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딴지일보에서 퍼옴..우껴요..^^*

작성자
Lv.1 술퍼교교주
작성
02.12.20 11:53
조회
1,138

올 수능 만점자 없고, 0점은 17명

[사회] 2002년 12월 02일 (월) 18:18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지난해에 이어 만점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수능채점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와는 달리 모든 영역에 걸쳐 1명에서 3626명까지 만점자가 나왔으나 전체 영역의 만점자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능이 쉽게 출제됐던 2001학년도 수능에서는 66명이 무더기로 만점을 받았다.

언어영역(120점 만점)에서 지난해에는 만점자가 한 명도 없었으나 올해는 인문계 여학생 1명이 만점을 받았다. 수리영역 만점자는 1704명으로 지난해보다 360명이 늘었다. 사회탐구는 인문계에서 만점자가 67명이 나와 지난해 128명의 절반 수준을 나타냈으며, 자연계도 지난해 450명에서 67명으로 크게 줄어 올 수능 성적의 하락을 주도한 사탐의 난이도가 높았음을 입증했다. 과학탐구는 인문계가 지난해 45명에서 1521명으로, 자연계는 75명에서 1962명으로 크게 늘었고 예체능계는 12명이 만점을 받았다. 매년 만점자가 많은 외국어(영어)는 모두 3626명이 만점을 받아 지난해보다 425명이 늘었다. 또 올해 제2외국어를 제외한 5개 영역 0점자는 17명.

14명은 모두 백지답안지를 제출했고 3명은 답안 표기를 했으나 '신기하게' 모두 오답을골라 0점을 받았다. < 동아일보 >

였다.

뭐, 그냥 흔한 가십거리로 넘겨 버릴 수도 있겠다. 그러나 본지, 늘 그랬듯이, 행간의 깊은 의미를 꿰뚫어 버렸으니...

그렇다.

우리는 진정한 빵점짜리, 그들 3명에 주목한다.

여기서 잠시, 수능 본 지 오래 된 독자넘들을 위해 잠깐 올해 수능의 형태를 알려준다.

올해의 수능시험은 기본적으로 총 220문항(총 배점은 400점)이다. 언어(60문항), 수리(30문항),사회탐구/과학탐구(80문항), 외국어(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선택사항으로 희망자에 한해 제2외국어(30문항, 40점)를 볼 수도 있다(오늘 분석에서 필수사항이 아닌 제2외국어는 제외한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자.

17명의 0점자 중, 3명은 답안 표기를 했으나 '신기하게' 모두 오답을 골라 0점을 받았다고 한다.

여기서 잠깐.

위 기사에선 나름대로 친절하게 작은 따옴표까지 쳐주며 '신기하게'라고 언급했지만, 본 기자는 여기에 심각한 이의를 제기한다. '신기하게'가 틀렸다기 보다는 그 강도에 있어서 매우 약하며, 또한 지나친 단순화라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 좀 더 다른 각도에서 이 문제를 함 디벼보고자 하는 것이고...

먼저 수능에서 0점을 받을 수 있는 산술적 확률을 함 살펴보자.

시험문제라는 것이 사실 확률로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현실성과 엄밀성을 고려하면, 사실 각각 다른 기준의 변수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알기 쉽게 심정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확률적 고찰을 전제로 하겠다.)

왜냐? 산술적으로 5지선다형에서 각 보기는 20%의 확률(5개 중 하나니까)을 갖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그 문제의 정답을 아는 경우에는 20%라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즉, 문제의 정답을 아는 경우에는 산술적 확률의 잣대는 무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0점의 경우에는 조금 다르다(당연, 백지 답안의 경우는 무조건 0점이므로 오늘 분석에서 아예 제외한다). 정답을 아는 경우가 결과적으로 zero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답을 하나도 모른다고 전제하면(왜냐? 결과적으로 0점이었으니까), 각 문항에서 틀릴 확률은 당연 80%(0.8) 되겠다. 그렇다면 이런 식으로 220문제를 모두 틀릴 확률은…?

그렇다.

0.8의 220제곱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계산해보면…

0.8 x 0.8 x ........... x 0.8 (220번째) =

0.000000000000000000004784065..... (소수점 뒤로 0이 21개)

되겠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냐?

산술적으로 보았을 때 100조를 훌쩍 넘어, 100경 명 중에 한 명 나오기도 훨씬 힘든 확률이라는 결론인 것이다.

그렇다면 그 3명은 무엇인가.... 그들은 인간의 경지를 뛰어 넘은 신의 양자쯤 된단 말인가.... (혹시 DJ의 양자였나?)

수능을 약 60만명이 보았다고 했을 때, 그들은 100조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한 인물이 되는 것이다.

(편의상 6문항의 주관식도 객관식과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계산했다. 약간 달라질 수는 있겠으나 이렇게 해도 대세엔 별 지장없는 점은 이해하시라...)

결국, 답을 전혀 몰라서 다 찍었는데 0점이 나올 경우는 산술적으로 거어어어어어의 불가능인 것이다. 즉, 우리가 암 생각없이 넘겨 짚은 식으로 만약 이것이 우연이라면, 단순히 '신기하게' 정도로 말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렇다. 믿기 힘들겠지만, 가장 유력한 가설은,

그들은 답을 알면서 일부러 틀렸다

는 것이다.

생각해보라. 일자무식이라 해도, 1번만 쭈욱 찍으면, 전체 문항의 최소 10%에서 25% 가까이 맞을 수 있다. '답 사이로 막가'서 0점이 나올 확률이 거의 없다는 결론은 앞서 디벼줬고.

못 믿겠다고?

니가 직접 한 번 해봐라. 막 찍어서, 220개 문항을 0점 받는 건 졸라 어려운, 불가능한 일인 것이다.

하지만 역으로 생각해보면, 만약 모든 문제의 정답을 아는 경우엔, 그 사람은 분명 0점도 받을 수 있다. 최대한 많은 정답을 알고 있을수록, 만약 의도한다면 0점을 맞을 확률도 높아지는 것이다.

친절하게 예를 들어주마.

A는 0점 맞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하자.

A가 220문제 정답을 다 안다. 당연 0점 맞을 수 있다. 0점 확률 100%

A가 219문제 정답을 안다. 나머지 하나는 찍어야 한다. 정답을 모르는 한 문제를 찍었을 때, 산술적으로 틀릴 확률은 80%( 5개 중 4개니까). 즉 219문제는 답을 아니까 지가 틀리면 되고, 모르는 문제 하나는 찍는 상황. 따라서 0점 확률 80%.

A가 218문제 정답을 안다. 위와 같은 식으로 0.8 * 0.8 = 0.64 즉, 64%

A가 210문제 정답을 안다. 0.8의 10제곱 = 0.107 즉, 약 10%

A가 200문제 정답을 안다. a 0.8의 20제곱 = 0.01152.... 즉, 약 1%

예를 들어 수능 210개 맞힐 정도의 수험생이 맘 먹고 0점에 도전한다면 그 성공확률은 약 10%정도다. 200개 정도라면, 그 확률은 1%까지 떨어진다.

바꿔말하면, 수능 200개 맞힐 수준의 최상위권 학생 300명이 동시에, '씨바 난 이번에 0점 함 맞아볼래' 맘 먹고, 적어도 자신이 아는 문제는 일부러 다 틀리고, 나머지는 찍은 경우에 산술적으로 그 중 3명 정도의 0점자가 나올 수 있다는 야그 되겠다.

그렇다. 우리는 무심코 '만점자'라 하면 감탄과 찬사를 보내고, 질시와 경외감을 느낀다.

그리고, '빵점짜리'라 하면 암 생각 없이, 지지리도 못난 넘이라는 선입견을 갖는다.

허나,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첫째. 수능에서 빵점짜리가 되기란 하늘의 별을 따서 사단장 하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다. 둘째. 그 어려운 빵점짜리가 되기 가장 쉬운 사람은 바로 '만점자'이다.

즉, 맘 한 번 바꿔먹으면, 고득점일수록 빵점짜리가 될 수 있는 확률이 높은 인물인 것이다.

만점짜리 찾아서 이너뷰 올리려고 혈안인 언론들아. 이젠 좀 발상 전환해서리, 빵점짜리를 찾아 그의 삶과 철학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은 어떠한가.

아마도 그 3명은, 생각하기에 따라 세상은 전혀 다르게 볼 수도 있다는 것을 몸으로 보여주고 싶은 그런 기인일지도 모른다. 아님 박제되어 버린 이 땅의 우등생들을 고고히 비웃고 있는 군계일학일 지도 모르지 않는가.

이상.


Comment ' 11

  • 작성자
    Lv.38 月影(월영)
    작성일
    02.12.20 12:03
    No. 1

    핫...0점이라...

    그게 가능한 사람도 있단말인가...묵념..(_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5 lullullu
    작성일
    02.12.20 12:03
    No. 2

    흐음..언젠가 지나가는 말로 0점을 맞으면 서울대에서 받아준다고 했었던 듯 하군요..-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신독
    작성일
    02.12.20 12:09
    No. 3

    오옷~~~!
    제가 근래 본 풍자 글중 가장 강력한 시.사.풍.자!!

    술퍼맨님~~!
    이런 글 자주 좀 올려줘여어업!

    여우님에게 구타를 당한 후 제정신으로 돌아오신 듯...

    과연 여성의 힘은 진정 위대하도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暗影 ▦
    작성일
    02.12.20 12:27
    No. 4

    찰나지간 주화입마를 벗어난 저 술퍼맨님의 본 모습을 보라!
    매화나무 배경에 벚꽃뿌려지며 빨간 무늬가 있는 하얀 쥘부채를
    손에 쥐고 눈은 상방을 쳐다보며 눈물을 주르르 흘리면서...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빰빠라빰!!!!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무극신마
    작성일
    02.12.20 12:39
    No. 5

    제가 하나의 오류를 지적하고자 합니다.
    답이 아닌 것을 고를 경우에는 정답을 몰라도 고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객관식의 경우 대부분 정답이 아닌 지문은 하나 정도 쉽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주관식에 대하여는 오답을 적을 가능성에 대하여는 말할 필요도 없겠죠.
    그렇다고 0점 받는다는 것이 아주 쉽다는 이야기는 아니고, 어마어마한 확률로 어려운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무극신마
    작성일
    02.12.20 12:49
    No. 6

    참고로 제가 고등학교 학력고사(82년 당시의 이름)를 본 후 친구들과 예상문제집을 가지고 오답적기를 한 적이 있는데 전과목을 한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과목은 0점 처리가 되는데 오히려 수학이 조금씩 맞더군요.

    어쨌던 0점에 도전하려면 상당한 실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고, 상당한 실력을 갖춘 사람이 무엇때문에 0점에 도전한 것인지 또 그러한 사람이 많지 않을텐데 그중에서 0점이 3명이나 나왔다는 것은 신기한 일이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아자자
    작성일
    02.12.20 13:21
    No. 7

    어제 술 안먹네벼....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술퍼교교주
    작성일
    02.12.20 13:31
    No. 8

    제 글 안봐서요?
    이글 술김에 올린글이에여..흐흐흐흐흐흐흐흐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暗影 ▦
    작성일
    02.12.20 14:45
    No. 9

    어쨋든 얼마정도의 답을 아는 사람인 경우 오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딴지일보의 기사에 백퍼센트 동의하지는 않더라도 빵점을 맞을 정도로 뭔가를 모르는 사람이 두개중에 한개가 헷갈렸을 수 있을지요?
    암튼 여전히 빵점...것도 여러 영역에서...
    한 개의 아는 문제도 없이 전부 틀리기란 정말 힘든거죠...
    물론 충분히 일어날 수는 있는 일이지요... 매주 복권당첨자가
    생기듯이 말이지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내천소
    작성일
    06.05.02 09:42
    No. 10
  • 작성자
    冥王
    작성일
    06.08.12 14:22
    No. 11

    聖地巡例 中

    찬성: 0 | 반대: 0 삭제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73 대풍운연의 9권에서... +2 Lv.1 Heaven 02.11.27 523
1872 드...드디어 아이콘이~!!!! +11 Lv.1 [탈퇴계정] 02.11.27 412
1871 이제 더 이상 못 기달려... +6 악마+악질+악종 02.11.27 693
1870 술퍼맨님 봐주세요! (너구리의 어설픈 변명) +5 Lv.1 너굴 02.11.27 504
1869 어제 겪은 나름데로 황당한 이야기... +8 Lv.30 남채화 02.11.27 513
1868 [신간정보]이재일님의 쟁선계가 오늘자로 나왔습니다.. +15 Lv.1 색중협 02.11.27 823
1867 산타가 존재하려면... +8 Lv.30 남채화 02.11.27 580
1866 리본 달기. +16 Lv.1 외솔 02.11.27 596
1865 [선전.광고2] 밤사남 발기 추진회의장 +33 Lv.16 아자자 02.11.27 704
1864 촉산전을 보고~ +13 Lv.1 푸른이삭2 02.11.27 1,285
1863 너무 심한 도배는 삼가해주시기 바랍니다. +15 Personacon 금강 02.11.27 742
1862 채팅에서결혼까지13 +17 Lv.1 술퍼교교주 02.11.27 750
1861 채팅에서결혼까지12 +7 Lv.1 술퍼교교주 02.11.27 530
1860 딘따 채팅에서결혼까지11 +4 Lv.1 술퍼교교주 02.11.27 503
1859 채팅에서결혼까지 11 +4 Lv.99 운동좀하자 02.11.27 441
1858 쟁선계를.... +6 둔저 02.11.27 608
1857 채팅에서결혼까지10 +7 Lv.1 술퍼교교주 02.11.27 517
1856 채팅에서결혼까지9 +3 Lv.1 술퍼교교주 02.11.27 461
1855 채팅에서결혼까지8 +4 Lv.1 술퍼교교주 02.11.27 636
1854 채팅에서결혼까지7 +11 Lv.1 술퍼교교주 02.11.27 608
1853 열화와같은성원으로..ㅡ,.ㅡ^6편 +6 Lv.1 술퍼교교주 02.11.27 466
1852 아까 여덞시 반쯤에 +7 Lv.30 남채화 02.11.27 498
1851 채팅에서결혼까지5 +8 Lv.1 술퍼교교주 02.11.27 519
1850 채팅에서결혼까지4 +3 Lv.1 술퍼교교주 02.11.27 522
1849 채팅에서결혼하기3 +4 Lv.1 술퍼교교주 02.11.27 540
1848 [만화] 멜랑꼴리-복수 / 그들도 영화처럼 / 시민쾌걸-희... +7 Lv.1 푸른이삭2 02.11.27 657
1847 채팅에서결혼까지2 +7 Lv.1 술퍼교교주 02.11.27 551
1846 채팅에서결혼까지1[옛날껀데.하도젬나게봐서 퍼옴] +3 Lv.1 술퍼교교주 02.11.27 620
1845 [선전,광고] 밤사남 +23 Lv.99 운동좀하자 02.11.27 794
1844 해외스포츠전문 프로그램. +3 Lv.1 제갈중달 02.11.27 637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