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AMD VS NVIDIA

작성자
Lv.60 카힌
작성
16.06.30 23:53
조회
2,085

어디까지나 추측입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삼성은 같은 공정으로 파운드리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14나노 핀펫공정이죠.

AMD가 글로버파운드리에서 그래픽카드를 뽑고 있습니다.


RX480의 특징은

- GTX970과 GTX980 사이

- 전력소모가 기대보다 많다.

- 공격적인 가격정책


GTX1060의 특징

- 위480과 비슷하거나 살짝 못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전에는 차이가 좀 있을 것이라는게 중론이었으나 현재는사실상의 동급 성능이 아닐까 하는데 무게가 가고 있다.

- 48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다.

- 발열 및 전력소모가 480에 비해 훨씬 낮다(1070 보다도 낮을 것이니 대략 예상가능)



여기서부터 추측입니다.


AMD의 GCN 아키텍쳐는 여전히 엔비디아 파스칼을 넘어서지 못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대신 삼성의 파운드리 공정 기술 덕에 경쟁사에 비해 수율이 높아서 공격적인 가격정책을 펼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입니다.


RX480의 공정이 경장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어서 가격경쟁력을 갖을 수 있었으나 아키텍쳐에 있어서 엔비디아에 못미치므로 성능향상을 위해 기본 클럭 자체를 높게 해서 나온 것 아니냐는 생각입니다. 그러니 맞상대할 1060에 비해 성능이 조금 앞서지만 그 성능을 최대한 끌어 내기 위해 전력소모가 많은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반면 1060은 전성비는 조금 더 좋지만 성능은 비슷하거나 조금 낮고 그러면서 가겨은 더 비싼 제품이 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그럼 결론은?

1070이 다시 한번 재조명 받아야 할것 같습니다. 480에 비슷한 전기를 먹고 심지어 조금은 더 낮기까지 하니...


그런데 생각보다 전성비를 크게 따지지 않는 분들이 많습니다. 당장 구입할 현금이 보다 중요하게 와닿는 것이죠. 따라서 480과 1060은 시장을 양분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480의 압승을 말하지 않는 이유는 엔비디아가 수년간 앞서 있으면서 획득한 신뢰가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TSMC 공정도 안정화로 가는 중이니, 머지 않아 1060을 보다 더 공격적인 가격으로 낮춰 내놓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또한 만일이지만 1060을 480과 같은 가격으로 내놓기만 해도 엔비디아에 유리하게 돌아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저런 논란이 필요 없이 최근 60장에 맞춰진 1070이 속속 등장하고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을 보면 1070이 가장 나은 선택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저라면 1060이 7월7일부터 엠바고가 풀리니 그것까지 보고 난후 결정하기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소문에는 확실히 480에 비해 몇만원은 더 비쌀 것이라 하지만 480에 자극받은 엔비디아가 동급 가격으로 내놓을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Comment ' 4

  • 작성자
    Personacon 묘엽
    작성일
    16.07.01 00:36
    No. 1

    근데 과거 60시리즈와 70시리즈 성능차를 고려하면 터무니없이 후진 성능이 나올 확률도 상당한지라.....
    대대로 960이 770보다 못했던걸 고려하면 1060이 870 보다 못할것같단 말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패스트
    작성일
    16.07.01 07:20
    No. 2

    가격이나 뭐 그런 것들은 차치하고서라도 드라이버가 제일 문젭니다. AMD 드라이버는 예전부터 말이 많았고 아직도 말이 많거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고월조천하
    작성일
    16.07.01 10:43
    No. 3

    예전에 어떤 사이트에서 cpu와 vga 전성비가 실제로 전기요금에 미치는 가격차이 산출해 놓은것 본 기억이 있는데 실제 전기요금에 미치는 영향은 굉장히 미미 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acser
    작성일
    16.07.01 12:34
    No. 4

    게임같은 풀로드 상태를 유지하는 상황이 늘상 있는 것은 아니니 2~300W로 표기 되있어도 항상 이수준으로 전력 소모하는것은 아니니까요.
    전성비를 따지는것은 나쁠수록 온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고사양 그래픽카드일수록 온도 증가폭이 커질수 있고 그 온도를 잡기 위한 쿨러역시 중요해집니다. 통상 공랭방식으론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온도때문에 클럭도 조정되서 나오죠.
    780이 250W인데 980이 170W로 전력을 소비합니다. 둘다 온도는 고만고만하지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1132 건담 오리진 +2 Lv.60 카힌 16.07.01 1,701
231131 이 동네 얘기는 아니지만. +13 Personacon 르웨느 16.07.01 2,176
231130 노블 가격 인상됐네요 +6 Personacon 플라워 16.07.01 1,862
231129 문득 생각이 나서 세어봤는데. +11 Personacon 르웨느 16.07.01 1,559
231128 rx480이 미쳐 날뛰고 있네요. +14 Lv.1 [탈퇴계정] 16.07.01 2,228
231127 환생군주 작가님은 머하고 계실라나요 +2 Lv.56 wasd 16.07.01 2,089
231126 멋들어진 단어 하나만 질문입니다 .'기를 모으다' +19 Personacon 유주 16.07.01 2,003
231125 무협마니아의 단골코스 신조협려 드라마판 +5 Lv.60 카힌 16.07.01 2,019
231124 영화 명장 느낌의 소설 없을가요? 장르 아니더라도.. +6 Lv.1 [탈퇴계정] 16.07.01 1,874
231123 이용자 제재 내역입니다(2016.07.01) Personacon 정담지기 16.07.01 2,269
231122 현실 속 장르소설 주인공. +19 Lv.1 [탈퇴계정] 16.07.01 2,159
231121 이 소설 제목을 알수 있을까요? 찾고 싶어요 +3 Lv.43 슈크림빵이 16.07.01 1,756
231120 커쇼가 15일 DL이네요 이런....... +3 Personacon 묘엽 16.07.01 1,377
231119 한국 소설시장이 작다는 현실이 너무나 안타까운 경우가 ... +11 Lv.58 Surly 16.07.01 2,049
231118 일본의 한 소설 공모전이 소소하게 화제 +11 Lv.29 스톤부르크 16.07.01 2,023
231117 작가한분에 대해서 질문좀 드려용.. +10 Lv.45 수서지 16.07.01 2,085
231116 회귀물이 싫다면, +7 Lv.69 고지라가 16.07.01 1,762
231115 작품 선호도 조사 +9 Lv.4 루데이트 16.07.01 1,743
231114 문피아 유료 넘비싸요 +13 Lv.31 듀레안 16.07.01 1,941
231113 웹툰과 웹소설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듣고 싶습니다. +11 Lv.4 루데이트 16.07.01 1,750
» AMD VS NVIDIA +4 Lv.60 카힌 16.06.30 2,086
231111 너도 나도 회귀! +18 Personacon 르웨느 16.06.30 2,022
231110 빨래하기가 너무 귀찮아요. +13 Lv.99 마음속소원 16.06.30 1,538
231109 강호정담에서 올바른 어그로꾼 대처방법. +13 Lv.25 마브로스 16.06.30 1,776
231108 기상청하니 궁금해지네요. +6 Personacon 적안왕 16.06.30 1,584
231107 염왕님께서 드디어 +5 Lv.99 이통천 16.06.30 1,722
231106 골든 블랙홀 완결났습니다. +3 Personacon 적안왕 16.06.30 2,371
231105 비공개 녹취록 튀어 나오는 것 보면 확실히 레임덕이 오... +6 Lv.24 약관준수 16.06.30 1,970
231104 어느 연구소의 종말 +4 Lv.49 무한반사 16.06.30 1,746
231103 무협이란 무엇일까? +8 Lv.18 글도둑 16.06.30 1,80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