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Comment ' 5

  • 작성자
    금시조
    작성일
    06.01.22 10:24
    No. 1

    불가의 스님이 말하는 선재, 즉 착하다는 말은 善哉 아닌가요?
    착하구나 ... 라고 말하는 선재일 테고 .. 이 글의 선재란 ... 신선이 될만한 재질을 지녔다 .. 라는 뜻 아닌가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7 만득
    작성일
    06.01.22 11:04
    No. 2

    아 그 "재"자가 맞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후 문맥을 보면 도가적인 것과는 거리가 먼 흔히 선승들이 선재로다, 선근이로다하는 투의 대사기때문에 仙을 쓴 것은 실수라고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장경
    작성일
    06.01.22 14:13
    No. 3

    불교의 선종은 극단적으로 말하면 중국 토착의 신앙으로서, 철학으로서 도교와 불교의 결합입니다. 종교관뿐만 아니라 언어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죠. 예, 스님들도 도를 구하느니, 선골이니 선체니 하는 말을 합니다. 선이 들어간다고 해서 꼭 도교를 떠올릴 이유는 없다는 거지요.
    문맥으로 봐도 도를 찾아나서는 화엄경의 선재동자나 근기를 쌓아가 대덕을 얻는 선재가 아닌, 아원이를 재주 좋다고 칭찬했으니 그 선재를 씀이 맞지 않습니까?

    오해의 소지는 분명 있었다고 생각하고, 제가 굳이 댓글을 다는 이유는 기회를 빌어 오타, 버그 등에 대한 사과의 말씀을 드리기 위해서입니다.
    글에 대한 책임은 작가에게 있습니다. 글에 관한 한 출판사 분들은 작가를 돕는 것뿐이죠. 오타 등에 대해 꼼꼼히 점검해야 했었는데 하지 못한 점 사과를 드립니다.
    음, 그러니 들을 욕이 있다면 제가 들어야죠. 그러지 않아도 못난 제 글 다듬는다고 고생하신 출판사 제 담당... 저 대신 욕을 듣고 있으니 미안해서 하는 말입니다.

    아! 만득님 건강하시죠? 연재 초반에 자주 뵙는데 한동안 뜸했죠? 언제 한 번 뵙기를 바라며 늘 행복하시기를.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7 만득
    작성일
    06.01.22 15:48
    No. 4

    장경님이 친히 댓글을 달아주시다니... 처음 금시조님도 그렇고... 이거 영광입니다. 더불어 제가 너무 작가분에게 무례한 글을 쓴 것은 아닌가 하는 걱정마저 듭니다.

    두 분 늘 건강하시고, 건필하십시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Dr.소
    작성일
    06.01.22 22:22
    No. 5

    헉 장경님ㅠㅠ
    암왕같은 분위기도 가끔은 써주시면 어떨까해요-_-^

    철산호 3권 빠른 출간 기원함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