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23

  • 작성자
    Lv.22 양산형A
    작성일
    16.01.09 00:37
    No. 1

    좋게좋게.
    대승적 차원에서.
    업계관행.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9 청청루
    작성일
    16.01.09 00:42
    No. 2

    근데, 진짜 이런 글을 쓰면서도 그런 게 이해가 됩니다.
    순수창작은 진짜 미치게 어려워요. 전 감히 상상조차 힘듭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9 스톤부르크
    작성일
    16.01.09 00:39
    No. 3

    이는 '장르'라는 것 자체의 특성과 어느정도 연관이 있는데... 본래 장르라는 개념이 오리지널을 기반으로 하여 마케팅 차원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작품군이니까요.
    다만 한국은 오리지널 자체가 없이 외산의 카피로 시작했고, 그 와중에 오리지널에 대한 정보조차 제대로 접하지 못했다는 근원적 문제점이 있긴 합니다. 위의 드래곤라자 D&D 표절 같은 것도 그 때문에 일어난 것에 가깝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9 청청루
    작성일
    16.01.09 00:44
    No. 4

    전 장르보다 환상에 촛점을 맞추고 글을 썼어요. 물론, 장르로 보더라도 비슷하게 적용되지만요.
    근데 장르라고 하면 또, '환생물','방송물','레이드물'... 이러면서 빠져나갈 구멍이 생기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6.01.09 00:44
    No. 5

    퇴마록은 순수창작이란 딱지를 붙여도 되지 않나요?
    문피아에서 찾자면...
    바람과별무리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9 청청루
    작성일
    16.01.09 00:48
    No. 6

    음, 퇴마록 전 안 봐서...; 근데 영화를 토대로 보자면 순수창작인 것 같습니다.
    바람과별무리는 처음엔 '아, 대항해시대인가..?' 했는데, 좀더 보다보니 골드 엄청 깨질 것 같은 포스가 풍겨서 안봅니다.
    사실, 대한민국 최고의 판타지는 아무래도 환단고기일듯.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9 스톤부르크
    작성일
    16.01.09 00:58
    No. 7

    퇴마록도 따지자면 기존 괴담류 + 일본의 공작왕 등 전기(傳奇)류 작품 + 무협의 혼합물인데...
    이게 오컬트 소재를 쓰다 보니 일본 전기물과 비슷해 진 건지, 작품 콘셉트 자체가 진짜로 영향을 받은 건지 꽤 애매하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5 신승욱
    작성일
    16.01.09 01:33
    No. 8

    글쎄요, 처음 퇴마록이 나왔을 때 공작왕 아류라는 말을 들을 정도였지요. 특히 당시는 만화나 장르 소설에서 출전을 밝히는 경우가 드물었는데 책 뒷장인가에 참고 문헌을 빼곡히 적은 것도 공작왕과 유사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악산(岳刪)
    작성일
    16.01.09 00:49
    No. 9

    좀비를 소재로 쓴다해서 좀비를 소재로 한 모든 소설이 표절로 볼 수 없듯, 클리셰와 표절은 구분되야 합니다.
    어떤 작품을 읽고 나서,
    "어? 이건 0000와 완전 같은데?" 라거나, "0000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참신한 소재를 그대로 도용했는데?" 라면 표절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단지 구파일방이라는 소재를 사용했다해서 표절이라 몰아붙일 수는 없습니다.
    어느 대문호가 말했지요.
    "세상에는 더 이이상 새로운 이야기가 없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9 청청루
    작성일
    16.01.09 00:52
    No. 10

    아, 어쩌면 구파일방이 아닌 소림사만일 수도 있습니다. 제 기억은 정확하지 않거든요. 구파일방의 이름을 다르게 해서 구파일방을 만드는 건 괜찮은걸로 압니다. (이건 불확실)
    하지만, 미스릴 부분처럼 이게 지적재산권이라 함부로 못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구파일방인지 소림사인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무협부분에 그런 게 있다는 건 확실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1.09 01:27
    No. 11

    클리셰를 베끼는게 표절 아닌가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1.09 01:28
    No. 12

    차라리 변형이라도 시키면 괜찮겠는데 고대로 복사해서 쓰니까 문제가 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1.09 18:28
    No. 13

    마지막에 "세상에는 더 이상 새로운 이야기가 없다."라는 문장을 읽고 생각 난 겁니다만...

    러시아 베스트셀러에는 메트로 2033, 메트로 2034가 있는데요. 때문에 새로운 이야기가 없다는 말에 동의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영화 엔더스 게임으로 유명한 언더의 게임도 새로운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쉽게 말해서 앞으로는 새로운 이야기가 없으니까 클리셰를 따른다는 말은 모순적이라고 생각 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1.09 01:27
    No. 14

    베끼면 편하게 돈벌수 있으니까요. 이미 희망은 안보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7 자전(紫電)
    작성일
    16.01.09 01:49
    No. 15

    글중에
    -‘최초’가 아니면 그저 아류작 아닌가요?-
    이 말 ‘환상문학' 이 아닌 다른 장르에서 하면 어떻게 되나요?

    레게음악은 밥 말리 빼고 딴 사람이 하면 다 아류작이고, 팝은 마이클잭슨 외에 다 아류 가수입니까? 아, 마이클 잭슨은 팝의 황제지 팝의 최초인지는 잘 모르겠으니 마이클 잭슨도 아류 가수겠군요.

    그림 쪽도 인상파, 신비주의, 야수파의 최초화가 빼고는 다 아류화가인가요? 제가 알기에 피카소 외에 다른 유명 화가들은 각자 화풍의 거장이지 최초로 그린 화가로 유명해진건 아닌걸로 아는데요?

    제가 보기에는 청청루님이 조금 지나치게 표절의 기준을 높이 잡으신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0 밥통
    작성일
    16.01.09 02:42
    No. 16

    토론마당으로 가시면 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3 가출마녀
    작성일
    16.01.09 07:19
    No. 17

    이글대로 라면 아침드라마는 거의다가 표절입니다
    음악으로 넘어갈까요? 힙합 트로트 댄스음악 발라드 등등 한명의 작각가 빼고 나머지는 전부 표절입니다
    문락으로가서 로맨스소설도 표절입니다
    이렇게 따지면 표절이 아닌것이 없습니다
    아 참고로 자동차부분 비행가 부분 티비 가전제품 등등 모든거이 표절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stk01123
    작성일
    16.01.09 08:30
    No. 18

    내일을향해쏴란작품있는데...브라운아이드걸스의 아브라카다브라.작곡가신사동호랭이등등실제연예계에피소를 이름만바꿔서 고대로 본인창작물인양 쓰더군요...진짜 작가로서안쪽팔린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북극오로라
    작성일
    16.01.09 09:41
    No. 19

    100여 년 전, 미국의 특허등록담당관이 한 말인데 들은분 많을듯..
    “이제 더 이상 새로운 발명품은 없다. 나올 건 이미 다 나왔다”그리고, 그땐 이 말이 말이 통했다고 함..
    새로운 아이디어는 계속 있을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6 이엠
    작성일
    16.01.09 10:13
    No. 20

    저작권법은 \'아이디어\'와 \'표현\'을 구분합니다. 아이디어를 가져온 것만으로는 저작권법위반이 아니고 표현을 가져와야 저작권법위반이 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청청루
    작성일
    16.01.09 10:37
    No. 21

    글쎄요. 초반 보다가 영 안 맞아서 안 봤지만 짝퉁의 신의 경우, 실존하는 핸드백 사진을 그대로 가져와서 올렸더라고요. 그게 작 중에 쓰이는 것 같던데 이게 정말 아무 문제 없는걸까요?
    아이디어...이 글의 큰 줄기인데 이건 제 생각이 잘못된 게 맞는 것 같네요. 하지만 예시로 든 글들이 문제가 있다는 의견은 변하지 않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양사(樣師)
    작성일
    16.01.09 11:04
    No. 22

    누가 구파일방이 저작권이 있다고 합니까?
    멍멍이소리입니다.
    구파일방이라는 것은 중무의 칠파일방을 그대로 가져와서 문파 2개를 덧한 것에 불과합니다.
    차라리 사천당가나 하북팽가라는 고유명사는 표절의 대상이 될 수 있어도 설정이나 아이디어는 표절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미스릴의 이름을 바꾼 것도 미스릴이라는 것이 톨킨의 고유설정이어서가 아니라 고유명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착각하는데 상표 등록이 된 것은 Mithril이라는 영어 고유명사이지 한국어 발음으로 된 미스릴이 아닙니다.
    외국에서도 약간 철자를 바꾼 것을 사용하는데 한국어로 발음된 미스릴로는 톨킨 재단이 아니라 톨킨 작가가 지금 살아 있어도 저작권 주장을 할 수 없고 설사 저작권 위반으로 고소를 해도 이길 수가 없습니다.

    실제 저작권 소송에서 이길 수 있는 것은 이수영씨처럼 표현을 그대로 배꼈을 경우 밖에 없습니다.
    특히 무협이나 판타지 설정은 두 문학 모두 전작의 설정을 차용하고 발전시킨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무슨 저작권 대상도 아니고 당연히 표절의 고려 대상도 아닙니다.
    노골적으로 다른 소설 설정을 배낀 경우에는 도덕적 비난이 있을 수 있지만 그뿐이지 법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융도
    작성일
    16.01.10 13:12
    No. 23

    구파일방은 저작권 없어요. 애초에 반수 이상이 실존했었음.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