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96 강림주의
작성
14.09.16 21:00
조회
1,108

“고려하다(Contemplate)만으로도 부족했던 것인지, 발코니(Balcony) 같은 단어도 쓰는데, 정말 구역질나기 그지 없다.”


발코니 같은 단어가 구역질이 든다니 이게 뭔 개소리냐 하실지도 모르겠는데, 실제로 1855년도에 미국 시인 사뮤엘 로저스가 한 말입니다. "as if contemplate were not bad enough, balcony makes me sick." 를 의역해봤습니다. 발코니 어원이 아마 외래어였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그런거죠.


<iframe>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MIT 메디아랩의 아버지이기도 한 이 인물이 밝힌 이야기가 하나 있습니다. 옛날에 자기 학생중 한명이 ‘Backseat Driver’라는 박사논문을 쓴 적이 있는데, 사실상 초기형 GPS나 다름 없었다고 합니다. 당시 GPS를 최초로 개발해내는데는 여러가지 어려운 문제점들이 산재해 있었는데 이 학생은 그것들을 훌륭하게 처리해서 멋들어진 논문을 써냈었지요. 그런데 정작 MIT 특허 사무실쪽으로 가져가보니 거기서 말하길, ‘특허 내지 말게. 위험부담이 너무 커서 절대 받아들여지지 못할거야.’ 라고 해서 연구 다 끝내놓은걸 정작 특허 안 냈다네요. 그 결과야 뭐 다들 잘 아시겠고요. 이제 거의 모든 차에는 GPS가 달려있고, 자동차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도 여러가지 목적으로 유용하게 써먹는 중입니다. ‘절대 받아들여지지 못할’ 아이디어가요. 그곳 말 듣고 특허 안 낸 사람만 뭐된겁니다.


his is a student of mine who had done a Ph.D. called "Backseat Driver." It was in the early days of GPS, the car knew where it was, and it would give audio instructions to the driver, when to turn right, when to turn left and so on. Turns out, there are a lot of things in those instructions that back in that period were pretty challenging, like what does it mean, take the next right? Well, if you're coming up on a street, the next right's probably the one after, and there are lots of issues, and the student did a wonderful thesis, and the MIT patent office said "Don't patent it. It'll never be accepted. The liabilities are too large. There will be insurance issues. Don't patent it." So we didn't, but it shows you how people, again, at times, don't really look at what's happening.


이게 원문. 니콜라스 니그로폰테는 몇가지 재밌는 이야기를 더 해줬었는데, 그중 하나를 또 얘기해보자면 70년대에 이미 터치 스크린을 개발했었답니다. 그런데 그러자 재밌게도 어떤 사람들은 왜 손가락으로 직접 스크린을 조작한다는게 멍청한 아이디어인지를 가지고 논문까지 냈는데, 그 이유랍시고 든게 뭐냐면 ‘손가락이 스크린에 자국을 남길테니까’. 이제 세계 곳곳에서 수억명이 넘는 사람들이 그 ‘멍청한 아이디어’를 매일마다 사용되고 있습니다.


and I pick fingers partly because everybody thought it was ridiculous. Papers were published about how stupid it was to use fingers. Three reasons: One was they were low-resolution. The other is your hand would occlude what you wanted to see, and the third, which was the winner, was that your fingers would get the screen dirty, and hence, fingers would never be a device that you'd use. And this was a device we built in the '70s, which has never even been picked up. It's not just touch sensitive, it's pressure sensitive.


원문.


이런 사례들을 더 얘기해보자면 정말 끝도 없습니다. 지금은 너무도 당연하고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들이 불과 수십년전까지만 해도 얼마나 보수적이고 멍청한 의견들에 폭격당했는지를 보면 보수성이라는게 참 우습다는 생각을 떨쳐내기가 힘듭니다. 전 개인적으로 문화탄압이라는 것이 저것과 하등의 차이도 없다고 생각됩니다. 당장, 제 부친과 모친부터가 어릴 때는 소설을 몰래 봐야만 했었답니다. 문학작품 그런 것들을요. 그런거 읽을 시간이 있으면 차라리 공부나 하라고 혼내서요. 영화도 처음 나왔을 때는 열등한 매체 취급을 받았고, 그 다음으로는 만화나 코믹스, 그리고 이젠 게임이 그 취급을 받고 있습니다. 지금 관점으로 보면 소설을 보지 말라고 하거나, 영화를 보지 말라고 탄압하거나, 발코니란 단어가 구역질난다고 생각하거나, GPS를 ‘절대 받아들여지지 못할 아이디어’라 한다거나, 터치 스크린을 ‘멍청한 아이디어’라 한다거나, 그런게 정말 우습게 느껴지지 않습니까. 전 앞으로 십수년만 더 흘러도 게임 역시 비슷한 처지일거라 생각합니다. 


Comment ' 5

  • 작성자
    Lv.99 itriplee
    작성일
    14.09.16 22:15
    No. 1

    gps나 터치스크린이 당시에 특허 등록이 됐어도, 당시 기술수준으로는 별 이익을 못 얻었을 것이고, 특허도 만료 됐겠죠. 그래서 사회가 젊은이들에게 기대하는게 그 무모함이죠. 기성세대들이 안될것 같다면 대부분 안되는 경우가 많은데, 간혹 가다 젊은이들의 무모함이 사회변혁을 일으키고 기술의 진보를 가져옵니다. 이건 인간세상이 끝날때까지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6 강림주의
    작성일
    14.09.16 22:22
    No. 2

    터치스크린이야 당연한거고, gps는 아닙니다. 터치스크린에서는 아예 특허 얘기가 없었는데 왜 거기서도 특허 얘기를 꺼내시는진 모르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itriplee
    작성일
    14.09.16 22:28
    No. 3

    터치스크린 첫 개발자가 특허를 냈을거라고 생각해서 한 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6 강림주의
    작성일
    14.09.16 22:34
    No. 4

    그리고 애초에 당장 수익을 낼 수 있는 기술만 기술인건 아닙니다. 꾸준히 연구하면서 발전시켜나가는거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3 괴인h
    작성일
    14.09.17 18:13
    No. 5

    한국의 폐해가 그거죠. 기술을 논하면 당장 돈이 되냐 마냐부터 따지는 거... 그러니 기초 기술 관련으로 후달린다는 소리가 맨날 나온다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7568 난 정말 아시아게임 하는 줄 몰랐네.. +6 Lv.24 약관준수 14.09.20 1,564
217567 안녕하세요, 정담지기입니다. +9 Personacon 정담지기 14.09.20 2,273
217566 천마군림, 어떠세요? 읽을 까요? 말까요? +8 Lv.76 카나리아 14.09.20 1,159
217565 늦여름 모기 +5 Lv.7 spiky 14.09.20 966
217564 '뿌리 깊은 나무' 세종을 회상하다. +3 Lv.72 雲漢 14.09.20 1,176
217563 속칭 문피아 앱에대한 고찰. +11 Lv.77 IlIIIIIl.. 14.09.19 1,535
217562 생체실험2 Personacon 엔띠 14.09.19 990
217561 별에서 온 그대 미국판? +3 Lv.99 자의(子儀) 14.09.19 1,469
217560 가까운(...) 시일에 문피아 이벤트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4 Personacon 적안왕 14.09.19 1,217
217559 작지만 큰 변환, 우측 상단의 통합검색 +3 Personacon 적안왕 14.09.19 1,198
217558 어그로 조심하세요.... +5 Lv.99 flybird 14.09.19 1,282
217557 아래 세월호 유가족..관련 글을 보고 +8 Personacon 니르바나 14.09.19 1,494
217556 우분투 속도 장난아니네요 +2 Lv.50 chonsa 14.09.19 1,230
217555 가끔 내가 식물이었으면 좋겠네요. Lv.31 회색물감 14.09.19 1,011
217554 유료연재 대단하네요. +12 Lv.41 백락白樂 14.09.19 1,900
217553 자유연재란의 얼라이브가 사라졌어요 ㅠ.ㅠ +6 Lv.44 똘망공자 14.09.19 1,828
217552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달콤한 음식 꽃게탕..ㅋㅋ +6 Lv.24 약관준수 14.09.19 1,163
217551 현실은 소설보다 더 잔혹하더라... +13 Lv.53 나범 14.09.19 1,475
217550 채팅방 오픈합니다! Lv.24 오준환 14.09.19 1,047
217549 문피아 화폐 중 링이 뭔지 드디어 알았네요. +5 Personacon 적안왕 14.09.19 2,840
217548 ‘G컵 파이터’ 나카이 린 UFC 입성…육덕 파워 과시? +6 Personacon 윈드윙 14.09.19 2,038
217547 내 생애 봄날 재밌네요.. ㅋㅋ Lv.24 약관준수 14.09.19 1,074
217546 그간의 노력으로 살이 찌기는 쪘는데... +3 Personacon 엔띠 14.09.19 957
217545 몽연님 어디가셨슴까 바하무트 올려주십셔 Lv.49 메덩메덩 14.09.18 852
217544 ‘조성원 후계자?’ 김지후, KCC 슈터 잔혹사 끝낼까 +4 Personacon 윈드윙 14.09.18 1,011
217543 집에서는 글이 안 적혀지고, 카페는 비싸다면 남은 선택... +10 Personacon 명마 14.09.18 995
217542 아무리 좋니 싫니 해도 결국 문피아밖에 없음 +7 Lv.20 형풍풍 14.09.18 1,402
217541 ‘달라진 악동’ 권아솔… 진정한 ‘권선정’될까 +2 Personacon 윈드윙 14.09.18 837
217540 소설 추천 좀 해주세요!! +3 Lv.30 민찬 14.09.18 1,050
217539 동원 예비군을 다녀왔습니다... +5 Lv.32 뒹굴보노 14.09.18 1,018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