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
16.09.06 23:10
조회
1,827

동일할 환경의  두 컴퓨터 A,B(램4기가)에 B에만 램8기가 추가시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고수님들
도와주세여. 

Comment ' 14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9.06 23:15
    No. 1

    창을 여러개 켰을 때 4기가랑 8기가는 차이가 좀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3 이정하
    작성일
    16.09.06 23:16
    No. 2

    다다익램이라고 램은 크면 클수록 좋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램이 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냐고 한다면 조금 애매하기도 하구요.
    램이 넘치면 별 효과가 없는 반면에, 모자르면 아주 답답한 성능이 나오니까요.

    다만, 4기가에서 12기가로 업그래이드 시엔 확연한 성능 향상을 보일 겁니다.
    요즘은 운영체제 + 크롬 다중창만으로도 8기가 정도는 필요하다고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패스트
    작성일
    16.09.06 23:39
    No. 3

    제한속도는 변함이 없지만 차선이 넓어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양이 많아지지만 처리 속도가 좋아지는 것은 아니란 말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글도둑
    작성일
    16.09.07 06:28
    No. 4

    속도만 보자면 고만고만한 램을 2개 넣느니, 램클럭이 더 높은 램으로 변경 하시는게 더 빨라집니다.

    4기가면 보통 넉넉하지만 free 메모리량이 적다면 8기가로 증설 하는게 더 좋습니다.
    보통은 8기가면 어지간하면 모자를일이 없어서 최소 8기가로 셋팅하는 편이죠.

    제 노트북도 4기가 제품이지만 8기가로 증설해서 씁니다.

    사실 메모리 증설해서 속도 빨라진다는 소리는 회사 노트북들 때문인지도.
    저가격으로 맞춰야해서 2기가짜리들 많이 보급했거든요.
    그럼 메모리가 아주 간당간당해서 느려터졌다고 할때 더도말고 둘도말고 메모리 하나더 넣어줘서 해결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글도둑
    작성일
    16.09.07 06:31
    No. 5

    아참.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서는 32비트 운영체제 사용시에는 메모리 증설해도 8기가 인식 못합니다. 운영체제 확인해 보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IlIIIIIl..
    작성일
    16.09.07 07:33
    No. 6

    요즘은 16기가를 기본으로쓰죠.
    8기가면 약간 여유가 없는 느낌?
    8기가램이면 한 5년전의 4기가 램 같은 느낌이라 보시면 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2 마천회
    작성일
    16.09.07 10:59
    No. 7

    멀티태스킹에 효과가 있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6 옥탈플로
    작성일
    16.09.07 11:02
    No. 8

    램디스크를 temp 로 잡아서 사용하면
    웬만한 이미지 많은 웹페이지들 눈 깜짝하면 뜹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6.09.07 16:11
    No. 9

    웹페이지 띄워놓고 노래듣고 포토샵 하고 영화도 보고 하는데, 잠시 다른 일 보다 돌아 오면 화면잠금상태로 절전모드로 가 있죠. 그러다 다시 키고 하기를 반복하면 윈도우가 리소스 관리에 실패하면서 맛탱이가 갑니다.

    그냥 절전모드 없이 새로 켜 가면서 쓰면 8로 충분히 차고 넘칩니다만, 16G로 쓰면 넉넉하니 끄지 않고 계속 써도 무리 없죠.

    16G로 쓰면 약간이나마 성능향상은 있고 게임에서도 미미하게나마 나아집니다. 전반적으로 좋으나 뚜렷하게 뭐가 낫다라고 하기엔 에매하죠.

    16G이상으로 가면 더욱 더 나아지는게 미미하니 여유가 된다면 16G로 쓰는게 좋고, 8G여도 큰 차이는 아니기 때문에 무난하리라 보여집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8 글도둑
    작성일
    16.09.07 18:29
    No. 10

    그 현상은 메모리 문제가 아닌것 같습니다 ;;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해 보시면 오버했다고 나오진 않을 것입니다.
    다른 원인으로 보이네요.

    가령 메모리 참조 오류. 절전하고 나서 온 할때 잠자던 메모리를 주소 참조시에 잘못 참조하는 것이죠.

    OS의 리소스 관리가 잘못되었거나, 어떤 프로그램 하나가 오류를 내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일부러 만들지 않는이상 켜놓는다고 메모리 사용량이 계속 늘진 않습니다.
    그런 프로그램이 있다면 그건 이미 바이러스 (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acser
    작성일
    16.09.07 16:15
    No. 11

    저는 보통 남들한테 램에 관한 이야기를 할때 책상에 비유를 합니다.
    충분히 넓다면(램이 많다면) 한번에 처리하고 끝나니 일의 속도가 느려지지 않지만 좁다면 일하고 치우고 다시 일해야 하거나 책상외부에 늘어놓고 일해야하니 그만큼 느려지죠.

    현재환경에서 램용량으로 문제가 없다면 증설은 자기만족이지만 있다면 이것만큼 효율이 좋은것이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구름설원
    작성일
    16.09.07 17:47
    No. 12

    다다익램.. 이라는 말이 있지요. 램은 많을수록 좋긴 하지만 딱히 필요가 없다면 CPU나 그래픽카드, SSD 같은 핵심 부품에서 얻어지는 체감속도는 느끼기 어렵습니다. 뭐 3D렌더링이나 그래픽작업, 음악작업같은 무거운 프로그램을 돌리는 경우나 고사양의 게임을 돌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램을 추가 한다고 해서 딱히 얻어지는 만족감은 없을꺼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8 글도둑
    작성일
    16.09.07 18:31
    No. 13

    쉽게이야기 하면 그거죠.
    8G 2개 꼿았다고 치면 1개의 8G만 쓰이고 남은 8G는 그냥 놀고 있...
    메모리가 넉넉하면 좋지만 매우 넉넉하면 그닥... 부족하지만 않으면 되거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별일없다
    작성일
    16.09.08 20:59
    No. 14

    램의 역할은 하드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램으로 복사해와서(램은 휘발성, 즉 실행할때만 이동해서 가지고 있는것) 실행을 좀더 빠르고 로딩을 줄이는 역할인데 현재 SSD가 대중화 됨에 따라서 램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거 같습니다. 즉 요즘 기본 램인 8G~16G까지는 게이밍 컴퓨터에서 요구 되는 수준이고 그 이하는 사무용으로 적합한데 램을 무작정 늘리는 것보다는 SSD를 높이는게 체감 속도는 훨씬 증가합니다. SSD -> 부팅속도 10초내외 인터넷창 10초 내외 모든 SSD저장 데이터 검색 빠름. 램 -> 하드의 데이터를 램에 상주 즉, 게임의 로딩을 줄여준다. 혹은 데이타 처리에 도움이 된다. 부팅에는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2335 여긴 구미 지진 심하게 흔들~~~ +1 Lv.11 은걸 16.09.12 969
232334 와 지진 진짜 무섭네요 Personacon 성공(星空) 16.09.12 579
232333 놀랐습니다. Lv.56 최경열 16.09.12 399
232332 지진이 일어났는 것 같네요. +4 Lv.99 곽일산 16.09.12 656
232331 대략 5분전 지진 일어났네요 +1 Personacon NaNunDa 16.09.12 644
232330 여긴 세종시 이거 지진인가??? +1 Lv.24 약관준수 16.09.12 683
232329 여기는 부산... +8 Personacon Azathoth 16.09.12 1,016
232328 오늘의 추천 노래 2개. +16 Personacon 히나(NEW) 16.09.12 949
232327 연휴기간에 읽을만한 현대가 배경인 소설 추천부탁드려요... +2 Lv.19 골드메달 16.09.12 1,322
232326 1편에 100원 비싸다 하지마시고 이렇게들 해보세요. +1 Lv.67 가이렌 16.09.12 1,184
232325 추석기간에 독파할 소설들 추천 부탁드려요. +8 Lv.84 palmaris 16.09.12 1,203
232324 송재정 작가의 W, 드라마 대본 무료공개 결정에 대해 +1 Lv.60 카힌 16.09.12 1,337
232323 제목 검색의 틈새- 블랙홀 Lv.85 고락JS 16.09.12 843
232322 -_-" 그제 1만원 결제 했는데.. +3 Lv.83 형이보거든 16.09.12 1,028
232321 선호작이 안들어가져요.. +1 Lv.56 킷토산 16.09.12 757
232320 골드이벤트 한다더니 ㅉㅉㅉㅉㅉㅉㅉㅉㅉ +1 Lv.92 무영소소 16.09.12 1,151
232319 잉 지금 글 보이세요? +2 Lv.53 나범 16.09.12 891
232318 돼지갈비찜 후기 +1 Lv.60 카힌 16.09.12 1,156
232317 저 이정도 캐쉬 있으면 충전 있는데 하나요? +4 Lv.56 바른말 16.09.12 998
232316 풍성한 한가위 이벤트 기대하고 있습니다. +7 Personacon 쿨스타 16.09.12 1,026
232315 대체역사 소설 +14 Lv.51 끙냥 16.09.11 1,436
232314 판타지 소설에서 가장 흔히 나오는 롱소드에 대해 알아보자! +7 Lv.36 겨울바른 16.09.11 1,544
232313 ip 우회 어떻게 하나요? +8 Personacon 그늘바람 16.09.11 1,292
232312 퇴고를 안하지만 재미있다면? +8 Lv.60 카힌 16.09.11 1,365
232311 텍본 교환 +7 Lv.42 딸기맛캔디 16.09.11 1,736
232310 저는 기억상실증입니다 +5 Lv.55 짱구반바지 16.09.11 1,319
232309 며칠 전 추천 받은 연재작 "중세시대에 영주로 다시 태어... +7 Personacon 水流花開 16.09.11 1,561
232308 오브레임 꺼버린 미오치치, 짝퉁캅 벗고 인류최강 성큼 Personacon 윈드윙 16.09.11 1,151
232307 CM펑크, 제2의 브록 레스너? 어림없는 UFC 데뷔전 +8 Personacon 윈드윙 16.09.11 1,417
232306 영리해진 오브레임, 미오치치 앞에서도 두뇌 플레이? +2 Personacon 윈드윙 16.09.11 1,39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