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4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11.08 23:50
    No. 1

    음 저는 개그물에서는 개연성의 파괴를 즐기는거 같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6 은금
    작성일
    15.11.08 23:56
    No. 2

    기대치 때문에 그런 겁니다. 원래 개연성이 막장인 소설은 아무리 막장이 되어가도 그러려니 합니다. 예를 들면 이말년 만화같은 것은 개연성 없어도 아무도 뭐라 안합니다. 지금 장르문학도 그래요. 장르문학이 아무리 다른 장르문학을 따라 써도 순수문학처럼 민감하지는 않죠? 레이드니, 회귀니, 게임요소 등 어디선가 본 것들이 있어도 뭐라하는 사람 별로 없잖아요? 기대치가 낮으면 뭐라 하는 사람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0 한혈
    작성일
    15.11.09 00:11
    No. 3

    개연성 문제에는 사실 일관성 문제가 숨어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작가가 창조한 세계가 작가의 마음 속에 완벽하게 자리잡으면, 설사 독자에게 모든 걸 설명해주지 않아도 조금씩 보이는 부분들이 모두 그 세계의 한 조각이기 때문에 일관성을 갖습니다. 그러면 개연성 문제가 잘 안나옵니다. 그 세계는 처음부터 끝까지 그러니까요.
    기연을 열 두번 연달아 얻어도 작가의 세계가 고정되어 있으면 괜찮습니다. 독자들도 뭐라 안합니다. 작가 자신도 잘 모르는 세계에서 사건이 진행되면 당연히 시간, 장소, 캐릭터에 따라 보이는 세계가 그때 그때 달라집니다.
    요즘 개연성 문제가 자꾸 나오는 것은 작가의 성의 문제가 아니라, 준비 부족과 역량 부족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버럭s
    작성일
    15.11.09 00:14
    No. 4

    일본작들은 아예개연성을 생각치않습니다 그냥 그런겁니다
    장르소설들은 어설프게 하다가 오류생기고 까이는거죠
    누가 해리포터보면서 마법이어쩌고합니까 그냥 그런가보다하죠 근데 어설프게 마법에설명넣으면 망하는거죠
    솔직히해리포터가 볼트모트이기는건말이안되는일인데
    그냥 이겼습니다 로끝내면될껄 이래저래요래저래이겼다하면 말안되는걸 설명하려니 오류가생기는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르와인
    작성일
    15.11.09 00:22
    No. 5

    개연성이라는 게 뭔가 대단한 거라고 는 생각하지 않아요. 작가가 설정한 세계 안에서 있을 법한 일이 일어나면 되는 겁니다. 스스로 정한 설정을 충실히 지키면 개연성이 어긋나는 게 오히려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웬만큼 개판...치지 않는 이상은 개연성이 없어서 못 읽겠다는 말은 안나올 텐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11.09 00:27
    No. 6

    추천달고 싶어지는 댓글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3 야채별
    작성일
    15.11.09 00:32
    No. 7

    편의주의적으로 글을 쓰는 거죠.
    이렇게 저렇게 고민해보고 아 내용이 이렇게 진행되어야 설득력이 있겠군, 하고 쓰는게 아니라 그냥 써갈겨내린 다음에 이 글이 개연성 안 맞는다느니 하는 말이 나오면 '맘에 안들면 보지 마셈' 이러거나 '내가 그냥 그렇게 설정함. 내 맘임' 이렇게 나오는 사람도 많으니....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1 르와인
    작성일
    15.11.09 00:46
    No. 8

    인물이 사건을 풀어나가는 게 아니라 작가가 원하는 사건 전개에 이미 설정된 인물을 끼워맞추다 보면 개연성에 구멍이 뚫리는 경우가 많이 생기죠. 인물들이 이해가 안되는 행동을 하기 시작하거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9 미르네
    작성일
    15.11.09 09:42
    No. 9

    이 말 공감합니다. 정말 대부분의 경우가 이런 경우때문에 생기는거 같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1 홍시는감
    작성일
    15.11.09 08:29
    No. 10

    추천이요.... 독자가 바라는 개연성이 큰 건 아닌데...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11.09 00:44
    No. 11

    " 자 학생들~ 여러분은 미래의 꿈이 뭐에요 ^^?? 우리 ~~부터 말해볼까?"

    "제꿈은 대통령이...."

    퍽퍽퍽!!

    "천민 주제에 개연성이 없잖아!!! 개연성이 #ㅁ#!!!!"



    광광우럿따.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3 가출마녀
    작성일
    15.11.09 04:54
    No. 12

    이 글이 정답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6 Bellcrux
    작성일
    15.11.09 05:48
    No. 13

    일본 라노벨쪽에선 애초에 현실 대입하면서 드립치는게 별로 없습니다. 현실 얘기 끌고와도 보통 히키백수모쏠아다인 자신에 대한 분노나 연민, 학교문제가 상당수지. 학원물 같은 경우도 애시당초 현실이랑 다른 가상세계를 만들거나 비틀어서 이야기 전개하는게 태반이고. 내용전개 자체에서 개연성 부족은 라노벨이 현대바탕이냐 판타지냐 상관없이 욕 먹는건 똑같습니다 일본도. 아니면 아예 약 빨고 개연성 무시를 전제로 깔고 시작하는것도 있고
    근데 한국 판소 중 특히 현판은 배경은 현 사회를 판박이로 해놓고 대리만족 추구하는데 보는 눈이 더 엄격해지는건 당연한겁니다. 현실 법 끌어오고 의학 끌어오고 스포츠 끌어오고 사회문제 가져와서 쓰는 주제에 왜 우리한테 더 엄격하냐 그러는건 할 소리가 아니죠. 현실이랑 착각할만큼 유사하게 트레이싱 해놓고 현실적인 개연성 따지면 피하려는건 꼴사나운 행태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0 일잠일잠
    작성일
    15.11.10 01:45
    No. 14

    공감 100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