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작성자
Lv.59 강훈(姜勳)
작성
14.11.15 11:52
조회
1,992

글을 쓰다보면 자기도 모르게 저지르는 실수들이 많이 있더군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역전앞, 족발 등도 마찬가지이지만 단어에 이미 뜻이 내포되어 있는 데도 불구하고 그 단어를 설명하는 형용사를 붙이는 경우가 있더군요.

제 경우에 다음과 같은 실수가 있었더군요. 물론 한글검사기도 바로 잡아 주지 못하더군요.

‘가부좌하고 앉아 죽어 있는 시체를 보게 되었다.’

‘가부좌’에 이미 ‘앉아 있다.’라는 의미가 들어 있고 ‘시체’에 ‘죽어 있다.’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므로 바르게 쓰려면  ‘가부좌한 시체를 보게 되었다.’라고 쓰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가 제 글 여기저기에서 발견되었는데 이제까지 저도 발견하지 못하였고 독자분들도 발견하지 못하더군요.  여러분은 어떤가요?



Comment ' 21

  •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4.11.15 11:57
    No. 1

    가부좌로 앉아 죽어있는 시체를 보게 되었다.

    딱히 문제가 있어보이진 않는데요 `-`;
    중의적인 표현은 어느곳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완전 같은 의미를 두번에 걸쳐 표현한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두번에 걸친 표현으로 문장을 다듬는 것도 하나의 필력이라 생각해요.

    앉아 죽어있는 시체를 보았다.
    이 경우 어디에 어떻게 앉아 있는지, 독자에게 상상력을 요구합니다. 의자에 앉아죽었나? 아니면 다리를 핀 채 앉아죽었나? 무릎을 꿇었을까? 고개는 숙이고 있을까? 젖히고 있을까? 손은 어디에 어떻게 된거지? 여러 상상을 요구하죠. 이런 상상은 독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피곤합니다.

    하지만 가부좌란 표현을 덧붙여서 어떻게 앉아있는지를 설명해주었죠.
    가부좌라면 다리를 모은후, 꼬았을테고 손은 무릎 위에 있을 것이란 상상을 하게 됩니다. 가부좌를 했을테니 시선은 정면으로 향하고 있을테구요.
    즉, 문장을 보기 편하게 만들어주었습니다.

    중의적인 표현을 크게 신경쓰지마세요.
    한번 읽히고 바로 상상이 된다면 오히려 제대료 표현한 글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8 Thursday
    작성일
    14.11.15 12:03
    No. 2

    중의적이라는 말과 반복적이라는 말을 혼동하고 계시는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4 늦두더지
    작성일
    14.11.15 12:06
    No. 3

    아래 님이 써주신대로 가부좌 자세로 누어 죽어있을수도 있죠. 저는 윗님이 말한거에 동의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8 Thursday
    작성일
    14.11.15 12:24
    No. 4

    예 저 문장을 그대로 문장을 수정하려면 어색합니다. 소설은 문장이 모여 장면을 만들기 때문에 여러가지 상황을 따져야 합니다. 죽어있는의 경우엔 참작의 여지가 있으나 가부좌 한채로 앉아는 아닙니다.
    가부좌한 채로 죽은 시체가 보였다ㅡ 하지만 저라면 이렇게 하겠습니다.
    가부좌한 시체 한구가 보였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정보가 너무 직관적이죠.
    예로 든 정황을 따져가며 문장 구조 자체를 바꾸는 것이 여로 모로 낫지요. 어떤 상황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대략 분위기로 봐서는 무협 특유의 기연을 얻는 과정의 한 문장 같이 보이는 군요. 필요하면 정보를 나누는 것도 좋습니다 가부좌로 앉은 과 시체라는 정보를 말이지요.
    송시열은 석회 동굴에서 시체 한구를 발견했다. 가부좌한 시체는 시체임에도 고인의 풍모가 느껴져 절로 숙연해지게 하는 뭔가가 있었다.
    어떻습니까?
    정보는 더 많아지고 그것을 얻는 입장에서도 훨씬 상황을 파악하기 쉽지 않은지요.
    중의적인 표현과 반복적을 혼동해서 사용하시는 듯 해 말씀드린 것 뿐으로 기분을 상하게 하려는 의도는 없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8 Thursday
    작성일
    14.11.15 12:26
    No. 5

    외출증 모바일로 남겨 가부좌한 채로 앉아 예시 드려던걸 가부자 채로 라고 혼동해 썼는데 넓은 마음으로 이해 바랍니다. 그리고 저 역시 실수가 많은 어설픈 작자 입니다. 부디 마음 불편하시지 않길 바랍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4 늦두더지
    작성일
    14.11.15 16:00
    No. 6

    댓글 여기다 남길께요. 말그대로 의미입니다. 시체가 가부좌 자세를 하는 모습은 아시겠죠? 그 자세로 굳어져서 뒤로 넘어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등은 땅에 닿았으니 누워있는것이고 한기나 경직등의 원인으로 인해 다리 손등의 위치가 고정된 모습이죠. 그런 시체를 보았다고 한다면 어떻게 묘사하실껀지 물어본겁니다. 앉아있지 않으니 가부좌라고 안쓰실꺼같은데 그럼 일일히 (양반다리 하고있고 손은 무릎위에) 등의 직접 설명하시는건지 궁금해서 말입니다. 설명하시는걸 읽어보니 가부좌라는 단어에 앉아있다라는 의미가 포함되있다고 강하게 강조하시는것이 꼭 앉아있을때만 가부좌라는 표현을 써야한다고 하는거 같아서 물어보는겁니다. 정말 궁금하거든요. 가부와 라고 하기도 우습고말이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4 늦두더지
    작성일
    14.11.15 13:05
    No. 7

    글 잘쓰시네요. 진짜 무협소설같아요. 그럼 궁금한거 하나만 풀어주세요. 데이님이라면 위에서 가부좌자세로 누워 죽은 시체를 보는 장면이라면 어떻게 묘사하시는지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8 Thursday
    작성일
    14.11.15 13:49
    No. 8

    글쎄요. 딱히 묘사를 많이 할 것 같지 않습니다. 일단 저 장면에서 저라면 묘사를 많이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후 주요 복선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신, 장신구, 혹은 신체적 특징이 있다면 그리겠지요. 무엇보다 저는 늦두더지님의 말을 사실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위에서 보는,
    가부좌 자세로
    누워 죽은 시체

    라는 말을요.

    가부좌 자세로 죽은 시체라 하면 분명히 앉아있을텐데 동시에 누워있다는 말을 이해하기 힘듭니다. 굳이 넘겨 짚어 해석하자면 사후경직 이후 가부좌 채로 몸이 굳었는데 외부의 충격에 시체가 가부좌 자세로 넘어졌다는 건가요? 그렇다면 좀 한 편으론 우스꽝스러울지도 모르겠군요. 그리고 그걸 내려다본다?

    그리고 위에서 내려다보는 하이앵글 자체가 좀 권위적입니다.

    저라면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굳이 그런 식으로 그리진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작중 중심인물이 (1인칭인지, 3인칭인지에 따라 표현 방식이 또 나뉩니다.) 시체에게 원한이 있다면 그런 앵글을 사용해볼만 하겠네요. 아니면 이제는 한낱 시체가 된 옛 고인의 허무함을 그리기 위해서거나.
    하나 상황을 만들어보죠.
    저는 주로 1인칭 소설을 씁니다만, 1인칭 밖에 못 써서 그런 것도 아니고 3인칭 소설의 구조를 모르는 것도 아니니 한 번 말해보겠습니다.

    한 고인이 우화등선 하겠답시고 모처의 동굴에 폐관 수련에 들어갔는데, 주화입마에 빠져 각혈을 하고 고통스럽게 죽었다는 정황이 있다고 합시다.
    시체의 그 끔찍하게 일그러진 표정에서 회한 어린 표정. 아쉬움을 주름과 기타 등등으로 표현할 지도 모릅니다. (3인칭이니까요. 1인칭이라면 해당 인물을 중심으로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그 감정에 취해 이런 걸 읽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자 이제 시체를 보는 인물이 나타났다고 치죠.
    복수를 위해 실종된 고인을 찾아 나타난 인물의 성격에 따라 그 대응도 표현도 달라질 것입니다.

    인물의 성격에 따라 반응도 나뉘겠지요. 이성적이며 냉소적인 인물이라면 아쉬울지언정 저 고인이 평생을 바쳐 이룩하려던 걸 실패했으니 복수보다 더 달콤하게 여길지도 모릅니다. 스스로를 죽이는 최고의 복수라면서 순수하게 기뻐할지도 모르지요. 다만 그 현장을 보지 못한 것에 아쉬워할 뿐.

    인물 됨됨이가 단순하고 그저 자신이 쳐죽일 것만 생각하는 생각이 깊지 못한 인물이라면 그저 화만 내며 시체에 대고 화풀이를 하거나, 허탈해하거나 하겠죠. 인물 자체가 아둔해서(아니면 쓰는 사람이 아둔해서) 저런 식으로 허무 또는 분노만을 그릴지도 모릅니다.

    좀 노련한 사람이라면 시체 앞에선 분노와 허무를 그린 뒤 복수의 대상이 이룩한 것이 무너지는 것을 추가로 그리거나 그가 남긴 모든 것들을 허상으로 그리거나 하면서 뒤늦게 깨닫는 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글쎄요. 이건 모두 다 가정일 뿐입니다.
    결론은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나뉘겠지만
    필요하면 하고 안하면 최대한 묘사는 배제합니다.

    그리고 정말로 궁금합니다.
    '가부좌 자세'로 '누워있는' 시체 한구란 도대체 어떤 자세를 말하는 건가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4 늦두더지
    작성일
    14.11.15 16:34
    No. 9

    위에 남겼어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9 강훈(姜勳)
    작성일
    14.11.15 15:45
    No. 10

    이왕에 '가부좌'란 말이 들어갔다면 '앉아있다'는 말은 되도록이면 들어가지 말아야 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만약 그 자세로 누워 있다면 '가부좌 자세로 누워 있다.'라고 할 수가 있지만 말입니다.
    '죽어 있는 시체' 와 '살아있는 듯한 시체'에서 전자는 비문이고 후자는 말이 되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8 whitebea..
    작성일
    14.11.15 11:58
    No. 11

    그런데 가부좌하고 굳은채로 자빠져서 누워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2 겨울입니다
    작성일
    14.11.15 12:00
    No. 12

    죄송... 빵 터졌어요.... 진지해야 하는데...;;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4 늦두더지
    작성일
    14.11.15 12:04
    No. 13

    이거 날카롭다고 생각합니다. 이분 말도 맞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STUMP
    작성일
    14.11.15 11:58
    No. 14

    '많은 사람들'에서 '많은'과 '들'은 복수의 표현이 중복되었다 하여 '들'을 제거하길 권장하죠. 저도 특정 문구나 표현을 무의식적으로 써오면서 실수하고 있는데, 매번 한 편씩 쓸 때마다 맞춤법 프로그램을 돌려서 수정해가며 자각해나가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밤에취하다
    작성일
    14.11.15 12:03
    No. 15

    설레임ㅎ..이 단어 없는 단어입니다ㅎ
    광고가 사람들 베림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8 Thursday
    작성일
    14.11.15 12:38
    No. 16

    중의적인 표현은 이런 것입니다. 소녀는 나이에 맞지 않게 손이 컸다.
    소녀답지 않게 다섯개로 갈라진 신체의 한 부위가 크다는 것인지 배포 또는 씀씀이가 크다는 것인지로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지요.
    가부자... 로 시작되는 예시는 중의적이 될 수 없습니다. 단순한 반복이지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8 Thursday
    작성일
    14.11.15 12:39
    No. 17

    역시 모바일이라 오타가 심하군요. 카페에서 시간 죽이는 한량의 심심풀이에 어울려 주셨다 보시고 좋게 봐주시길 바랍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중이염환자
    작성일
    14.11.15 13:24
    No. 18

    아무도 '보게 되었다'에 대해선 지적하지 않네요. '봤다'가 더 나은 표현입니다. 시체가 주어라면 보엿다가 되겠구요. 시체가 보였다. 시체를 봤다. 가부좌를 한 시체를 봤다. 가부좌를 튼 채 앞으로 고꾸라진 시체를 봤다 같은 경우는 몰라도 앉은 모습이라면 굳이 앉아 있다는 표현을 더할 이유가 없습니다. 혹은 가부좌라는 것이 주는 이미지, 즉 딱딱함, 불편함, 경건함 등을 강조하고 싶은 거라면 다른 설명을 덧붙이는 것이 낫습니다. 아 모바일 불편하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8 Thursday
    작성일
    14.11.15 13:51
    No. 19

    저 수동형 동사에 대해서는
    문장 구조를 바꾸는 것만으로 바로 해결이 되는 지점이라서 간과한 것 같네요.
    맞습니다. 되도록 수동형으로 동사는 피해주는 게 좋지요. 좋은 지적이라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9 강훈(姜勳)
    작성일
    14.11.15 15:52
    No. 20

    수동형 동사에 대하여는 미쳐 생각하지 못했군요.
    그런데, 어떤 사람이 동굴에 들어갔습니다. 시체를 보았습니다. 크게 놀랐습니다. 그때, '시체를 보게 되었다'라고 하여도 무방하지 않나요? '시체를 보았다'와 '시체를 보게 되었다'는 어감이 다르지 않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4 에잇디
    작성일
    14.11.15 23:08
    No. 21

    한글을 잘 몰라서 그러는대(정말로 위에 나열하신 내용중 반은 모르겠어요!)
    이게 그렇게 중요한 문제인가요?
    저는 어린 세대라 장르문학은 '재미만 있으면 되는거 아닌지?' 라는 생각이라서요.
    흑묘백묘론 처럼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40597 한담 계몽의 변증법 +8 Personacon Mokus 14.11.16 3,433 0
140596 홍보 [작연/현대판타지] 그 놈이 돌아왔다, 귀환 무적자! +7 Lv.1 [탈퇴계정] 14.11.16 4,021 2
140595 알림 연참대전 수정 알림입니다. +1 Lv.52 에바트리체 14.11.16 2,950 0
140594 한담 금일은 연참대전 휴식일입니다. 오늘은 연참휴무의... +3 Lv.20 형풍풍 14.11.16 5,230 3
140593 한담 연참대전 6일차 중계합니다. +11 Lv.20 형풍풍 14.11.16 4,586 13
140592 홍보 [자연/판타지] 집배원 폴 홍보합니다 Lv.9 Harooo 14.11.15 2,209 0
140591 한담 아 드디어 휴일이 왔습니다! +1 Lv.11 미스터호두 14.11.15 1,828 1
140590 한담 무협란을 보다가... +22 Lv.55 아메노스 14.11.15 4,066 2
140589 한담 역시 결제는 흐름을 타야해요.. +5 Personacon 그늘바람 14.11.15 3,451 0
140588 홍보 [현판]던전-s +4 Lv.99 염군 14.11.15 3,098 2
140587 한담 연참대전 내일은 휴가입니다. +17 Lv.29 레오프릭 14.11.15 4,762 4
140586 한담 퓨전이라고는 하지만 엄연히 역사소설... +11 Lv.10 P.smith 14.11.15 3,660 0
140585 홍보 [일연/판타지] 신작 '에어본 나이트'를 소개합니다! +10 Lv.18 나카브 14.11.15 2,163 5
140584 알림 연참대전 수정알림입니다. Lv.1 [탈퇴계정] 14.11.15 1,805 0
140583 알림 이벤트 1탄 가능 리스트와 관련 사과입니다. Personacon 문피아 14.11.15 3,078 3
140582 요청 글 제목이 기억이안납니다.. +1 Lv.8 다시금 14.11.15 2,315 0
140581 홍보 [일연/현판] 모든것을 먹어치우는 그것의 이야기! ... +8 Lv.41 by아말하 14.11.15 3,429 3
140580 한담 가끔 출간 제의 받는 분들이 부러워요. +11 Personacon 명마 14.11.15 3,938 0
140579 추천 글쓰기에 도움될 지식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8 Lv.71 보뇨보노 14.11.15 2,480 0
140578 홍보 [일연/판타지] 브레이크 헬 홍보합니다 +5 Lv.25 독불이한중 14.11.15 3,214 3
140577 한담 요즘 대세물을 보다 든 의구점.... +28 Lv.76 붉은마늘 14.11.15 2,644 5
140576 추천 Girdap 님의 회색시대 (완결) 추천합니다. +7 Lv.99 Novastar 14.11.15 4,524 6
140575 요청 개그 판타지 추천좀 해주세요. +5 Lv.42 7ㅏ 14.11.15 3,939 0
140574 한담 너무나 궁금한 게 있습니다. +13 Lv.72 독거미sp 14.11.15 3,931 0
140573 한담 눈 감고 글을 써보신적 있으신가요? +8 Lv.18 글도둑 14.11.15 1,992 3
140572 홍보 [일연/현판] 두개의 세계 +1 Lv.13 이도(李陶) 14.11.15 3,029 0
140571 한담 유행하는 소재와 장르를 바꾸는 방법. +11 Lv.45 매일글쓰기 14.11.15 2,256 5
140570 추천 2년후 추천합니다 +12 Lv.91 에데니아 14.11.15 5,351 4
» 한담 글쓰면서 자기도 모르게 저지르는 실수들. +21 Lv.59 강훈(姜勳) 14.11.15 1,992 0
140568 한담 왜 환생물일까?? +5 Lv.72 밤에취하다 14.11.15 2,952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