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성장물]은 뭘까요?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
14.02.12 01:18
조회
5,145

무협과 판타지의 역사가 점점 길어지면서 그 분류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언젠가부터 ‘성장물’이란 말이 자주 보이더군요. 


성장물...

일단 어렸을 때 읽었던 몇 편의 ‘자전적 성향의 소설’이 떠오릅니다.

꼬마 철학자라든지, 인간의 굴레 라든지...

어린 시절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작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한 인간이 살아오는 여정을 그린 작품들 말이죠.


하지만 판타지 무협에서 그런 성격의 글을 찾기 힘든 게 사실인 마당에, 이쪽 장르판에서 ‘성장물’은 어떤 의미일까요?


1-1 : 그냥 어릴 때부터 나와서 쭉 나이 먹어가는 과정이 들어있으면 성장물이다!

1-2 : 쭉은 필요없고, 어린 시절이 어느 정도 분량 들어있으면 성장물이다.

(예: “벽곡단 먹으면서 면벽수련한지도 벌써 10년이란 세월이 흘렀군” 하면서 갑자기 나이먹고 나오는...)


2-1 : 나이는 상관없고, 주인공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는 것이 성장물이다.

(1써클이 7써클 되고, 소드?가 소드 마스터되고, 귀족이 왕이 되고, 총각이었다가 삼처 사첩 거느리고...)

2-2: 주인공이 자신을 지배하던 어리고 편협한 가치관을 깨부수고 정신적으로 성숙해지며 자유로워지는 과정이 그려지는 게 성장물이다.


이 중에 어떤 걸 ‘성장물’이라고 부를까요?


Comment ' 19

  • 작성자
    Personacon 통통배함장
    작성일
    14.02.12 01:20
    No. 1

    저는 2-2라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20살 먹었어도 유치한 사람들 많거든요.(저도 그런 사람 중 하나였다고 말못함)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KaleidoS..
    작성일
    14.02.12 01:45
    No. 2

    4개 다 합쳐진 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이이공
    작성일
    14.02.12 01:52
    No. 3

    1-1이나 2-2 단일적인 것도 있겠지만,

    1-1과 2-2가 합쳐진 게 가장 성장물 부류에 맞는 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아저씨냄새
    작성일
    14.02.12 01:53
    No. 4

    주인공의 일대기가 성장의 요소를 포함할수는 있지만 성장물로 보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9 부정
    작성일
    14.02.12 02:46
    No. 5

    저도 2-2에 한 표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혈청
    작성일
    14.02.12 03:24
    No. 6

    합친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탈퇴계정]
    작성일
    14.02.12 05:55
    No. 7

    전 주인공이 내적, 외적으로 성장하는 두가지가 있는걸 성장물이라고 보고 있고 실제로 쓰고 있습니다.
    상당히 어린 나이부터 시작해서 좀 전개가 지루하고 느리지만.. 아이일때 가지게 되는 경험, 가치관의 형성이 어른이 되어서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에 쉽게 넘기긴 싫더라고요. 전 1 2 다 합친 복합적인 것을 성장물로 봅니다. 솔직히 어른이 자아찾기나 내적 성장을 한다는 것도 일종의 성장소설이 아닌가 싶네요. 읽는 사람의 판단이 주가 되겠지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엉클벤젠
    작성일
    14.02.12 08:36
    No. 8

    저도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 것들을 성장 소설이라고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2-2 가 가장 주가 되어야 한다는 전재하에 말이죠~ 가령 어떤 소설적 장치에 의해 나이가 거꾸로 먹는 일이 있더라도 그 사건을 통해 주인공 및 주요 등장 인물들이 뭔가 정서적, 정신적 성장을 이룬다면 그것도 성장물이라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2.12 10:35
    No. 9

    2-2와1합친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채이서
    작성일
    14.02.12 11:04
    No. 10

    성장물은 적이 주인공의 성장에 맞추어 꼬박꼬박 만만한 넘만 순서대로 보내는 소설인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4 고룡생
    작성일
    14.02.12 11:30
    No. 11

    모든 게 적절하게 분배의 법칙을 따른 게 정통 성장물이라고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黑月舞
    작성일
    14.02.12 11:53
    No. 12

    괄목상대의 고사를 들지 않더라도 성장을 표현하면서 시간이 그렇게까지 많이 들어갈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4.02.12 12:04
    No. 13

    정신적으로 성장해도 야동을 보게되도 ANG을 알게되도 성장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바이씨클
    작성일
    14.02.12 12:24
    No. 14

    적절히 다 녹아들어가있으면 좋겠지만....
    '드래곤레이디'라는 소설 추천합니다.
    줄리탄이라는 아무것도 모르는 시골 요리사 주인공의 성장기인데..
    성장기 소설을 추천해 달라고 하면 생각나는게 이거 밖에 없을 정도로 좋아하는 소설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2.12 12:30
    No. 15

    사실 '성장 소설'이니, '성장 영화'라고 하면 확 닿는 이미지가 있는데 (치기의 알을 깨고 나와 정신적으로 한단계 성숙하는 2-2의 경우), 판무의 경우에는 좀 헷갈립니다.
    '성장물 추천해주세요.'
    '이번 작품은 성장물입니다.'
    하는 경우의 성장물 90%는 2-2하고는 하등 관련이 없어 보이거든요. 다시 나머지의 90% 정도는 그냥 사탕 한 번 핥아보는 정도의 비중이고...

    적어도 판무에서의 '성장'이란 1-1과 2-1의 조합을 지칭하는 게 아닌가 여겨지더군요. 어렸을 때 철없는 대신 재미있는 (혹은 자상한) 스승이랑 아기자기하게 재롱 부리며 놀다가, 어느 정도 나이먹고 최강 고수가 되어 세상을 휩쓰는 전개 말이죠.

    말하자면 어린 재간둥이에서 먼치킨으로 발전해 나가는 걸 '성장물'이라고 하는 느낌이랄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1 水月猫
    작성일
    14.02.12 12:51
    No. 16

    11과 22가 섞인 게 성장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0 키루미
    작성일
    14.02.12 13:20
    No. 17

    주인공이 성장한다기보다 영지를 성장시키는 성장물이 많은거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진리의용사
    작성일
    14.02.12 13:21
    No. 18

    게임의 묘미는 레벨상승이며 스킬의 배움이죠!,,,,,,,,,,,,,,,,이 즐거움을 버리고 초장부터 먼치킨으로 시작한 책은 대부분 재미가 없슴니다! 무협지와 판타지는 시작은 미약하게 하면서 성장하는 재미가 재미가 있죠! 시간회귀도 9써클마법사가 아닌 4서클 마법사가 시간회귀를 하는 것이 재미가 있구요!,,,,,,,,,,,,,,,가장 중요한 것은 작가가 무협지의 무공과 판타지의 마법을 잘 알아서 깨달음과 치열한 생존으로 그 성장의 묘미를 살리는 것이 ``성장물``이라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순수국산
    작성일
    14.02.12 16:18
    No. 19

    단어적으론 자라서 커지다가 성장이란 뜻이긴 한데
    개인적으로 내적갈등의 표현이 어리다 에서 어른스럽게 자랐다가 성장물이 아닐까함.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34143 한담 베스트에 들어가는 인기 글의 공통점. +30 Lv.14 KaleidoS.. 14.02.13 2,036 0
134142 추천 이광섭 작가님의 마법왕에서 대작 냄새가 술술~ +13 Lv.3 칠리27 14.02.13 4,588 0
134141 추천 설경구님 [게임볼] 추천합니다. +5 Lv.78 호랑이눈물 14.02.13 2,077 0
134140 한담 네이버에 문피아 웹소설 이란 것이 있어요! +7 Lv.79 갈랑 14.02.13 2,972 0
134139 홍보 신고하지마세요. +11 Lv.30 외기인 14.02.13 2,026 0
134138 요청 이글이 출판 되었나요? +7 Lv.91 몽환의섬 14.02.13 1,720 0
134137 한담 글이 막힐 때 쓰는 기분전환법 +22 Personacon 베어문도넛 14.02.13 3,100 0
134136 요청 현대공중전 잘 묘사한 작품 있을까요? +14 Personacon 대마왕k 14.02.13 4,568 0
134135 한담 글쓰기와 글읽기성향 +2 Lv.39 판타지밸류 14.02.13 871 0
134134 홍보 [일연/현대] 소울메이트 홍보 나왔습니다~ +16 Personacon 베어문도넛 14.02.13 1,488 0
134133 한담 정말 오랜만이네요 +1 Lv.61 광필자 14.02.13 1,624 0
134132 알림 연참대전 냉면모임... +9 Personacon 금강 14.02.13 2,773 0
134131 홍보 [일연/현대]뱀파이어 소설 다른밤의이야기 완결 기... +2 Lv.9 지흔 14.02.13 1,626 0
134130 한담 신선한 소재에 너무 목말라 있는 것 같은... +12 Personacon 이계귀환 14.02.13 1,701 0
134129 한담 글을 쓰다가 저도 모르게 미친 듯이 몰입할 때가 ... +7 Lv.22 몰아沒我 14.02.12 2,236 0
134128 한담 글을 연재하면서 느끼고 궁금했던 점들 +12 Lv.11 역전홈런 14.02.12 2,042 0
134127 홍보 [일반/판타지] 알라사의 대영주 +12 Personacon 김연우 14.02.12 2,075 0
134126 한담 독자들과 같이 이야기를 만드는 소설 +26 Lv.19 ForDest 14.02.12 1,706 0
134125 한담 아무 대책없이 글을 써나가기 시작하니.. +4 Lv.53 나범 14.02.12 1,117 0
134124 한담 호흡이 느린 소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4 Lv.13 엉클벤젠 14.02.12 2,237 0
134123 요청 제목을 찾아주세요 Lv.80 부유마왕 14.02.12 1,760 0
134122 한담 홍보의 장단점 +6 Lv.8 진짜냐 14.02.12 3,185 0
134121 한담 동계 올림픽과 창작 모티브 +4 Lv.21 불가불계 14.02.12 1,586 0
134120 한담 현판에서 일반소설로 장르 변경한 후폭풍(?) +1 Lv.28 라임하늘 14.02.12 2,292 0
134119 홍보 [일연/판타지] 파멸의 노래 홍보나왔습니다! +20 Personacon 구유[舊遊] 14.02.12 2,592 0
134118 한담 내가 과연 무협을 쓸 자격이 있을까... +8 Lv.27 담화공 14.02.12 1,876 0
134117 요청 혹시 이런 소설도 있나요? +2 Lv.15 [탈퇴계정] 14.02.12 2,443 0
134116 홍보 [일연/현판,미스터리] 절대무능 패러다임 3차 홍보! Lv.27 Bibleray 14.02.12 1,868 0
134115 한담 확실히 플래티넘 연재를 하면... +8 Personacon 통통배함장 14.02.12 1,685 0
134114 한담 점점 글쓰는게 힘드네요 +18 Personacon 구유[舊遊] 14.02.12 1,944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