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2

  • 작성자
    Lv.99 자의(子儀)
    작성일
    14.10.15 23:52
    No. 1

    전 배부른 돼지가 되고 싶습니다 ㅇㅅㅇ 요즘 세상에 배고픈 소크라테스 따위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것이죠 ㅇㅅㅇ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4.10.16 00:00
    No. 2

    우리나라에서 알아주는 부자들? 그 중 배부른 사람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이 배고파서 마법보다 더 말 안되는 마법을 부리는걸 보세요. 우리 눈엔 배불러보일지 언정 그들은 배고파 죽는다고 난리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자의(子儀)
    작성일
    14.10.16 00:05
    No. 3

    우, 우문현답이십니다 ㅇㅅㅇ+ 확실히 그러네요. 얼마나 배고프면 골목까지 기어들어가겠어요 ㅠ_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민태현
    작성일
    14.10.16 08:12
    No. 4

    난 그냥 사람할래....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4.10.16 08:55
    No. 5

    그.. 그러세요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별빛한조각
    작성일
    14.10.16 08:48
    No. 6

    도덕이 손발이 오그라들고 맘에 안든다니..
    욕망은 욕구고 도덕은 그 컨트롤이라고 생각하는데 하위에만 치중하면 사람꼴이 아니게 될텐데요.
    제한없는 욕망은 끝없는 광기가 아닐런지?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4.10.16 08:54
    No. 7

    저는 제한없는 욕망보다 문제는 무욕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도덕이 마음에 안든이유는 이상은 가르쳐도 혀실을 가르치지는 않아서 그랬던거 같습니다. 사람이 의지를 갖고 살수 있도록 가르쳐주지 않고 사상가나 이론만 가르쳐주잖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명마
    작성일
    14.10.16 10:58
    No. 8

    소크라테스의 저 말은 가난하게 살아도 정의를 지키라는 말이 아니었습니까? 돼지는 등따습고 배부르면 그만입니다. 욕망을 우선하죠. 반면 사람은 비록 가난하고, 무언가 결핍되더라도... 그럼에도 그것을 초월해서 추구해야 합니다. 그것은 정의일 수도, 도덕일 수도, 꿈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들을 추구하지 않는다면 사람과 동물의 차이점이 대체 무엇일까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4.10.16 11:09
    No. 9

    저는 그냥 다른 관점으로 해석을 했을 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명마
    작성일
    14.10.16 11:12
    No. 10

    ForDest님의 해석에 일리가 있다는 건 동의합니다. 다만 긍정적인 욕망이어야 하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2 7ㅏ
    작성일
    14.10.16 17:41
    No. 11

    원래 애매한 말들은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죠.
    무당들이 먹고 사는 핵심기술이기도 하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진찰주
    작성일
    14.10.17 00:51
    No. 12

    뭐든지 과유불급이라고 분명 욕구가 인생을 충실하게 만들지만 너무 심하게 되면 악마과 되게 만들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