 필리온 17.06.20 836
235113 친절을 요구하는 사람들... ㅜㅜ +6 Lv.41 yatom 17.06.20 898
235112 전력 뒤지는 UFC 코리안 파이터 '전략부터' +4 Personacon 윈드윙 17.06.20 825
235111 예쁜 딸래미가 연예인하고 싶다고 조르면.... +10 Lv.83 아고미사 17.06.20 1,104
235110 지난 주만 해도... +16 Lv.5 박동(縛疼) 17.06.19 1,162
235109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글 올리는 방법이 있나요? +5 Lv.41 yatom 17.06.19 898
235108 탑등반류 판타지 추천부탁드립니다. +4 Lv.56 악자 17.06.19 979
235107 재밌는 소설 추천좀해주세요 +4 Lv.60 식인다람쥐 17.06.19 922
235106 유료화 선작에 대한 의문 +13 Lv.31 사느보느 17.06.18 1,289
235105 취향차이가 심해요 +4 Lv.75 그냥가보자 17.06.18 1,027
235104 덥네요. +10 Personacon 적안왕 17.06.18 875
235103 군내 사조직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9 Lv.19 ForDest 17.06.18 973
235102 구매한 작품 유효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2 Lv.99 시드씨드 17.06.18 1,019
» 영덕 이번엔 풍력발전... 정말 욕나오네. +7 Lv.24 약관준수 17.06.18 1,231
235100 등갈비 요리 해봤습니다 ^^;; +4 Lv.1 [탈퇴계정] 17.06.18 1,016
235099 저기... 공모전 말인데요... +3 Lv.5 SCream 17.06.17 1,057
235098 문제가 무엇인지 모르겠어요ㅠㅠ +24 Lv.40 여우란 17.06.17 1,190
235097 치킨값이 비싼데 집에서 해먹는 것이 오히려 나을 듯... +11 Lv.99 곽일산 17.06.17 1,134
235096 시그니쳐+랜디본즈 작가 Y13 이라는 농구소설 어디서 연... +2 Lv.59 카카로우우 17.06.17 839
235095 위쳐가 드라마로 만들어 진답니다. +2 Lv.60 카힌 17.06.17 885
235094 무단 연중은 별 수 없는거 같에요. +5 Lv.97 경천 17.06.17 1,333
235093 학폭의 세대차 +4 Lv.60 카힌 17.06.17 1,017
235092 '키스 질겁' 김동현, 당돌한 코빙턴 눕힌다 +2 Personacon 윈드윙 17.06.17 812
235091 문피아 이용 제일 불편해진 거 +1 Personacon 유은선 17.06.17 961
235090 소설을 찾고 있어요 도와주세요 +2 Lv.76 TNEM 17.06.16 963
235089 톱스타 이건우 이번화 +6 Lv.83 형이보거든 17.06.16 1,326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