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작성자
Lv.11 제로카인
작성
10.06.22 23:41
조회
1,135

안녕하세요.

게임소설을 쓰고 있는 20대 중반 작가 제로카인이라고 합니다.

여러분에게 밸런스의 상성을 위한 작품을 찾기 위해서 이렇게 글을 요청합니다.

보병>궁수>마법사>보병>창병>기병>보병

이 순으로 전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시나 이런 보편적인 전쟁관련된 물이나 전략 소설 연재물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쟁물에 관련된 자료가 필요합니다.

제가 읽은 전쟁물로는

하얀 로냐프걍 전권 보유중입니다.

하얀 늑대들

정도가 되겠군요.

병과의 상성이 확연하게 들어난 소설없을까요?

옛날 게임 랑그릿사 처럼 말이죠.

요즘에는 너무 먼치킨 물이 많아서 찾기가 어렵더군요 ㅇ-ㅇ..

많은 자료가 필요합니다.

너무 요청만 하는 거 같아서 죄송합니다;;

꾸벅

전통 중세 전략 전쟁물을 알고 계신분은 자추와 추천을 좀 부탁드립니다.

항상 많은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Comment ' 27

  • 작성자
    Lv.71 JengE
    작성일
    10.06.23 00:17
    No. 1

    보병은 그냥 제일 약하지않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저스연
    작성일
    10.06.23 00:22
    No. 2

    꼭 창병이 기병에게 강하다기보다는; 잘 훈련된 창병대는 기병의 돌격을 비교적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저런 상성이 일반화된 거지요. 사실 기병대는 어느 병과에게든 압도적으로 강합니다. 단지 그 어마어마한 유지비와 훈련비용 때문에 다수 운용할 수가 없는 것뿐이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필리온
    작성일
    10.06.23 00:23
    No. 3

    보병도 중갑보병, 경보병, 그리고 그외기타....보병들로 많은 클래스가 있습니다.

    전쟁물에대해서는 에프월드의 달과 늑대와 잎사귀 라는 6식대전차님의..
    글을 추천해드리고 싶네요..

    장비의 질에 따라서 보병들의 강력함이 변하고 기병과 궁병들의.... 조합 그리고 석궁병까지의.. 단 마법사는 없습니다. 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제로카인
    작성일
    10.06.23 00:24
    No. 4

    필리온님 추천 감사합니다+.+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필리온
    작성일
    10.06.23 00:26
    No. 5

    그리고 어느정도 훈련된. 기마병+전투마들은 창병들에대한 상성도....그렇게 크게없습니다. 그리고 어차피 기마병들은 전면돌파보다는 우회[중기마병들말고.. 일반적인 경기마들입니다.]돌파인거죠... 중갑기마병들은
    기사들이 나오기전에 기사단의 역활이였습니다. 다만 엄청난 유지비....
    그리고 짧은활용시간으로인해서 결전병기수준이거나 아니면 초전에 상대방의 진영을 갈라버리기위한 용도로 사용되었죠... 중기마병대 같은경우엔 창으로 막는다고해도 대부분 돌파력과 마갑으로 인해서 나무창이나
    허잡한 쇠창같은경우는 경미한 피해만으로도 돌파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중기마병대가 나중에는 기사단이 된거라고 전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필리온
    작성일
    10.06.23 00:27
    No. 6

    다만... 6식님은 엄청난.. 횟수의 ...분량의.... 소설입니다.
    저도 읽고있는데 이제 300회대라능..
    언제 1295회를갈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필리온
    작성일
    10.06.23 00:28
    No. 7

    아... 랑그릿사.... 이야기하시니 데어랑그릿사...최고였죠......

    초반에 선택지 잘골라서 기마병or비병걸리면 편하게 초반한..

    뭐 나중에가면 글라디에이터나 대마법사같은...애들이 최고니 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8 쿼츠
    작성일
    10.06.23 00:37
    No. 8

    랑그릿사의 경우

    보병>창병>기병 <마법사
    기병>보병>창병 <마법사
    창병>기병>보병 <마법사
    마법사<궁병<기병
    마법사<궁병<보병
    마법사<궁병<창병
    마법사>비병<궁병
    보병=비병
    창병=비병
    기병=비병

    삼국지10의 경우

    보병>궁병>기병
    궁병>기병>보병
    기병>보병>기병

    이렇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제로카인
    작성일
    10.06.23 00:41
    No. 9

    역시 어디나 궁병은 마법사를 이기기 쉽게 나오는 것이 당연하군요 ㅇ-ㅇ

    영창시간이 기니 궁병들이 재빠르게 쏘면 끝이니.

    창병도 역시 포진만 일렬로 되있으면 기병들을 상대하기 쉽군요.

    역시 장비동일 훈련 동일이라고 보았을떄

    잘 훈련된 창병의 효력은 잘 훈련된 기병을 웃 돌거 같습니다.

    방패를 가진 보병에게 창병들은 쉽게 죽을 거 같고...음

    답변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콤니노스
    작성일
    10.06.23 01:03
    No. 10

    장비 동일하면 창병들이 외려 불리하죠. 마상 갑옷들은 허벅지 아래 같이 안장에 닿는 부분들은 방어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마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 길이에도 한계가 있으니까요. 돌격하는 기병대나 방어하는 보병대가 양쪽 다 1.8m 랜스를 쓴다면 창병들한테 이기지 말란 소리죠 ㅁㅁ;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전마머꼬
    작성일
    10.06.23 01:14
    No. 11

    랑그릿사 2의 경우 ;;; 비병이 보병창병 기마병보다 약간 강한거로 나옵니다.;;;

    저는 48까지(?) 분기에 대해 다깨본 사람입니다. ;;; 자랑은 아니구나 쩝;;;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콩자
    작성일
    10.06.23 01:15
    No. 12

    굳이 병과별 상성을 확인해보시려면 그냥 체험하십쇼.
    '미디블 토탈워2' 추천(게임)

    솔직히 까놓고 말해서 보병도 보병 나름이죠.
    중갑을 입느냐, 경갑을 입느냐.
    양손무기냐? 방패와 무기를 같이 드느냐?
    그렇다면 무기는 검? 도끼? 둔기? 단창? 투창? 단검?(글라디우스는 아마 숏소드 계열로 넘어가니 단검.. 이라고 해야하나;)

    창병에 대해서도 테클을 걸고 싶은 것이... 중세의 보병은 거의 창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일단 촉을 양산하기 쉽고 구조가 간단한데다 리치가 긴 동시에 아군을 잘못공격할 확률이 낮고 복잡한 기술을 요구하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이 창병은 방패에 한손 창을 들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본문 글을 읽어보니 아무래도 장창병을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기마병의 돌격을 저지하는 장창병대의 경우 창 길이가 랜스보다 훨~씬 길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국의 요먼 장궁병대(얘들 맞나 헷갈리는데 암튼 영국은 맞습니다.)는 사격하는 지점 앞에 말뚝을 박아놔서 기마대가 돌격 들어오면 말뚝에 말이 엎어져 낙사하는 것을 유도했다죠?
    그것 말고도 기마대를 저지하는데 좋은 것은 공포의 석궁.. ㄷㄷㄷ;;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마대는 강합니다. (정말 강합니다.)
    비싸서 문제지 한번 쓸고 지나가면 남아나는게 없죠.
    말 체중 대충 400킬로그램 잡고 사람 70킬로그램에 갑주 40킬로그램... 그게 달려와서 밟고 지나간다면 어휴;;
    (랜스는 됐고 그냥 스쳐 지나가도 아작날듯..)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63 소유자
    작성일
    10.06.23 01:20
    No. 13

    실례로, 중세유럽때 밀집된 장창병대에 기사단이 돌격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게 많습니다. 심지어, 정면으로 돌격해서 이긴경우도 있었습니다! 뭐, 분명히 장비가 부실한 장창병대 였겠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원죄
    작성일
    10.06.23 01:26
    No. 14

    창병이 유리하다는 것은
    로마의 군단떄문인 것 같습니다.
    한 4~5미터는 되보이는 장창.... 이 일렬로 쫘르르르.....
    장난이 아닐수밖에 없습니다.
    기병이.... 제대로 활약을 보여준 것이
    등자가 발명된 이후부터인데요
    등자의 발명 이후 마상궁술이 발전해서 그런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 콤니노스
    작성일
    10.06.23 01:50
    No. 15

    로마 군단은 4~5미터 장창을 주력으로 쓴 적이 없습니다. 그리스 지역의 팔랑크스 방진과 헷갈리신 모양이군요. 그리고 사실 등자가 도입되기 전부터 기병은 보병에게 위협적인 존재였습니다. 빠른 속도(와 그에 인한 돌격력), 보병보다 훨씬 위에서 내리치는 공격만 봐도 그렇지요. 등자가 말 타기 편하게 해주는건 사실이지만 사람들이 믿는것 처럼 결정적인 대발명까진 아니었다는 설이 요즘은 인정받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창기병 돌격시의 충격을 줄이는건-등자 구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등자보다는 안장 구조에 영향을 받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에일
    작성일
    10.06.23 01:56
    No. 16

    병과 간의 상성을 삼각 관계의 연쇄로 표현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전략과 전술 그리고 보급을 모두 배제한체 단순히 전투력을 놓고 본다면 피라미드로 표현하는게 더 쉬울듯

    그리고 포식자는 기병이라능..

    총기 등장 이후에도 중기병이 망했을 뿐 경기병의 비율은 점점 더 높아져서 60%대에 이르기도 하거든요..

    나폴레옹씨의 말씀을 인용하자면 "기병은 전투 전에, 전투 중에, 전투 후에 유용하다."

    넵.. 기병만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8 쿼츠
    작성일
    10.06.23 02:21
    No. 17

    전마머꼬님.
    MD의 랑그릿사2 SFC의 데어랑그릿사 PS1&PC 랑그릿사2를 봐도, 비병은 항상 보병, 기병, 창병보다 약해요.
    기동력이 압도적으로 뛰어난 대신 공격력은 타 병과와 비슷한데 방어력이 10~15수준이기 때문에 완전 약합니다.

    아, 또 위에는 궁병>마법사 라고 적었는데.
    엘프나 하이엘프. 어세신등의 궁병은 마법사가 공격해봐야 1~2데미지 밖에 받지 않는데, 발리스타의 경우는 마법 한방 맞으면 거의 떡실신 수준으로 피가 날라갑니다.
    아무래도 사람이 활쏘는게 아니라 기계를 조종해서 활을 쏘기 때문에 그런 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Clari
    작성일
    10.06.23 02:41
    No. 18

    여왕의 창기병?...;;;;??...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지지知知
    작성일
    10.06.23 03:39
    No. 19

    노예 이만 명에게 석궁을 쥐어 주고 소드 마스터를 녹여 버렸던 여왕의 창기병을 추천해 드립니다.

    밀리터리를 제외한 판타지 중에서는 굉장히 사실적인 작품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1 제로카인
    작성일
    10.06.23 07:06
    No. 20

    예담님 지지님 추천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스카이76
    작성일
    10.06.23 09:44
    No. 21

    창병이 기마병에 비해 강한 이유는..

    기마병이 만약 100명이라면.. 같은 값이면.. 창병대는 1000명이상 (사람은 무한하다는 전제하에..) 무장/훈련 시킬수 있기 때문이죠..

    1:1비율로는 절대적으로 기마병이 강하겠죠..

    10:1수준은 되어야 해볼만하고.. 2-30:1정도 되어야 붙을 마음이 생기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6 한편만Tn
    작성일
    10.06.23 14:29
    No. 22

    내가 600편쯤읽다가 포기했는데 오늘 보니 1200편 ㅡㅡ 진짜 다른건 몰라도 티거6식전차 이분은 어흑 만약 모든 작가들이 이분 같은 분량을 보여줄수 있다면 연참 대전 기본 1000편 누가누가 빨리 달리나 이러면 참 상상만 해도 끔칙한 악몽일듯 언제 읽어 보낭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7 하이아칸
    작성일
    10.06.23 15:52
    No. 23

    많은분이 기마병에대해서 오해하시는데 중갑기병이 역사에서 크게 떨친적은 별로없습니다. 실제 기병대가 무적으로 평가받는것은 경기병쪽이죠(좀더 정확히는 궁기병). 중세시대 창병을 기병이 무너트렸다고 창병도 기병이 이긴다고하시는데 실제로 스위스용병대의 고슴도치 전법에 그당시 중세기병들이 전부다 무너졌습니다(스위스 용병대는 장비가 우월한것도 아니고 단순히 무지긴장창만 가지고 있을뿐이었죠). 기병이 무서운이유는 빠른 기동력을 이용한 각개격파가 가능하고 특히 후퇴하는적을 써는데 강력한것이지 평원에서 서로 마주보고있는상태에서는 잘 훈련된 보병들에비해서 그렇게 강력하지않습니다. 일례로 시저와 폼페이우스전투만봐도 기병위주의 폼페이우스가 창병에게 돌진했다가 무너진걸볼수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7 하이아칸
    작성일
    10.06.23 15:54
    No. 24

    그리고 저도 여왕의 창기병을 추천합니다. 삼국지또한 괜찮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콤니노스
    작성일
    10.06.23 23:41
    No. 25

    흠..큰 오해를 하시는것 같습니다. 중무장 충격 기병은 그것을 운용할 재력, 말이 되는 구대륙 지역 전역에서 최강의 전력으로 통했습니다. 기병은 보병 세기에 필적한다는 말이 나온건 서양이 아닙니다. 스위스 장창병대는 기병대를 상대로 매우 강한 위력을 보였지만, 그렇다고 싸울때마다 이기는건 아니었습니다. 프랑스 젱다르므들이 연이은 돌격을 통해 스위스 창병대를 무너뜨린 사례 같은게 유명하죠. 파르살루스에서 폼페이우스의 기병들이 무너진건 일단 그 시대 로마 기병들을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중무장 충격 기병으로 칠 수 있느냐부터가 문제고, 갈리아를 누빈 카이사르의 보병대와 막 끌어모은 폼페이우스의 애송이 기병대의 숙련도, 사기 차이를 감안해야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콤니노스
    작성일
    10.06.23 23:44
    No. 26

    또, 궁기병의 스웜 전술을 최강의 전략 정도로 생각하는 것도 오해입니다. 1차 십자군 원정 당시 사슬 갑옷으로 무장한 십자군은 도릴라이움에서 기습해온 룸-다니슈멘드 투르크 연합군의 궁기병 + 보병 궁수 스웜 전술을 격파했고, 모히 전투에서 섣불리 도강한 몽골군은 헝가리군에게 완파당할뻔 했습니다. 귀주 대첩에서 대규모의 궁기병을 투입한 거란이 고려에게 격파 당한 사례도 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에일
    작성일
    10.06.24 02:05
    No. 27

    스위스 창병대의 팔랑크스 방진의 강함이 단순히 긴 장창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 기병대의 돌격에 앞서 전열을 무너뜨리긴 커녕 차라리 전멸을 택하는 그 정신력 때문일꺼라고 생각합니다. 기병이 야전에서 약하다는건 글쎄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라고 하셨는데 애초에 측면 강타를 목적에 둔 기병이 왜 정면 대결을 고집할까요..

    파이크병의 주된 역할이 머스켓티어를 향해 달려오는 기병대를 방어하기 위함이라는 점도 유의하셔야 합니다. 공격권은 무조건 기병에게 있어요. 그걸 막아내서 아군 기병대가 한방 먹여주는게 승리의 초점이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4323 요청 완결란이나 연재중인 작품들 다 추천 받습니다 +6 Lv.67 우랄 10.06.25 1,395 0
14322 요청 역사소설 추천이나 알려주시면감사 +6 Lv.64 라이샤 10.06.25 1,219 0
14321 요청 사령술?네크로맨서?소환사? 요청.. +8 Lv.3 인중여포 10.06.25 1,175 0
14320 요청 소설 제목 알려주세요~ +2 Lv.4 Eiji 10.06.24 576 0
14319 요청 판타지 소설 추천해주실분~(세력을 키우는 영지물) +1 Lv.1 무진(武振) 10.06.24 1,240 0
14318 요청 아크 나 달빛 조각사 같은 게임 소설 찾아요 +26 Lv.80 곽정1 10.06.24 1,564 0
14317 요청 무협으로 넘어가는 소설이 있나요? +5 Lv.53 서윤 10.06.24 1,325 0
14316 요청 주인공이 상당히 못생긴 소설 좀 추천해 주세요 +11 Lv.45 존슨만슨 10.06.24 949 0
14315 요청 소설 제목좀 알려주세요..기억이 가물가물. +3 Lv.1 천가희 10.06.24 996 0
14314 요청 선호작에 N이 2개밖에 안 뜹니다. n좀 살려주세요 +6 ★미리내★ 10.06.24 1,253 0
14313 요청 전쟁 소설 추천부탁 드립니다. +7 Lv.7 선택이란 10.06.24 849 0
14312 요청 아주 재밌는 SF소설좀 추천해주세요 +19 으음... 10.06.24 1,332 0
14311 요청 말과 전차들이 등장하는 소설 자추나 추천부탁드려요. +10 Lv.11 제로카인 10.06.23 1,035 0
14310 요청 추천 부탁드려요! +1 Lv.1 가타카나 10.06.23 735 0
14309 요청 한 분이 한 작품씩만 추천해주세요. +27 Lv.8 은빛여행 10.06.23 1,355 0
14308 요청 판타지소설 추천받아요 +2 Lv.1 Devilfox 10.06.23 510 0
14307 요청 대장장이 소설 추천좀 해주세요 +6 Lv.76 별과달사냥 10.06.23 1,045 0
14306 요청 축구보기전까지...추천좀요. +5 Lv.99 SyRin 10.06.23 721 0
14305 요청 추천 좀 해주세요- Lv.99 생각날개 10.06.23 348 0
14304 요청 이런류의 소설들 중 생각나는것 추천바랍니다. +3 Lv.52 떠중이 10.06.23 730 0
» 요청 보병>궁수>마법사 병과의 상성이 나와있는 ... +27 Lv.11 제로카인 10.06.22 1,136 0
14302 요청 학원물 추천 부탁드려요~ +5 Lv.1 lyz1224 10.06.22 1,548 0
14301 요청 로맨스 소설 추천졈.... +7 Lv.3 이프리트a 10.06.22 622 0
14300 요청 선호작욕심이생겼습니다!! 도와주세요! +12 Lv.25 게으른오전 10.06.22 966 0
14299 요청 추천 바랍니다. +7 Lv.16 三月 10.06.22 562 0
14298 요청 이런소설잇을랑가요/. +6 Lv.1 [탈퇴계정] 10.06.22 1,130 0
14297 요청 [인적히]를 읽었던 기억이 있으신 분들께 +3 Lv.52 사신의연주 10.06.22 651 0
14296 요청 오크의 '생태계'가 나타난 소설 추천 받습니다. +21 Lv.11 제로카인 10.06.22 1,539 0
14295 요청 고수님들의 도움을 요청합니다 +5 Lv.99 눈의아이들 10.06.22 591 0
14294 요청 무협소설 제목 찾습니다. +4 Lv.40 belovers 10.06.22 666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