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Comment ' 15

  • 작성자
    Lv.7 Hero
    작성일
    03.07.07 04:10
    No. 1

    일단은 촉산객(촉산검협전)은 미완성작으로 알고 있습니다.
    작가가 알콜중독으로 사망했다고 알고있습니다만 확실한지는 저도..^^a
    그렇게 미완성이 10권까지인지 아니면 번역이 10권분량인지는 모르겠네요..ㅎㅎ

    이수민이 김용의 직접적인 스승이 되지는 않을것이겠죠...
    김용이 이수민의 영향을 받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수민은 20세기 초의 인물이구요(서문에 나오는것 같은데..흠..)
    어쨌던 그 하수오와 환생한 검선(?)의 아들 그리고 주인공격인 여자..이름이...ㅡ,ㅡ (엄청난 검을 가진...) 인물구성은 재밌었는데 전개도 안되고 끝난 느낌이 드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헤게모니
    작성일
    03.07.07 09:49
    No. 2

    알콜이 아니고 아편중독 아니었나요? ^^;
    저도 그 작품을 대단히 좋아하는데 10권까지 밖에 안나온게 무척
    섭섭하네요...그리고 촉산검협전 자체는 완결된거 아닌가요?
    촉산검협정전에 속하는 촉산검협전 51집, 촉산검협후전 5집은 완결된
    걸로 알고 있고, 촉산검협전전, 촉산검협별전, 촉산검협신전,
    촉산검협외전 등에 속하는 십수개 작품이 있는데 그중 뭔가가 완결되지
    못한게 있나보네요...
    화일로는 가지고 있는데 간자체라서 거의 알아보지 못한다는...^^;
    이 기회에 중국어 공부나할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헤게모니
    작성일
    03.07.07 10:11
    No. 3

    화일로 소지했다고 한마디 들을 것 같은데...
    88년에 언어문화사에서 나온 촉산객 10권 다 보유하고 있습니다. ㅡ.ㅡ;
    그 후에 촉산기협이라고 이름만 바꿔서 나왔었는데 딱 10권만 출간했고
    (이건 이미 번역해 놓은거 재탕해먹었다는 생각이 들고...)
    작년부터 다시 "촉산전"이라는 이름으로 세교에서 나오고 있는데
    10권을 넘길지는 의문입니다. (작년 9월에 7권이 나오고 현재까지
    안나오고 있음...)
    원어로라도 읽을까해서 중국사이트에서 다운받았는데, 간자체는
    까막눈이라 읽지 못하고 있다는...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劍1
    작성일
    03.07.07 12:56
    No. 4

    이재학님의 촉산객도 재미 있었어요
    검신검귀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4 무섭지광
    작성일
    03.07.07 13:08
    No. 5

    만화 야그를 하다니....
    촉산객은 이재학이 재미있기는 재미있었지!!1ㅎㅎㅎㅎㅎ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4 표향선자
    작성일
    03.07.07 16:46
    No. 6

    주인공은 삼영이운중 영남(성이 기억안나여)과 이영경이 주된 주인공이져.
    자영검과 청삭검을 가지고 활약 딱 한번인가 두번하고 책이 끊겨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주단학
    작성일
    03.07.07 18:35
    No. 7

    삼영이운중 제령운이 제일 법술이 높았습니다.
    건곤정기묘일진인과 순란인의 여식이지요.
    촉산검협전은 사실 진정한 고수들의 잔치가 아니라 하수들의 놀음을 고수들이 뒤에서 조정하는 것이라 호쾌한 맛은 부족하고 아기자기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고수들의 면면을 보면
    장미진인과 극락동의 극락동자 이정허가 동급이고(최강임. 이정허가 녹포노조의 허리를 댕강내 버리지요.)
    거지 능진인, 신니 우담이 비슷한 것 같고
    숭산이로, 동해삼선이 비슷한 경지이지요.
    장문인 건곤정기묘일진인은 강자중의 강자는 분명한데 구체적으로 어느 단계인지는 불명확합니다. (숭산이로, 동해삼선의 아래가 아니라고는 짐작이 되지만...)

    기타 다른 파의 강자로는 꼽추 신타 을휴, 장령자 등이 있구요.
    사파의 거두 녹포노조가 무시못할 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헤게모니
    작성일
    03.07.07 21:28
    No. 8

    천도신공의 그 주단학님이신가요?
    녹포노조는 9권에서 죽었습니다.
    묘일진인은 동해삼선중의 한명입니다. ^^;
    숭산이로는 추운수 백곡일, 왜수 주매 이렇게 두명이고,
    동해삼선은 현진자, 고행두타, 묘일진인의 세명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헤게모니
    작성일
    03.07.07 22:09
    No. 9

    아참! 아이디는 까먹었는데 감사드려요...이미 10년이 넘게 기다려온
    것, 계속 국내출간 안되면 10년 프로젝트로 천천히 번역해가며
    보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1 일명
    작성일
    03.07.07 22:39
    No. 10

    오래전에 2권 읽고 포기했습니다.....
    등장인물이 너무 많아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헤게모니
    작성일
    03.07.07 22:49
    No. 11

    어디선가 봤는데 이수민이 촉산객을 쓸 때 중국 전도를 펴놓고 그 위에
    등장인물들을 모두 깃발로 만들어 움직여가며 썼다고 하더군요...
    워낙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다보니 그렇게라도 안하면 헷갈릴만하겠다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주단학
    작성일
    03.07.08 10:10
    No. 12

    등장인물이 워낙 많으니 작가 자신도 헷갈릴 수가 있었을 겁니다.

    원래 동해삼선중의 한 명이 숭산에서 누군가를 만나서 의기투합했더랬습니다. 그래서 함께 오랫동안 숭산에서 함께 법술을 연구했지요.
    그래서 탄생한 두 늙은이가 바로 [숭산이로]다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그래서 숭산이로와 동해삼선을 합치면 5명이 아니라 4명이 됩니다.

    근데 [왜수 주매]와 [추운수 백곡일]중에 어느 늙은이가 동해삼선이 아닌지는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암튼 극락동자 이정허의 출현은 상당히 쇼킹한 바가 있었습니다. 나타나자마자 녹포노조의 허리를 댕강내 버리지요. 그래고 황금색 검광에 휩싸인채 사라져 가지요. 자존심 강한 숭산이로의 [왜수 주매]인가 [추운수 백곡일]인가가 자신의 실력으로 미치지 못할 바라면서 감탄했더랬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이우석
    작성일
    03.07.08 13:37
    No. 13

    촉산기협(촉산객)에나오는 인물들입니다
    대략 번역10권중 6-7권?쯤까지 나오는 인물들
    참고가 될까하여 올립니다.



    標 題: 蜀山劍俠傳


    峨嵋派鼻祖長眉祖師 아미파비조-장미조사
    ├─(大弟子)(東海三仙)玄眞子 -현진자
    │ └─(大弟子)諸葛警我 -제갈경아

    ├─(徒)乾坤正氣妙一眞人齊漱溟 건곤정기묘일진인-제수명
    │ └─妻(表妹)荀蘭因 -순란인
    │ ├─(友)簡氷如 -간빙여
    │ ├─(子)齊承基──(投胎)李金蟬 제승기--이금선
    │ ├─(女)齊靈雲(九華山鎖雲洞) -제영운
    │ └─(女)齊霞兒 -제하아

    ├─(徒)醉道人
    │ ├─(道童)松兒 -송아
    │ ├─(道童)鶴兒 -학아

    └─(徒)曉月禪師(滅塵子) -효월선사
    ├─(大弟子)病維摩朱洪 병유마 -주홍
    └─(徒)通臂神猿鹿淸 통비신원-녹청

    (東海三仙)苦行頭陀 -고행두타
    └─(大弟子)笑和尙 -소화상

    (東海三仙)(嵩山二老)追雲受白谷逸 추운수-백곡일
    ├─(妻)凌雪鴻 -능설홍
    ├─(大弟子)衡山珠簾洞岳雯 형산수렴동-악문
    └─(徒)齊魯三英雲中飛鶴周老三周琅(周淳) 운중비학-주노삼-주순

    百花山潮音洞神尼優曇大師 신니-우담대사
    ├─(大弟子)素因大師秦素因(玉 인) -소인대사
    │ └─(表弟)小孟嘗陶鈞(龍官) 소맹상-도균

    ├─(徒)摩伽仙子玉淸大師 -옥청대사
    │ └─(徒)張瑤淸 -장요청

    ├─(徒)黃山餐霞大師 황산-찬하대사
    │ ├─(友)落雁山愁鷹洞頑石大師 -완석대사
    │ ├─(大弟子)女空空吳文琪 여공공-주문
    │ ├─(徒)周輕雲 -주문
    │ │ └─(父)齊魯三英雲中飛鶴周老三周琅(周淳)
    │ │ └─(徒)趙燕兒 -조연아
    │ │
    │ └─(徒)朱梅(文瑾)(朱文) -주매(주문)

    └─(徒)齊霞兒 -제하아

    神尼優曇大師之師姐羅浮山香雪洞元元大師 신니우담대사-사조-나부산향설동-원원대사
    ├─(友)衡山白雀洞金모모<女+老>羅紫煙 형산백석동 금모모-나자연
    ├─(徒)王娟娟 -왕연연
    └─(徒)空空娘子余瑩姑 공공낭자-여영고
    ├─(父)余化虎 -여화호
    ├─(母)羅刹仙蔡三娘 나찰선-채삼랑
    └─(姐)八手龍女余珣姑 팔수용녀-여순고

    長眉祖師之師弟水晶子
    ├─(徒)(嵩山二老)賽仙朔矮受朱梅 왜수-주매
    │ ├─(徒)靑城山金鞭崖白雲觀紀登 금편애 백운관-기등
    │ ├─(徒)朱梅(文瑾)(朱文)(後拜) -주매
    │ └─(徒)小孟嘗陶鈞(龍官) -도균

    └─(徒)石道人 -석도인
    ├─(徒)五台山金身羅漢法元 금신나한-법원
    ├─(徒)多臂熊毛太──(徒)神行無影粉牡丹張亮 다비웅-모태
    ├─(徒)瘟神廟方丈粉面佛兪德 분면불-유덕
    └─(徒)飛天夜叉秦朗(X) 비천야차-진랑

    華山烈火祖師 -열화조사
    └─(徒)飛天夜叉秦朗(X) 비천야차-진랑

    靑城派鼻祖雲南雄獅嶺長春岩無憂洞極樂童子李靜虛(靜虛老祖) 극락동자-이정허(청허노조)
    ├─(徒)巫山峽白竹澗正修庵白雲大師元敬 백운대사-원경
    ├─(徒)峨嵋山飛雷嶺髥仙李元化 염선-이원화
    │ ├─(徒)趙燕兒(後拜) -조연아
    │ └─(徒)白俠孫南 백협-손남

    └─(徒)風火道人吳元智(X) -오원지
    └─(徒)七星手施林 칠성수-시림

    白眉和尙 -백미화상
    └─(徒)齊魯三英通臂神猿李寧 통비신원-이령
    └─(女)李英瓊 -이영경

    周雲從 -주운종
    └─(妻)張玉珍 -장옥진
    └─(父)張老實張老四 -장노실

    岷山蔣松嶺朝天觀水鏡道人 -수경도사
    └─(友)神眼邱林 신안-구림

    北海無定島陷空老祖 -함공노조
    ├─(徒)北海氷原靈威受 북해빙원-영위수
    └─(徒)空洞山長臂神魔鄭元規 장비신마-정원규

    宜昌三遊洞俠僧秩凡 협승-질범
    ├─(徒)煙中神顎趙心源(崇韶) 연중신악- 조심원
    ├─(徒)陸地金龍魏靑 육지금룡-위청
    └─(徒)展翅金鵬許鉞

    武當派────────────────────────────────────

    半邊大師 -반변대사
    ├─(師弟)靈靈子 -영영자
    ├─(徒)四川雲母女崑崙石玉珠 여곤륜-석옥주
    └─(姐)票渺兒石明珠 표묘아 -석명주

    有根禪師 -유근대사
    諸葛英 -제갈영
    癩道人 -
    滄浪羽士隨心一 창랑우사-심일

    崑崙派────────────────────────────────────

    川東南川縣鎭金佛山金佛寺方丈知非禪師천동남천현진 금불산금불사방장-지비선사
    ├─(師父)一元祖師 -일원조사
    ├─(師父)?僧空了

    長白山摩雲嶺天池上人장백산마운령-천지상인
    巫山風箱峽獅子洞遊龍子韋少少무산풍상협사자동유용자-위소소
    川東隱名劍仙鐘先生 천동은명검선-종선생

    ───────────────────────────────────────

    雲南百蠻山赤身洞五毒天王列覇多 오독천왕- 열패다
    └─空洞山長臂神魔鄭元規(後投身) 장비신마-정원규

    毒龍尊者 -독룡존자
    └─(徒)瘟神廟方丈粉面佛兪德(後拜) 분면붕-유덕

    落雁峰太乙混元祖師 낙안봉 -태을혼원조사
    ├─(妻)師妹黃山五雲步萬妙仙姑許飛娘 만묘선고-허비랑
    │ ├─(徒)司徒平 -사도평
    │ ├─(徒)廉紅藥 -염홍악
    │ │ └─(父)小覇王鐵鞭廉守敬 소패왕철편-염수경
    │ └─(徒)三眼紅霓薛茫 삼안홍예-설망

    ├─(徒)五台山鼻祖慈雲寺智通和尙 자운사-지통화상
    │ ├─大力金剛鐵掌僧慧明(X) 대력금강 -혜명
    │ ├─無敵金剛賽達摩慧能 무적금강 -혜능
    │ ├─多臂金剛--慧行 다비금강-혜행
    │ └─多目金剛小火神慧性(X) 다목금강-혜성

    ├─(徒)衡山鎖雲洞岳琴濱 -악금빈
    └─(徒)武彛山飛雷洞七手夜叉龍飛 무이산 비뢰동 칠수야차-장비
    └─(徒)小靈侯柳宗潛 소령후-유종잠

    長狄洞哈哈老祖 -합합노조
    ├─(徒)曉月禪師(滅塵子)(後拜) -효월선사(위진자)
    ├─(徒)貴州苗疆留人洞三洞主火魯齊(X) -화노제
    ├─(徒)貴州苗疆留人洞三洞主火無量 -화무량
    ├─(徒)貴州苗疆留人洞三洞主火修羅(X) -화수라
    └─
    九華山金頂歸元寺 구화산 금정 귀원사
    ├─獅子天王龍化 사자천왕-용화
    │ └─(兄)武彛山飛雷洞七手夜叉龍飛 무이산--용비

    └─紫面迦藍雷音
    └─(師叔)盧山白鹿洞八手觀音飛龍師太 팔수관음-비룡사태

    盧山神魔洞白骨神君 노산 -백골신군
    ├─(徒)碧眼神佛羅梟 벽안신불
    └─武彛山飛雷洞七手夜叉龍飛(後投) 무이산비뢰동칠수야차-장비

    (羅浮七仙)陝西太白山積翠崖萬里飛虹冬元奇 만리비홍 -동원기
    └─(徒)黑孩兒尉遲火 흑해아-위지화

    雲南大竹子披髮?猊狄銀兒(X) 운남대죽자산피발산예-적은아
    └─(師兄)火德星君陸大虎 화덕성군-육대호

    鬼母山玄陰洞赤髮洞主 현음동-적발동주
    └─(大弟子)翹翹 -교교

    雲南昆明池開天寺哈哈僧元覺禪師 운남곤명지개천사합합승-원각선사
    └─(徒)鐵沙彌悟修 철사미-오수

    飛天夜叉馬覺 비천야차-장각
    └─(師叔)鐵笛仙李昆吾 척적선-이곤오

    新疆天山牧牛嶺火雲洞赤焰道人(X) 신강목우령화운동-적염도인
    ├─(師弟)金眼沸沸左淸虛 금안비비 좌청허
    ├─(師弟)追魂童子蕭泰 추혼동자 소태

    ───────────────────────────────────────
    齊魯三英神刀李達 제로삼영신도- 이달
    坎離眞人許元通 감리진인-허원통
    鐵掌仙祝鄂 철장선 축악
    江蘇太湖洞庭山霹靂手尉遲元 태호동정산벽력수 울지원
    百花娘蘇蓮 백화랑-소선
    九尾天狐柳燕娘 구미천호-유연랑
    西藏紅敎傳燈大師 서장홍교-전등대사
    峨嵋摩天崖一眞大師 -일진대사
    廣西鉢盂峰報恩寺莽頭陀 광서발우봉보은사-망두타
    苗疆大麻山金光洞黃腫道人 -황종도인
    明珠禪師 - 명주선사
    雲南苦竹峽無髮仙呂元子 무발선 -여원자


    魔敎南派開山祖師百蠻山陰風洞綠袍老祖(X) 백만산음풍동-녹포노조

    巫山神女峰元陰洞陰陽搜司徒雷(X) 음양수-사도뇌
    滄州草上飛林成祖(X) 초상비림-성조
    鐵嗾人(X) -철종도인

    飛天蜈蚣多寶眞人金光鼎(X) 비천오공 다보진인-김광정
    ├─(徒)獨角莽馬雄(X) 독각망-마웅
    ├─(徒)分水犀牛陸虎(X) 분수지우 -육호
    └─(徒)鬧海銀龍白縉(X) 요해은룡-백진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주단학
    작성일
    03.07.08 18:50
    No. 14

    굉장히 복잡한 양을 정리하셨군요.

    위 내용중에 수정사항입니다.

    원원대사

    한자-신니우담의 사저 (사문의 언니지요)
    한글-신님우담의 사조 (스승의 스승이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4 표향선자
    작성일
    03.07.09 06:29
    No. 15

    정말 이렇게 보니까 헐신 알기 쉽네요.
    글만 보면 엄청 헷갈리고 사문과 위계질서가 복잡했는데 윗글 보니까 한눈에 쏘옥 들어오네요.
    감사^^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