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39 파천러브
작성
05.02.16 13:17
조회
326

[서울신문]휴대전화가 없으면 ‘금단현상’이 나타난다는 사람이 많다. 특히 활동적인 20∼30세대에게 휴대전화는 옷이나 신발처럼 없는 것이 오히려 부자연스럽다. 하지만 휴대전화 사용을 거부하고 ‘느림의 미학’을 즐기는 젊은이들이 있다.‘별종’으로 비쳐지는 이들의 다양한 이유와 사연이 궁금하다.

이리도 어려울 수가…. 휴대전화가 없는 사람들을 만나기는 너무나도 어려웠다. 여유를 두고 연락을 했으면 별 문제가 없었겠지만 휴대전화 한통으로 언제든 연락이 되는 요즘 세상에 습관대로 임박해서야 전화를 건 것이 화근이었다. 이메일을 보내놓고 하염없이 기다리기를 며칠….‘기나긴’ 기다림 끝에 어렵게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필요 느낀 적 없어”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간사인 박정은(32·여)씨는 휴대전화나 호출기를 가져본 적이 없다. 그는 참여연대에서 일하는 50여명의 활동가 가운데 유일하게 휴대전화가 없다. 박씨는 “써본 적이 없으니 뭐가 좋은지,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며 털털하게 웃었다.

때때로 관계를 맺고 있는 외부 단체에서 “하나 장만하지 그러느냐.”는 얘기를 듣곤 하지만 휴대전화 때문에 업무에 차질을 빚은 적은 없다.

지난 해 국제회의에서도 행사가 열리는 3일동안만 언니의 휴대전화를 빌려 썼을 뿐 큰 불편은 없었다. 박씨는 “휴대전화에 얽매여 각박하게 사는 것보다는 차라리 약간의 불편을 감수하는 편이 낫다.”면서 “그것도 애초에 습관을 그렇게 들이지 않으면 불편한 줄도 모른다.”고 귀띔했다.

●“휴대전화 없앤 뒤 자유 만끽”

프리랜서 칼럼니스트인 이진희(26·여)씨는 6개월 전 휴대전화를 없앴다. 예전에 만나던 사람에게서 시도때도 없이 날아오는 전화와 문자가 부담스러웠던 것. 많을 때는 하루 20통씩 걸려오는 전화에 스트레스가 심했다.

이씨는 처음엔 몇달만 쓰지 않을 요량이었다. 그런데 휴대전화를 쓰지 않다 보니 좋은 점이 더 많았다. 이씨는 “꼭 필요한 연락만 주고받다 보니 친한 사람과 그러지 않은 사람이 자연스럽게 가려졌다.”면서 “가끔 오는 전화가 더 반가워 인간관계는 오히려 더 깊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주로 집에서 일하는 탓에 그다지 불편하지도 않았다. 물론 가끔 원망을 듣기는 한다. 하지만 이씨는 “휴대전화를 없앤 뒤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살 생각은 없다.”고 잘라말했다. 그는 “사람들이 점점 조급증에 젖어 ‘기다림’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는 데는 휴대전화도 큰 몫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기동성과 여유를 동시에…‘삐삐파’도

‘느림의 여유’를 즐긴다 해도 급박하게 돌아가는 세상과 타협은 필요한 법. 급한 연락은 받을 수 있으면서도 적당한 자유가 보장되는 무선호출기, 이른바 ‘삐삐’로 절충점을 찾는 이들도 있다.

대학원생 권춘섭(33)씨는 대학 시절 이후 지금까지 줄곧 삐삐만 사용하고 있다. 그는 호출기의 가장 큰 매력으로 ‘잠수’가 가능하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호출기를 쓰면 필요한 연락만 선별해 할 수 있다.”면서 “쓸데 없는 오해도 생기지 않고 생활의 여유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권씨는 “직장생활을 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불편은 느끼지 못한다.”면서 “호출기마저도 버릴 수 있는 경지가 되고 싶다.”고 피력했다.

대학 졸업반인 고재성(26)씨도 지난해 1월 휴대전화를 없애고 호출기를 샀다. 고씨는 “주변 사람들이 불편하다고 타박을 하지만, 조급증이 줄고 느긋해진 것 같다.”면서 “한달에 5만원 이상 들던 요금도 8000원이면 해결된다.”고 설명했다.

●‘삐삐’ 관련 카페도 성황

호출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삐삐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삐삐삐’ 등 인터넷 카페도 성황이다. 한때 가입자수가 1500만명에 이르렀지만 지금은 2만여명으로 줄어든 ‘희귀’ 물건을 쓰다보니 에피소드도 많다. 공익근무요원 정인섭(24)씨는 소개팅을 나가 호출기 번호를 가르쳐줬다가 상대방이 “왜 휴대전화 번호를 안 가르쳐 주느냐.”면서 “마음에 안들면 안든다고 하라.”고 따지는 바람에 낭패를 봤다.

그러나 취업준비생 김득(26)씨는 “음성을 확인하러 공중전화로 뛰어갈 때 느끼는 기대감은 짜릿하기까지 하다.”면서 “말로 전하기 어려운 이야기를 음성메시지로 털어놓을 수 있어 좋다.”고 강조했다.

반면 호출기를 쓰다 최근 휴대전화로 ‘전향’한 대학생 김지양(20·여)씨는 “휴대전화는 손에서 놓지 못하고 집착하게 되더라.”면서 “상대방이 전화를 빨리 받지 않으면 짜증이 나는 조급증까지 생겼다.”며 ‘삐삐’시절의 여유를 아쉬워했다.

이효용 박지윤기자 [email protected]

■휴대전화 안쓰다 ‘항복’한 사람들

너도나도 휴대전화를 장만해 중학생도 휴대전화가 없으면 ‘왕따’를 당하는 분위기에서도 꿋꿋하게 버티던 사람들. 그러나 사회생활을 하면서 어쩔 수 없이 ‘항복’한 사람들은 “주변의 성화로 사용하기는 하지만 불편한 점이 더 많다.”고 입을 모은다.

한솔제지 인력팀 채향석(39) 차장은 지난 해 2월 휴대전화를 다시 샀다.1997년 6개월 정도 휴대전화를 쓰다가 크게 필요를 느끼지 않아 없앤 지 7년 만이다.‘미개인’ 취급을 받으면서도 버텼지만, 상사들이 불편을 토로하는 바람에 어쩔 수 없었다. 지난해 초 지방 출장을 갔을 때는 그에게 전해야 할 내용까지 모조리 동료의 휴대전화로 쏟아졌다. 결국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면 안되겠다.”는 생각에 휴대전화를 장만했다.

채 차장은 “휴대전화가 있으니 퇴근길마다 군산에 계신 부모님께 안부전화를 하기도 하고 나름대로 자투리 시간을 유용하게 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밤낮 가리지 않고 회사에서 걸려오는 전화, 또 회식으로 늦을 때마다 날라오는 아내의 문자도 때로는 ‘족쇄’처럼 느껴진다. 채 차장은 “결국 장단점이 있는 것 아니겠느냐.”면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균형잡힌 생활을 하느냐가 중요한 것 같다.”고 체념했다.

게임업체 엔씨소프트의 게임개발자로 디지털 세상의 첨단을 달리고 있는 이기흔(31)씨는 그러나 얼마전까지 휴대전화는 커녕 호출기도 써 본 적이 없다. 늘 감시당하는 느낌도 싫었고 일에 몰두하는 시간을 방해받고 싶지 않았다. 필요한 연락은 이메일과 메신저로도 충분했다고 한다.

그러나 주변의 성화에 별 수 없이 지난해 여름 휴대전화를 마련했다. 이씨는 “벨이 울리면 어디서건 무조건 전화를 받아야 한다는 게 너무 낯설다.”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의 ‘감시권’에 들어있다는 느낌도 불편하다.”고 짜증스러워했다. 더구나 공짜로 얼마든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인터넷이 가까이 있는데 비싼 이용료를 내면서 휴대전화를 써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그는 “주로 사무실에서 새로운 게임 개발에 집중해야 하는 일이다 보니 전화를 걸어야 할 일은 거의 없다.”면서 “휴대전화는 ‘도구’가 ‘필요’를 만들어 낸 물건이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관광업계에서 일하는 남현주(26)씨는 취업을 하면서 휴대전화를 사용하게 된 케이스. 대학 시절 몇달 사용해 본 적은 있지만 딱히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그는 중요한 연락은 집 전화나 이메일로 받았고, 받기 싫은 전화는 받지 않아도 돼 오히려 편했다고 한다. 하지만 지난 해 8월 여기저기 입사지원서를 내 놓고는 연락이 엇갈릴까 속이 탔고, 무엇보다 ‘휴대전화도 없는 이상한 지원자’로 찍힐까 꺼림칙하기도 했다. 지금은 취업에 성공했지만 여전히 ‘없이 살던 때’가 그립다. 남씨는 “전화 온 것 없는지 확인하는 등 휴대전화가 나를 구속하는 것 같다.”면서 “특히 여가시간에도 중요하지도 않은 일로 전화가 올 때면 확 던져버리고 싶다.”고 말했다.

남씨는 “약속을 할 때도 정확한 시간과 장소를 정하고, 늦으면 조금 기다리고 하던 나름대로의 여유가 ‘대충대충 빨리빨리’식으로 바뀌는 것 같아 아쉽다.”면서 “다른 사람이 불편하지 않도록 받는 용도로만 사용은 하고 있지만 다시 없애고 싶을 때가 많다.”고 털어놨다.

휴대전화가 없으면 이기적이라는 비난에 시달려야 하는 세상이다. 느림의 여유를 되찾고 싶은 사람들에게 휴대전화는 여전히 심기 불편한 도구였다.

이효용기자 [email protected]

http://news.naver.com/hotissue/popular_read.php?date=2005-02-16&section_id=000&office_id=081&article_id=0000031812&seq=2


Comment ' 13

  • 작성자
    Lv.99 을파소
    작성일
    05.02.16 13:50
    No. 1

    저도 핸드폰 없는데 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持永
    작성일
    05.02.16 14:15
    No. 2

    스트레스받을 정도로 연락이 와봤어야 불편한줄을 알죠-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로암
    작성일
    05.02.16 15:52
    No. 3

    저도 없는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무념무상
    작성일
    05.02.16 16:03
    No. 4

    직상 생활하는데 휴대전화 없으면 자기는 편해도 다른 사람이 죽어납니다.
    자기야 연락 않되요 하면 끝이지만 연락해야 하는 사람은 얼마나 불편한지..
    휴대전화는 솔직히 자기의 필요성보다는 타인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받기 위함..
    약속했다가 약속취소 혹은 변경을 해야 하는데 연락할 방법이 없으면..

    연략방법부제로 스트레스 받아봐야 휴대폰의 필요성을 느낄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1 CReal
    작성일
    05.02.16 16:07
    No. 5

    저도 폰 없어서 친구들한테 욕먹긴 합니다만 저 자신은 별 불편을 못느끼고 있죠 뭐.. 아직 학생이다보니 못받으면 큰일날 중요한 전화따윈 안오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청낭
    작성일
    05.02.16 16:30
    No. 6

    물론 연락하는 사람이야 속터지는 일이겠죠 ^^;;
    하지만... 저로서는 '자유'랍니다. ㅡㅡ; (결국 휴대폰 없다는 이야기)

    한때는 있었지만, 모종의 일 때문에 진저리가 났다고나 할까요.
    비싸게 산 기계는 여전히 서랍 속에서 굴러다니지만, 왠만하면 앞으로도 휴대전화는 사절이랍니다.

    굳이 필요하다면... 삐삐나 하나 장만할까 고려중이라고나 할까요 ^^;;

    그런데 '별종'이라니... >.<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1 연리
    작성일
    05.02.16 17:23
    No. 7

    요즘은 업무전화가 모조리 휴대전화로 와서.... 던져 버리고 싶어도 밥줄인 관계로 사용한다는...9년전 아버지께서 강원도에서는 017이 안터진다는 이유로 011로 바꾸실때 전화기가 아까워서 명의 변경해서 사용하게 됐는데 성격상 그때 사용 안했으면 어쩌면 현재도 사용 안했을지도.^^;;(지금 직업을 바꾸게 되면 휴대전화 버리겠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紅淚
    작성일
    05.02.16 17:24
    No. 8

    업무 펑크나면 우짤려고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無心刀
    작성일
    05.02.16 18:47
    No. 9

    밥줄이죠...요즘 같은 세상에..업무 펑크나면..바로 잘리겠죠..

    없으면 무진 편해요

    저두..백수 일때..육개월정도 없이 지냈는데..정말 편하더군요

    정착. 다른 사람이 불편하죠...

    그런나..딱 하나~~

    밖에 나가 급하게 전화를 걸려고 공중전화 찾으니 다 고장났을때..

    정말 이거 난감합니다.

    그리고 저 위에 사람들..글 보니.....뭐 음.뭐랄까~~
    (여기서 위는 신문글입니다...오해 마시길~~~)

    자기의 자유로 인해..타인이 불편을 겪을껀..별루 생각치 않는듯~~

    집에서 잘 나가지 않는 사람은 사실..휴대폰...필요 없지만

    그렇지 않는 사람......힘들지 않을까..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6 크크크크
    작성일
    05.02.16 18:49
    No. 10

    재수생이므로 핸드폰 필요 없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眞夜
    작성일
    05.02.16 22:49
    No. 11

    우리집은 저만 없다는...........ㅠ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등로
    작성일
    05.02.16 23:02
    No. 12

    없는게 편하긴 하죠.그걸 모르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어요
    문제는 어쩔수 없이 가져야 한다니까 그런거지
    느림의 미학이니 어쩌니 말하는 뽄새가 좀 별로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Nal
    작성일
    05.02.17 19:16
    No. 13

    휴대전화 안쓰면 별종 인건가 -_-?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659 음,, 인터넷 사용시 전화문제,,-_-;;; +4 Σ비호란™ 05.02.18 205
30658 움~~냣냣냣~~! !드뎌 인터넷 된다..;; +4 Lv.1 술퍼교교주 05.02.18 114
30657 재밌는 사진입니다. [안올린지 너무 오래된듯 하여 조금... +28 Lv.1 미르엘 05.02.18 753
30656 [펌]OTL의 뜻!? +19 Lv.76 월야객 05.02.17 557
30655 (펌) 키스해 보셨나요?? +23 Lv.83 無心刀 05.02.17 580
30654 여성의 허스키한 목소리는 섹시한 이미지를 연상...?? +17 Lv.6 持永 05.02.17 428
30653 [펌] 세계최고의 축구리그는? K-리그입니다.. +15 Lv.1 사생취의 05.02.17 533
30652 [펌]얼마나 급했으면.... +18 Lv.76 월야객 05.02.17 516
30651 컴터고수분꼐.. +4 Lv.39 파천러브 05.02.17 182
30650 한국 최고 미녀 신체부위들을 합치면 ‘얼꽝’된다 +13 Lv.39 파천러브 05.02.17 489
30649 "정말 잘못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7 Lv.39 파천러브 05.02.17 312
30648 스타 1.12패치 이후 팅긴답 ㅜㅜ... +16 Lv.13 張秋三 05.02.17 391
30647 걱정이군요.. +6 담무 05.02.17 116
30646 오늘 서울 갔다왔어요 -_-; +7 담무 05.02.17 129
30645 이상한일이 있습니다 +7 Lv.6 리얼판타지 05.02.17 148
30644 아하하하하!기분 좋네요 +14 武林狂 05.02.17 199
30643 추워서 탈영했다네요 -_-; +14 Lv.17 紅淚 05.02.17 456
30642 워3에 빠져봅시다 ㅋ +4 Lv.17 紅淚 05.02.17 243
30641 와~~씨 또 벙커링에 그냥 질 뻔 했네... +6 랜디로즈 05.02.17 307
30640 배고파 미치겠다. +16 Lv.5 백준 05.02.17 210
30639 아~~최악이다 최악...임진록이 됬긴 했지만... +5 랜디로즈 05.02.17 338
30638 지금 속도 및 어제와 비교를 해주세요... +15 Personacon 금강 05.02.17 200
30637 좌백님의 비적유성탄 3권이 드디어 +7 Lv.1 김자무시 05.02.17 616
30636 스타 1.12 패치~ +9 Lv.9 망부 05.02.17 318
30635 카트라이더 Player list~!!! +22 Personacon 청청명 05.02.17 262
30634 재수하게 생겼습니다 ㅜㅜ +10 Lv.1 와라떽뚜 05.02.17 203
30633 따끈따끈한 2005 FIFA 랭킹 +6 Lv.38 E5(이오) 05.02.17 298
30632 역시 노래가 최곱니다! +3 란닝구 05.02.17 262
30631 요즘 들어서... +5 Lv.56 삼화취정 05.02.17 197
30630 하아... 군대 가기 어렵습니다... +20 Lv.1 악희(惡戱) 05.02.17 473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