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6

  • 작성자
    Personacon 김정안
    작성일
    15.02.28 02:35
    No. 1
    비밀댓글

    비밀 댓글입니다.

  • 작성자
    Lv.70 테사
    작성일
    15.02.28 02:48
    No. 2

    현재를 사는 우리는 더욱 자원을 아끼고, 과식하지 말고, 쓰레기를 적게 만들고, 물건을 아끼는 거부터 하면 됩니다. 인간 사이의 전쟁은 가급적 피하도록 노력하구요. 멸망이나 멸종에 대한 체념하거나 그건 미래 세대의 일이라고 치부하는 건 무책임하죠. 가급적 할수 있는 한 노력은 해야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6 아칵
    작성일
    15.02.28 02:52
    No. 3

    진짜로 인간이 멸망할지 안할지는 그 때 가봐야 알게 되겠죠. 계속 기술과 지식은 확장되고 있으니깐요.

    안다는 것과 실천한다는건 별개의 문제죠.

    사람은 욕망덩어리니깐요. 물론 먼 미래에는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겠네요.

    새벽감수성이 풍부해질 시간에 휘갈긴 글이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7 민가닌
    작성일
    15.02.28 03:23
    No. 4

    아바타...ㅎㅎ 최소한 전 누리다(?)죽겠지요...
    사회시스템이 공정해져야할텐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이통천
    작성일
    15.02.28 07:47
    No. 5

    같은 문제의 다른관점. 일본 어느만화의 마지막 문장. 지구가 인가에게 더소모하고발전하여 고치의나비처럼 떠나가라고. 인상깊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管産
    작성일
    15.02.28 08:25
    No. 6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자원의 소모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긴 하겠죠.
    근데 아주 심한 정도가 아니라면 어느정도는 기술의 발전이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에너지원이 나무->석탄->석유->우라늄으로 바뀐 것은 단위당 발생에너지가 큰 방향으로 바뀐 것이고, 과거에 비해 절대적 에너지 소비량은 증가하였지만 기술발전으로 같은 일을 하기 위해 소비하는 에너지량은 오히려 감소했으니까요.
    점차 사회경쟁이 심해지면 한국처럼 다른 나라도 인구증가율이 둔화되겠고, 그러면 자원을 이용하는 인구가 일정수준 이상 증가하지 않아서 자원의 소비량 역시 일정 수준에서 머무르지 않을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영점일
    작성일
    15.02.28 08:48
    No. 7

    우주개발하면 괜찮을지 모르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워프라도 만들지 않는한 힘들것같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5.02.28 09:17
    No. 8

    위에분도 언급하셨지만 엔트로피, 즉 무질서도는 감소가 안되죠. 결국 오염을 막을 수 없다는건 오래전에 증명되었죠. 인류가 멸망하는건 당연하죠. 하!지!만! 언제인지 알 수 없다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즉 우리가 잘 대처하면 얼마든지 늦출수있지 않을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고월조천하
    작성일
    15.02.28 09:27
    No. 9

    그렇게 멀지 않은 것 같읍니다. 저희 아이가 작년에 들었던 수업돟해 들은 얘기 인데 세계의 밀림의 97% 가 이미 사라졌거나 개발중 이 랍니다. 또한 지난 20년 인가 30년 인가의 온도 상승 추세 대로라면 2030 쯤 인가에는 15F 정도 평균 기온 상승이 예견 된다고 하네요.
    우리는 불편한 진실들은 외면하고 있는 사회에서 살고 있는것 같읍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통통배함장
    작성일
    15.02.28 11:04
    No. 10

    스티븐 호킹과 미치오 카쿠는 인간이 1단계 문명(행성 문명)이 되면 거의 멸망하지 않을 거라고 하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ANU
    작성일
    15.02.28 13:22
    No. 11

    요 몇년 사이 거대 자본을 가진 기업들이 우주로 뻗어 나가는 이유중 한가지겠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ANU
    작성일
    15.02.28 13:40
    No. 12

    아참.. 제가 트뤠키는 아니지만,
    Mr. Spock (Leonard Nimoy) 아저씨가 먼 곳으로 여행을 떠나셨답니다.
    특이한 외모와 분장덕에 스타트렉 시리즈중 제 머리속에 남아있는건
    우주선이랑 Mr. Spock 아저씨 밖인데 말이지요..
    ㅠ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통통배함장
    작성일
    15.02.28 18:05
    No. 13

    헉..... 그날이 언제 오나 했는데... 어제 가셨군요... ㅜㅜ 윌리엄 샤트너 아저씨는 더 오래사시길 바라는 수밖에 ㅜ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0 8walker
    작성일
    15.02.28 14:02
    No. 14

    싸움과 경쟁은 다른 것입니다. 아직도 지구에 한편에서는 전쟁을 하고 있긴 하지만 사람들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것은 대부분 경쟁이지요.

    그리고 물을 계속 끓이면 증기가 되어 날라가는 것은 맞지만 인간은 증기를 다시 물로 만드는 방법도, 하늘로 올라간 증기를 다시 비로 만들어 내리는 방법도 찾아 냈지요. 전반적으로 환경이 악화되고는 있지만 한편에서는 다시 숲을 만들고 사막을 녹지로 만들어내는 사업들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21세기 들어서 과학계에서는 대체에너지 및 환경과학에 열중인것도 사실입니다. 과학이 발전할수록 점점 오염 물질의 배출은 적어지고 있지요. 물론 기술의 적용과 이익 관계, 개발도상국과 선진국간의 환경규제 및 기술이전문제 등 여러가지 문제들이 많지만 죽기 싫으면 결국은 뭐...

    적정 순간에는 인간은 나빠지는 자연 환경을 과학으로 뛰어넘거나 아니라면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낼겁니다. 똑똑한 인간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경계하는 건 좋지만 비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Qwerty12..
    작성일
    15.02.28 14:25
    No. 15

    인간은 자원을 아낄 수 없습니다. 인간은 반드시 지구를 버리고 다른 행성으로 이주하면서 종족을 이어나갈 것입니다. 인간은 쉽게 멸망할 수 있는 만큼 자기 살 길을 어떻게든 찾아내려고 노력하는 우주 생명체들 중 하나이니까요. 어떻게든 살아남을겁니다. 갑작스러운 운석충돌이 있어서 한꺼번에 대멸종을 하지 않는 이상 말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1 가글님
    작성일
    15.02.28 14:45
    No. 16

    지구의 자원을 다 소모하면 우주로 진출해서 다른 행성을 개발하겠죠. 다만 아직 그 비용이 워낙에 많이 들어서 안하는것 뿐입니다. 이미 50년전에 달에 사람이 진출했습니다.
    달이나 화성에 진출안하는건 아직 효용성이 너무 딸리기 때문이죠
    지구의 70%가 바다입니다. 하지만 그바다중에 불과 5%정도만 개발되었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