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8

  • 작성자
    Lv.38 殺人探偵
    작성일
    08.05.30 00:17
    No. 1

    전 이북 쓰고 있습니다. 이북으로도 출판 좀 빨리 해줬으면 좋겠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파베르
    작성일
    08.05.30 00:24
    No. 2

    인더북 나오기 전까지는 일일 정액제가 있어서 가끔 봤었는데..
    인더북에 들어가보니까 한권에 그런 가격이 책정되었더군요. 그래서, 요즘에는 만화책만 보는 듯..-_-;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TeaTree
    작성일
    08.05.30 00:30
    No. 3

    가끔 들어가서 무료소설을 좀 본다는..
    유료는 쉽게 보게 안되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검우(劒友)
    작성일
    08.05.30 00:37
    No. 4

    정가가 1권에 8,000원입니다. 3,200원이면 정말 싼거죠.
    대여료 기준으로 계산을 하니, 비싸 보이는 것 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쥐먹는냥이
    작성일
    08.05.30 00:47
    No. 5

    검우님 정가로 비교하면 싼게 맞습니다만
    직접 손에 쥐어지는 것도 아니고 대부분 한 번 읽고
    지나가는 eBook이라서 보는 사람이 있는건지 궁금한겁니다.
    그리고 eBook의 경쟁 상대는 출판사가 아니라
    대여점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그런지 상당한 가격이라 생각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韶流
    작성일
    08.05.30 00:54
    No. 6

    이북 대여기능처럼 시간 정해주고 보는게 좋지 않나? ㅡㅡ? 보는 사람도 부담없어서 좋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사막물고기
    작성일
    08.05.30 01:06
    No. 7

    그래도 인터넷상이랑 컴퓨터로만 볼 수 있긴 하지만 소장이 되잖아요.?
    생각날때마다 볼 수 있으니.. 마냥 비싸다고만 할 수는 없을 것 같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쥐먹는냥이
    작성일
    08.05.30 01:18
    No. 8

    아페티투스님 인터넷이 가능한 컴으로 볼 수 있다는게
    장점이긴 하지만 단점도 됩니다. 휴대성이 전혀 없거든요.
    PMP나 기타 휴대용 기기들이 인기가 있는것은 그 이동성에 있습니다.
    책을 볼때 한 곳에 앉아서 모니터만 봐야한다면 그게 항상
    장점이라고 하기도 힘들다고 봅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그게
    상당한 단점으로 다가올테니까요.

    더구나 책은 한 번 사면 내가 버리지 않는한 그대로 있습니다.
    근데 eBook은 망해버릴 수도 있는 기업이라는 점 입니다.
    그리 되면 그 동안 샀던 것들 보장이 될까요??

    eBook으로 보시는 분들중에 소장을 목적으로 하시는 분은
    거의 없을거라고 봅니다. 소장 했다고 그게 표시가 나는 것도 아니고
    그에 대한 가치가 거의 없기 때문이죠.
    거의 대부분 장르 소설들이 한 번 읽고 지나가는 소설입니다.
    몇 안되는 소설들이 그나마 여러번 읽히고 있죠.
    그런 상황에서 보면 가격이 만만치 않아서
    보는 사람이 생길까라는 생각이 드는 겁니다.

    저도 근처에 책방이 없어서 이용할까 생각했지만
    딱 보는 순간 흠... 다시 생각하게 만들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나르쪼
    작성일
    08.05.30 01:26
    No. 9

    e-book으로 전 안 보는편입니다. 책장을 넘기며 보는게 더 편해서 돈 내면서 눈 아프게 보고 싶지는 않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표풍대제
    작성일
    08.05.30 01:28
    No. 10

    구글이나 MS, 조선일보 같은 곳이 퍼블리싱해서 '우리는 망하지 않아!'의 포쓰를 내뿜거나, 권당 500~1000원정도의 박리다매(E-book은 추가판매시 공급가 부담이 없으므로)로 밀어붙이지 않는 이상 E-book이 대세를 차지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표풍대제
    작성일
    08.05.30 01:31
    No. 11

    전자잉크 E-book 리더를 전자신문 클라이언트 개념으로 조선일보에서 뿌리며 그것으로 편하게 E-book을 구매하고 볼 수 있게 하는 방식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조선일보정도라면 수십만원은 할 전자북 리더를 뿌려댈 능력이 될테니까요. 종이신문의 공급원가를 고려하면 전자신문에도 상당한 매력이 있을겁니다.

    또한, 그에 연동하여 이후의 문화컨텐츠 시장을 선점하는 효과 또한 있을테니까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표풍대제
    작성일
    08.05.30 01:32
    No. 12

    전자잉크의 경우 일반적인 LCD 등과는 다르게 일광 하에서도 보기에 문제가 없고, 보기에 편합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6 애시
    작성일
    08.05.30 11:28
    No. 13

    전자도서관같은데서는 ebook대여도 해주던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캄파넬라
    작성일
    08.05.30 11:41
    No. 14

    이북은 일단 '소장가치' 면이 없기때문에 기존 책의 8천원 정가와 비교 하는것에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책의 경우 버리거나 훼손 시키지만 않으면 반 영구적으로 소장이 가능하나 이북의 경우 회사가 망하면 끝장이기 때문이죠. '인터넷이 되는 컴퓨터가 존재할것' 이라는 조건도 걸리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쥐먹는냥이
    작성일
    08.05.30 11:43
    No. 15

    조선일보는 참 마음에 안들긴 합니다만..
    표풍대제님이 하신 말씀은 대부분 공감이 됩니다.
    좀 더 대중화 되어야 하는데... 지금 eBook은
    수요층을 너무 한정하는것 아닌가 싶습니다.
    매체의 장점을 극대화 해야 합니다.
    근데 지금은 그 장점을 이용해서 많은 수요를
    창출할 생각이 없어보입니다.
    판매시 추가 비용이 거의 없는데 반해서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가격 정책을 펼치고 있죠.
    이 분야도 조만간 경쟁이 치열해지면 바뀌리라 생각되지만
    그 때부터 바뀌면 이미 뒤쳐질텐데...
    인터넷 기업들을 가장 중요한게 많은 접속자 수입니다.
    그럴려면 남들보다 빠르게 수요층에게 어필을 해야합니다.
    대부분 사람들을 한 번 사용하기 시작하면 계속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니까요. 근데 그런 노력을 하고 있는건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크리스티
    작성일
    08.05.30 14:29
    No. 16

    전 e-book 대여점에서 정말 찾기 힘든 책만 봅니다. 책을 사기에는 돈이 문제가 아니라 공간이 문제라서 사긴 그렇고 보고 싶은 책만 쓰는거죠.

    근데 정말 회사 망하면 다 날리는 거겠네요. 짜증나네....3200원 어떻게 생각하면 별거 아닌거라 생각은 합니다. 책 사는거 하고는 달라서

    근데 업데이트가 너무 느려서 왠만한 건 빌려 봅니다. 양도 적고... 딱히 이게 보편화 되기는 힘들것 같더군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4 나예리
    작성일
    08.05.30 20:23
    No. 17

    저도 동감입니다. 이북 한권에 3200원이라 큰맘먹고 회원제 한달 2만원 신청했는데, 최신간은 하나도 없고해서 질려버리더군요.. 게다가 갑자기 장르소설 권태기가 와버린(가끔씩 그런일 있으시죠? ^^;;;)결국 돈만버림. 그렇다고 하루에 5천원하는 정액제는 부담스럽더군요.
    최신간이 많다면 그 돈을 쓸 수 있겠지만... 너무 옛날것들만 있어서
    솔직히 좀 그랬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5 쉼마니
    작성일
    08.06.02 03:52
    No. 18

    만화방가도 하루 종일제가 5천원은 넘을겁니다. 비싸다뇨;
    48시간에 5천원인데 비싸다고 하시면 곤란하지 않을까요? 차라리 신간들과 전체적인 책 목록을 늘리라고 구박하시는게 보기엔 좀 나을것 같은데.

    저는 종종 이용합니다. 옛날에 서점에 가서 권권이 뽑아들다 좀 살펴보고, 마음에 들면 들고앉아 빠져드는 매력의 향이 좀 떠오르는 듯도 하더군요.

    학생시절 때 용돈을 있는데로 털어서 퇴마록, 드래곤라자, 파운데이션, 하르마게돈,.. 등등을 모아두고 보고 또 봤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에 비하면... 물가가 이렇게 많이 올랐는데 오히려 그때보다 더 싼값에 더 많은 글을 접할수있게 되었는데 뭐가 불만인지. 제값내고 사보던 저로서는 도저히 이해하기가 힘들군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