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3 고요한벗
작성
17.12.20 16:15
조회
503


사실 저 분류 자체가 그렇게 딱 들어맞는 분류는 아닙니다.

라이트노벨은 장르라기보다는 일종의 대분류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판타지로 예를 들면 반지의 제왕 같은 하이판타지(진짜 판타지 세계의 신화적인 이야기를 다룬 소재. 국내 작품으로는 눈마새 같은 이영도 작가의 작품군이 그리 분류 가능)가 있는가 하면 

해리포터 같은 어반판타지류의 작품(넓게 보면 홍정훈 작가가 이에 해당하지만 해리포터는 동화의 은유가 섞여 좀 더 아이들 친화적)도 있지만.


문피아나 카카오페이지에서 요즘 연재되는 판타지 웹소설이 반지의 제왕과 같은 판타지라고 뭉뚱그려 분류해버리면 의아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처럼.

같은 장르 내에서도 분류가 나뉘기 마련입니다.


라이트노벨도 마찬가지입니다.

라이트노벨은 판타지와 대비되는 또 다른 장르가 아닙니다.


라이트노벨 내에는 월야환담 같은 어반 판타지류의 작품이 있고 (나리타 료우고의 듀라라라!) 반지의 제왕 같은 신화적인 내용을 다룬 작품도 있습니다. (변방의 팔라딘)

흔히 러브코미디라고 부르는 하렘 소설도 물론 라이트노벨에 들어가 있지요.


보통 라이트노벨하면 여자캐릭터가 나와서 남자한테 앵기고 매달리는 내용이 전부가 아니느냐. 하는 편견은 대부분 그런 류의 장르가 일본의 오타쿠적 특성과 맞물려 히트하며 수많은 라이트노벨이 쏟아져 나왔기 때문입니다.


즉 라이트노벨만 보고 그냥 하렘뽕빨럽코가 전부 아니냐는 소리는 최근 한국 판타지 소설 시장을 보고 어차피 한국 판소는 전부 스텟창 보고 레벨업만 해대는 갑질 소설 아니냐고 편견을 가지고 바라보는 것과 같죠.


라이트노벨의 시작은 분명 일본에서 출퇴근시간 지하철에서 읽기 편하게 가벼운 소설을 써보자 하는 기획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놀랍게도 요즘 흥하고 있는 웹소설과 기원이 비슷합니다.)


그래서 라이트노벨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온 거지, 내용이 가벼워서 라이트노벨로 분류되는 건 아닙니다. 물론 웹소설들처럼 가벼운 내용일수록 빠르게 읽고 소비할 수 있기 때문에 가벼운 내용이 많은 사실입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메세지나 내용을 생각할 필요도 없이 전부 가볍게 써냈기에 라이트노벨이라는 말은 어폐가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리야의 하늘, UFO의 여름이라는 한때 히트쳤던 라이트노벨은 소년소녀의 성장을 엮어낸 문학적인 메세지를 다루고 있으며, 실제로 그 작가는 추후 일본 문학 작가로 데뷔하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라이트노벨만의 특징이 없느냐, 하면 그건 아닙니다.

어렴풋이 다른 분들도 느끼다시피 라이트노벨은 서사보다 캐릭터에 중심을 두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실 서사학에서도 말하길 서사에서 가장 중요한 건 서사냐, 캐릭터냐 의견이 분분한 건 사실이지만.

예의 일본의 오타쿠적 특성과 맞물려 캐릭터를 좀 더 귀엽게(카와이), 매력적으로 그려내며 여러 속성을 부여하고 (츤데레) 주인공과 엮이게 만드는 인물들이 라이트노벨에 자주 등장하는 이유가 그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라이트노벨로 나왔음에도 이야기에 중점을 두는 소설을 보면 “라이트노벨 같지 않다.” 혹은 문피아에서 판타지로 연재되고 있음에도 캐릭터에 조금 분량을 투자하면(취룡 작가님의 발할라 사가처럼. 발키리들이 귀엽습니다) “왠지 라이트노벨스럽다.”는 감상들이 나오는 것입니다.


문피아에서 라이트노벨 같다. 는 말은 일종의 멸칭으로 쓰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문피아의 5500자라는 한정된 지면의 특성상, 캐릭터 묘사나 서술에 분량을 할애할 수밖에 없는 라이트노벨적인 면모가 ‘죄악’으로 인식 되기 때문입니다.

히로인이나 캐릭터를 묘사하기보다, 주인공의 뛰어난 활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문피아 소설에서 제일 바람직한 형태이기 때문이죠.


대충 이렇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바로 아래에도 있지만, 문피아에서 소설을 보며 라이트노벨 같다. 아니다. 같은 식으로 편견을 가지고 결론 짓는 걸 보며 개인적으로 생각하던 글을 장문으로 남겨보았습니다.


물론 이 전부는 보편적인 이야기고 딱히 학문적인 근거가 있거나 한 이야기는 아니니, 가볍게 읽고 보아 넘겨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만. 총총.



Comment ' 5

  • 작성자
    Lv.16 워터디
    작성일
    17.12.20 16:34
    No. 1

    좋은 글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은둔충동
    작성일
    17.12.20 17:10
    No. 2

    전반적인 내용에 공감합니다.
    다만 라노벨이나 판소에 대한 외부의 시각을 무조건 편견으로 치부해버리기 어려운 게, 워낙에 그런 류가 대세를 이루고 있어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9 스톤부르크
    작성일
    17.12.20 17:21
    No. 3

    대체적으로 본문의 이야기에 동감합니다.

    찬성: 0 | 반대: 2

  •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7.12.20 17:36
    No. 4

    문피아의 5500자라는 한정된 지면의 특성상, 캐릭터 묘사나 서술에 분량을 할애할 수밖에 없는 라이트노벨적인 면모가 ‘죄악’으로 인식 되기 때문입니다.
    라는 말에 동의하지는 못하겠네요.
    캐릭터의 서술에 몇페이지를 투자한들, 몇편을 투자한들 그 분량을 기준으로 판타지와 라노벨을 가르지 않습니다. 서술방식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죠.

    캐릭터를 좀 더 귀엽게, 매력적으로, 여러 속성을 부여한다는 말에도 동의하지 못하겠네요.
    캐릭터를 귀엽게, 더 귀엽게, 귀엽기만 하게 만들고 삽화까지 삽입해 그 이미지를 고정하는것을 매력적으로 느끼느냐, 아니냐의 차이가 있겠죠.
    역시 마찬가지로 캐릭터를 '츤데레'스럽게, 더욱 더 그러하게, 그러하기만 하게 만들어 이미지를 고정시킬 뿐이구요.
    이것을 단순히 단편적인 캐릭터에 그칠 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매우 많죠.


    라노벨은 역할이 뚜렷합니다. 주인공, 옆에 귀여운 동료A, 말 많은 동료B, 틱틱대는 동료C, 헌신하는 동료D 등으로 구성된 파티가 으쌰으쌰합니다. 귀여웠다가 잔혹해졌다가 하는 변화가 에피소드를 관통하는 단 하나의 캐릭터로 구성된 요소가 아니라면 볼 수 없죠.

    판타지는 역할이 저렇게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차라리 작가가 각자의 캐릭터를 저렇게 구성할 바에야 하지 않겠다를 선언한 것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요.
    단편적인 캐릭터는 늘 식상하다고 지적받고, 외면받기 때문에 그 에너지 소모를 점차 줄이게 된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차피 메인이 아닌 서브요리일 뿐이고, 서사의 진행에 방해되지 않으면 그것으로 충분하니까요.
    물론, 글을 좀 더 잘쓰는 사람의 경우 캐릭터를 확고히 잡고 이를 표현함으로써 더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에 성공하기 때문에 필력을 인정받고 인기를 끌게 되죠.

    탑매니저가 그렇게 많은 애증의 대상이 된 이유는 캐릭터에서 나왔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환생좌로 시작한 '탑'류에서 오로지 주인공의 성장과 진행에 집중한 이유는 그게 서술하기 편하기 때문일 겁니다. 조연을 함께 매력적으로 등장시키고 같이 이끌어나갈 재주가 있는 작가는 거의 없습니다.

    그렇기에, 어차피 잘 하지 못하는 캐릭터구성에 집착하지 않는 것을 선택한 사람과, 캐릭터 구성에 집착한 사람으로 나누는 것도 적합하다고 보여지는군요.

    찬성: 1 | 반대: 3

  •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7.12.20 17:39
    No. 5

    이를 극단적으로 말하면, 라노벨은 인간에 대한 고찰이 전혀 없고, 그래서 그 극단적인 캐릭터들은 매력없이 오글거리기만 한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분류 '판타지'라면 사람냄새가 나지 않는 소설을 '못썼다'라고 혹평하지만, 라이트노벨을 보고는 그냥 '라이트노벨스럽다' 라고 하는 것이겠죠.


    본문에 나와있다시피 '하렘뽕빨럽코'가 시장의 대부분을 잠식했기 때문에, 그 장르를 그렇게 바라봄에 큰 문제가 있어 보이지도 않습니다.

    물론, 그와 같은 시선에서 장르소설을 '킬링타임용 스낵컬처'로 바라보는 것 또한 틀렸다고 말할 수 없죠.

    찬성: 1 | 반대: 5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7245 내 컴퓨터야 정신차려 ;ㅂ; 엉엉 +9 Lv.69 고지라가 17.12.22 526
237244 이영도 신작이 나온답니다. +6 Lv.29 스톤부르크 17.12.21 788
237243 인기급상승의 기준이 뭐죠? +8 Lv.38 황강철 17.12.21 665
237242 세상에 이런 일도 있네요. 지도주작이라니ㅋㅋ Lv.41 잎새사이 17.12.21 657
237241 덕분에 알게된 오백년박스... 이거 재밌네요. +2 Lv.81 암혼 17.12.21 767
237240 아끼던 작품들이 완결되니 섭섭해요. +4 Lv.74 타임타임 17.12.21 593
237239 판타지와 라이트노벨의 차이라기보다는 +1 Lv.57 어푸 17.12.21 527
237238 이해란 수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22 Lv.67 bujoker 17.12.21 854
237237 판타지같은 현실이 일어나는 상황을 대비해서 절대필독하... +5 Lv.92 영생부유령 17.12.21 732
237236 베스트보다 강호정담이 더 재미 있네요. +9 Lv.70 패왕무적 17.12.20 694
237235 소설 추천해주세요. +5 Lv.88 Finger8 17.12.20 453
237234 크리스마스엔 굴과 김치등뼈전골을... +4 Lv.24 약관준수 17.12.20 470
237233 시대의 아이러니. 빨갱이 책이 공무원 수험서 제일 첨에 ... +10 Lv.24 약관준수 17.12.20 720
237232 기연에 대한 생각입니다. +5 Lv.52 라토르 17.12.20 462
237231 문피아 최고의 미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2 Lv.52 사마택 17.12.20 1,009
237230 읽어주기 치울수있었으면 하네요. +1 Lv.80 미제너 17.12.20 516
» 판타지와 라이트노벨의 차이에 대해서. +5 Lv.3 고요한벗 17.12.20 504
237228 환생물 볼때마다 드는생각 +10 Lv.62 aamon 17.12.20 660
237227 판소와 라노벨의 차이가 뭔가요? +26 Personacon 소설씁시다 17.12.20 703
237226 좋은 아침입니다. +10 Lv.52 사마택 17.12.20 451
237225 카드사들 너무 악랄한 인간들이네요.ㅂㄷㅂㄷ +12 Lv.25 시우(始友) 17.12.20 796
237224 판타지 세계의 성에 대해서. +11 Lv.29 스톤부르크 17.12.20 694
237223 초보 작가의 하루 +27 Lv.41 장현우 17.12.19 812
237222 비트코인은 화페가 아닌 상품 +9 Lv.60 카힌 17.12.19 688
237221 표절은 자주 올라오는 글이라 보기 지겹네요. +2 Lv.22 pascal 17.12.19 585
237220 ㅋ표절의 기준은 독자입니다. +4 Lv.22 pascal 17.12.19 575
237219 로코물인데요. +12 Lv.52 사마택 17.12.19 499
237218 이번 사태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 Lv.96 강림주의 17.12.19 466
237217 가끔 이런 사람이 있어요 +8 Lv.96 강림주의 17.12.19 567
237216 정담에 꿀잼소설 하나 추천해 볼게요 [멋진신세계] +5 Lv.46 겨울꽃잎 17.12.19 57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