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25 시우(始友)
작성
14.11.20 08:16
조회
2,074

기사를 보니 아동용 패딩이 백만원대인데 다 팔렸다는군요.ㄷㄷ

근데 진짜 웃긴게 월급 적어서 못살겠다고 하는데

어떻게 이런 고가의 브랜드 제품은 불티나게 팔리고

너도나도 해외여행은 당연시 가는게 어찌 가능한건 가요?

먹고 살기 힘들지만 남들 시선 때문에 옷도 간지나게 브랜드로

입어야 되고 그래서 생활고에 더 찌들리는거 아닌지...

사실 울나라 사람들이 먹고 살기 힘들다라는거에 동의 못하겠습니다.

월급이 적으면 적은대로 검소하게 저축하며 살아야지

자기의 수입에 도를 넘어서는 지출을 하면서까지

돈이 없다고 징징 될수밖에....



Comment ' 27

  • 작성자
    Lv.18 나카브
    작성일
    14.11.20 08:21
    No. 1

    부익부 빈익빈이 점점 심해지는 듯 합니다. 으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백수77
    작성일
    14.11.20 08:31
    No. 2

    동감합니다. 저도 어릴때 부모님들 보면 돈에 맞춰살면서 조금벌어도 돈을 모으면서 집안을 키우셨는데, 지금은 인간답게 살아야 한다며 누릴건 다 누리면서 힘들다고... 솔직히 마인드가 서로 다른 것 같아요.
    저 어릴때만 해도 저희집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단칸방에서 침대따위 없이, 필요하면 사과박스 깔고 자면서 생활했죠. 그렇게 생활하면서 돈모아서 집사고 가계차리고 했는데 말이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2 괴인h
    작성일
    14.11.20 17:26
    No. 3

    시대가 바뀐 거죠. 저 역시 그 시대를 살은 사람입니다만 그게 원래 당연한 거란 의견은 동의 못하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황신
    작성일
    14.11.20 08:51
    No. 4

    개인적으로 컴퓨터 가지고 있는 집들이 못 살겠다고 하는건 크게 와닿지가 않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1 바람의별
    작성일
    14.11.20 08:57
    No. 5

    일반적이지 않은 예시네요. 저런거 사는 사람이 얼마나 된다고.....그리고 컴퓨터 인터넷만 되는거 구하면 10만원도 안들죠. 컴퓨터 가졌다고 못살겠다고 못할건 없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7 바람의공간
    작성일
    14.11.20 09:09
    No. 6

    님 주변에서 그 패딩 입은 사람 있나요?
    님 주변에 해외여행 뻔질나게 나가는 사람 있나요?

    언론의 공정과 진실은 없어지고 가진자,기업의 나팔수로 훈계질,세뇌질로 바뀐지 오랩니다

    언론의 훈계질에 맘쓰지 마시고 넓게 보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Mokus
    작성일
    14.11.20 09:09
    No. 7

    더 웃긴건 유명한 고가의 외국 브랜드 캐나다구스를 포함한 다수의 제품들이 비싼 거위가 아닌 오리털을 사용 한다는 점이죠. 사간분들도 결국 호갱...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페르딕스
    작성일
    14.11.20 09:57
    No. 8

    이런 글 올라올때 마다 바라는 점이 있습니다.
    은거무인님이 제발 대저택에 사시고, 회사하나 정도 취미삼아 경영하시면서, 많은 건물이나 땅을 소유하신 분이기를 바라게 되죠.
    저와 애초에 다른 세상에서 지내시는 분이니 저와 생각과 감성이 다른게 당연하겠지하고 이해할수 있게요.
    저와 비슷하게 월급모아 미래를 준비하고, 노후를 대비해야 하는 절박함이 있는 비슷한 분이 이런 글을 올리신다면... 미래에도, 절대 이런 현실이 바뀌지 않을테니...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5 시우(始友)
    작성일
    14.11.20 10:08
    No. 9

    아뇨 제가 이글을 적은 이유는 월급은 적은데 소비하는 지출이 훨씬 많은 사람들한테 적은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11.20 12:18
    No. 10

    리플은 글을 잘읽고..다시는게..어려운글도아닌데..어떻게..내용에 없는 반응이 나오는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11.20 10:13
    No. 11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일지라도 국민들은 주 100시간 이상 근무에 쥐꼬리만한 월급을 받으며 단칸방에서 추위에 떨며 살아야 정상인 겁니다. 풀벌레는 풀이나 먹어야죠. 명품 브랜드에 접근할 수 있는 건 사람이어야만 합니다. 별다른 품질 차이가 없는데도 명품이 왜 비싸겠습니까? 인간과 벌레를 구분하기 위해 비싼 것입니다. 쟝 보드리야르는 이런 걸 차이표시기호라고 하죠.

    자본주의를 이끄는 건 욕망이고 이를 위해선 국민들 간의 차이는 필수적인 것입니다. 괜히 미국 CEO들이 위대해서 수억달러의 연봉을 받아가겠습니까? 감히 발칙한 벌레 따위가 사람 흉내를 내려고 하니 나라 경제가 제대로 돌아갈 리가 있나요? 게으르고 나태하고 노력도 안 하며 바라는 것만 많은 국민들 의식 수준만이 정말로 유일한 문제입니다!
    그러니까 기업 하기 너무 힘들어요. 규제도 좀 완화해주시고 또 노동조합이 설쳐대네요. 수천억 손해배상 다 인정해서 모조리 찢어버리면 조금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국가가 될 수 있겠죠? 게다가 노동시장이 너무 비탄력적이예요. 중소기업은 인재가 절실한데 게으르고 나태한 젊은이들이 일을 하려 하질 않아요! 모조리 아오지 탄광으로 보내버립시다.

    물론 이 땅에 사는 사람 99.9%는 위에서 말한 사람이 아닐 겁니다 아마 당신도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5 독불이한중
    작성일
    14.11.20 10:34
    No. 12

    반어법 쩌신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5 시우(始友)
    작성일
    14.11.20 12:09
    No. 13

    우리나라랑 미국이랑 경제규모가 틀린데 비교하면 안되죠.
    우린 솔직히 대기업, 공무원 빼면 중소기업이나 비정규직이 대다수인데 그런 사람들이 적게 받는 월급으로 저축할 생각은 안하고 남들 연예인들이 입고 나오는 브랜드 명품 옷들을 따라 입는게 문제인다 이겁니다. 그러면서 자기 월급 적다고 나라탓하고 그러다보면 또 신세 한탄으로 술마시고 유흥하고, 그렇게 매일 소비하는데 돈은 언제 모읍니까?ㅈ자기가 돈을 많이 받던 적게 받던 자기 생활에 지장을 안줄만큼 적당한 선에서 소비하자는소비하자는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수라염제
    작성일
    14.11.20 13:24
    No. 14

    현재 한국은 사람들이 월급받는거에 비해 지출이 심한게 아니라 애시당초 최저임금변화랑 체감 물가 상승률이랑 비교해보면 한국의 경제수준에 비해서 월급수준이 비정상입니다
    그리고 제 경험상 백화점과 마트에서 일했던 경험에 비추어 보면 국민의 대부분 차지하는 중산층 이하 서민층들은 은거무인님이 생각하는것처럼 브랜드 명품같은거 신경도 못씁니다
    사실상 매출의 80프로 이상이 늘 사가는 부유층이 계속 사가는거죠
    일부 언론에서 친기엄 정책으로 인한 경제 실패와 빈부차이를 국민 과소비로 돌리려는 그런 기사를 여과 없이 받아들이시다니 씁슬합니다
    지금 이순간에도 등록금 때문에 하루에도 알바를 3~4개씩 하면서 편의점에서 삼각김밥으로 끼니를 때우는 20대들, 전세한칸 마련하려고 개인적인 여가는 다 포기하고 어떻게든 야근수당이라도 받아보려는 30대들, 자식들에게는 이런 빈궁한 처지를 물려주지 않으려고 교육비를 대기 위하여 투잡을 뛰거나 가사도우미로 지원하는 우리네 부모님들을 한번이라도 생각해보시길 부탁드립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11.20 13:41
    No. 15

    맞아요. 은거무인님의 혜안에 부랄을 톽 치고 갑니다.
    바로 그 점에서 다시 사유를 시작해봅시다.

    중소기업 다니는 쓰래기 벌래 새끼들은 명품 옷 같은 거 입으면 큰일 난다고 우리는 '생각해야만(must)' 합니다. 벌래들이 고품격 옷을 살 수 있다는 건 바로 옷 안에 들어있는 인간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걸 의미해버리거든요. 자본주의의 치명적인 맹점이죠. 세상에 인간이 서로 평등하다니... 젠장. 내가 그토록 열심히 노력해서 대기업 들어갔는데 어떻게 늬들이 나랑 평등해?

    하지만 옷 안에 들어 있는 인간은 분명 동등한 존재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아무나 그 옷을 마음껏 살 수 있는 건 결코 아니죠. 대기업 따위 들어간다고 그게 되지도 않아요. 그렇다고 중소기업 비정규직 따위가 그런 옷을 사는 건 더더욱 말도 안 되겠죠.
    아니, 그런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아야 됩니다. 모두의 평화를 위해 없기를 바라야 하고요. 왜냐하면 실질적으로 옷으로 인해 인간의 가치가 서로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죠.

    그런 두 가지 서로 모순되는 우리 현실의 믿음은 결코 충돌적이어선 안 됩니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서로 상반될 리가 있나요. 안 그래요? 자본주의는 곧 평등입니다! 자유입니다! 당연히 민주주의도 자본주의죠! (돈이 되니까 환유는 얼마든지 허용해줍시다.) 그러니 사람들 입장에선 가축들이 이렇게 생각하는 게 좋습니다! 기업의 상명하복 시스템은 일시적인 역할 현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그리고 옷은 옷에 불과하다는 것을요.

    아무리 장하준 교수가 재벌3세가 부디 영롱하시어 그들의 치세에 대한민국이 빛나게 해주소사 기도하자고 비꼬아도 봉건자본주의로 변질되어가고 있다 하더라도 민주적 정치 시스템은 우리에게 늘 두 가지 선택권을 줄 겁니다.
    부패한 민주당이냐 극우 보수당이냐. 한국엔 외설적인 대타자가 하나 더 있군요. 좌좀이라던가? 존재하지도 않는 공산주의와 외부집단을 미워하며 늘 그렇게 또 내 안의 모순을 넘겨버리고 말겠죠.

    그뿐인가요? 냉소주의의 가면을 쓴 체 스스로는 똑똑하다 자위하며 한국 사회엔 답이 없어를 외치겠죠. 그리고 전 그렇게 가축이 되는 겁니다. 당연히 가축 수준인 저는 결코 그 지점을 사유하지 않으려 들 것입니다. 곰을 만나서 호수물에 머리를 처박은 오리처럼 어떻게 하면 보이는 걸 보지 않으려고 애쓴다 그 말이죠.
    그러니 은거무인 같이 돈 많아 보이는 분 얘기하는 거아닙니다. 그런 분들은 그렇게 외치셔도 됩니다. 그게 가장 그 개인에게 이득이 클 테니까요. 다만 이건 가난하면서도 냉소적인 제 습관적 사유를 스스로 비판하는 거예요. 오해하지 마시길.

    * 그런데 사실 술마시고 유흥하는 건 부장님에게 끌려가는 건데... 조선 땅에 사는 하루살이 중 1인으로서 저도 술자리 따위 전혀 가고 싶지 않았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9 주판알
    작성일
    14.11.20 10:19
    No. 16

    많죠 한때 노페 유행타서 학생들 교복같이 입다가 이젠 캐나다구스로 많이들 넘어갔죠.ㅋ
    그 부모님들이 노페를 교복같이 입고 다니는건 함정.ㅋㅋㅋ
    옛날부터 애들 코묻은 돈은 불황이 없어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2 렉쩜
    작성일
    14.11.20 10:25
    No. 17

    등골브레이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1 지나가는2
    작성일
    14.11.20 11:29
    No. 18

    본문의
    "사실 울나라 사람들이 먹고 살기 힘들다라는거에 동의 못하겠습니다." 부분과
    "아뇨 제가 이글을 적은 이유는 월급은 적은데 소비하는 지출이 훨씬 많은 사람들한테 적은겁니다"를 보면 결국 한국 사람들이 대부분 분에 넘치는 소비를 하기 때문에 힘들게 산다는 이야기신데요, 동의하기 힘드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6 푸카
    작성일
    14.11.20 11:15
    No. 19

    돈많은 사람이 산 거를
    돈없는 거지들시 징징대면서도 저런 비싼 물품은 잘만 사는것 처럼 쓰셨네요. 주변에 그런 사람이 계신건가요 아니면 카더라로 그런 사람이 있다는 것을 들으신건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피리휘리
    작성일
    14.11.20 12:15
    No. 20

    디기 잘사시는갑네....먹고살기 힘들다는거 동의 못하겠다니....그런사람이 이런글은 왜 쓰는지 원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5 시우(始友)
    작성일
    14.11.20 12:18
    No. 21

    제가 부자면 이러고 있겠습니까ㅠㅠ 단지 울나라 사람들이 월급받는거에 비해 지출이 심해서 한소리 한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7 바람의공간
    작성일
    14.11.20 14:42
    No. 22

    위에도 댓글 달았듯이 언론의 기레기,교수,잘난 늠들의 훈계질 말장난, 더 등꼴 빼먹시 위한 조작 기사로 열심히 깨어 살아 가려는 사람을

    당신이 죄인 취급하며 글 썼다고요
    당신이 쓰레기 기사에 낚여 엄한 사람들에게 떵물 튀기고 있단 말입니다

    글쓴님 주변서 그옷 입은 사람 있어요?

    경제가 어렵다 배고프다 하니 불특정 다수가 돈 펑펑 써서 니들은 니들 잘못 결코 나는 아니지만 내 주변인이 잘못해 내가 못사는 거란
    사회를 이웃을 갈갈이 찢어 놓는
    북한의 5호 감시제처럼 주변인을 못 믿게 하려는 낚시기사에 님이 낚여 떵물 튀기고 있다고요

    낚시바늘 조심 하세요
    가진자는 못 가진 자들의 뭉침,친하게 지내는거 싫어하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슈크림빵이
    작성일
    14.11.20 13:46
    No. 23

    백화점에서 예전에 알바해본 경험으론 그냥 imf이후 중산층 90%가 망하고 10%가 부자가 되면서 오히려 부자층의 소비가 더 커졌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소비 수준은 엄청 낮습니다. 옛날 부지런히 저축하고 못쓰고 안쓴건 그럴수 있다고 치지만 구지 지금 시대에 그럴 필요가 있나요?
    그시절과 지금시절 생활 수준 자체가 달라 졌는데.
    돈 많이 못벌면 술먹으면 안되고 좋은옷 입으면 안되는거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flybird
    작성일
    14.11.20 14:58
    No. 24

    은수저 금수저 물고 태어나지 못한게 죄가 되어가고 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3 wnsdlwns..
    작성일
    14.11.20 15:28
    No. 25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나 저럽니다. 실제로 더 어려진건 사실이고 지난 10년 물가상승율과 임금상승율 비교만해도 알수 있는데... 위와 같이 주장하실거면 먹고살기 어려운 사람들이 백만원대 패딩을 사고 해외여행 간다는 자료를 가져와야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영점일
    작성일
    14.11.20 18:02
    No. 2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친구들은 알바해서 사던데요? 또는 부자인애들이 두세개씩사는데 뭔소리신지 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2 단단단단
    작성일
    14.11.20 23:28
    No. 27

    해외여행 가봣자 국내 여행 도는 것이랑 삐까삐까한 중국이나 동남아가 태반이던데 ㅎㅎ
    그리고 옷은 브랜드 옷이 오래가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8925 이성친구 결혼식 축가 이상한가요? +26 Lv.96 윤필담 14.11.22 3,259
218924 북큐브 쩌네요 ㅋㅋㅋ +14 Personacon 빡글러 14.11.22 3,206
218923 이런 자유 이용권 어때요? +5 Lv.99 itriplee 14.11.22 2,235
218922 1세대 판타지를 좋아하는 분들끼리 소모임 좀 만들었으면... +9 Lv.18 메틸아민 14.11.22 1,852
218921 아류. 짜증나요.. Personacon 그늘바람 14.11.22 1,678
218920 임용시험 쳤습니다 +10 Personacon Generali.. 14.11.22 1,602
218919 이번 문피아의 페이스북 좋아요 누르기가 앱에서 Personacon 적안왕 14.11.22 1,973
218918 작가와독자 모두가 윈윈할수 있는 만족도 시스템은 어떤가요 +15 Lv.9 분석가 14.11.22 2,022
218917 미생 출연자들은 거의 다 스타 되는 듯.. +3 Lv.24 약관준수 14.11.22 2,353
218916 와 요즘 유료가격가지고 장난아니네요.. +7 Lv.55 진찰주 14.11.22 2,054
218915 B급 작가는 없어요. +3 Lv.45 매일글쓰기 14.11.22 1,878
218914 대여료vs유료연재. +17 Lv.25 다이버스 14.11.22 2,438
218913 혹시 퓨리 보신 분 계신가요? +12 Lv.1 [탈퇴계정] 14.11.22 1,983
218912 백원씩 결제할땐 몰랐는데 +31 Lv.70 wanna.do 14.11.22 2,525
218911 인터넷을 오래 하며 느낀 건데.. +20 Lv.8 무한㉿ 14.11.22 1,467
218910 문피아 이벤트는 왜 이러나요 +23 Lv.28 로망스. 14.11.22 1,858
218909 이번 이벤트도 아쉬운 소리가 나올 듯... +15 Lv.18 나카브 14.11.22 1,489
218908 노트1,2 갤3쓰시는분들~ +1 Lv.99 fa****** 14.11.22 1,328
218907 한, 두질 출판하시고 잠수타시는 작가님들은... +12 Lv.25 시우(始友) 14.11.22 2,186
218906 한 소설쟁이가... +5 Lv.60 정주(丁柱) 14.11.22 1,336
218905 이상하게도 밉다고 하는 사람은 더 눈에 띄는거 같네요 +1 Lv.67 사랑해달곰 14.11.22 1,342
218904 초보 글쟁이들이 딱히 출판에 목을 안메였으면 합니다. +1 Lv.9 분석가 14.11.22 1,298
218903 디콘북에서 이벤트하네요. Lv.1 [탈퇴계정] 14.11.22 1,525
218902 100vs8000 책값논쟁 +24 Lv.9 분석가 14.11.22 1,996
218901 그런데 이거 닉네임 옆에 경험치랑 레벨은 무슨 수치로 ... +13 Lv.98 Emc 14.11.22 1,283
218900 자기의 성격이 불같고 표현이 미숙하다는 사람들에 대하여 Lv.98 Emc 14.11.22 1,203
218899 읽다보면 흠..... 하게 되는것들을 적어봅니다. +1 Lv.36 아칵 14.11.22 1,163
218898 지스타 다녀왔습니다. +9 Personacon 엔띠 14.11.21 1,751
218897 리니지 이터널 VS 로스트 아크 +8 Lv.41 바람의별 14.11.21 2,759
218896 연재글 댓글 란에 강제광고 삽입되어 있는 거 엄청 거슬... +3 Lv.22 양산형A 14.11.21 1,729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