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9

  • 작성자
    Personacon 엔띠
    작성일
    14.09.03 22:43
    No. 1

    부사관은 역할이 부대관리... 맞던가요.
    아무튼 그쪽이라, 하나 부대 내에서는 짬만큼 대우 받아도 타 부대는 가보기도 힘들어서 영향력은 적죠...
    부대 내 분위기는 거의 직속상관 계통의, 장교들이 주도하는 거라... 그러한 일을 부사관이 제어할 수 있는가는 잘 모르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0 고주진
    작성일
    14.09.03 23:20
    No. 2

    대학 2년 마치고 삼사관 학교 도전은 어떨런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맥심좋아
    작성일
    14.09.04 00:13
    No. 3

    군은 과거에도 그렇고 지금도 똑같습니다. 다만 과거에는 감추었고 지금은 조금씩 오픈되고 있다는 차이죠. 하지만 지금의 오픈도 아주 극소수입니다. 90년대 사고사례 규모가 대대급이였고 지금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즉제말은 과거나 지금어나 군의 사고나 군부의 태도는 변한게 없고 앞으로도 변할게 없으니 신경쓰시지 마시고 님이라도 다르게 하신다면 그게 언젠가는 신뢰받는 군의 밑거름이 될것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J군
    작성일
    14.09.04 00:54
    No. 4

    부사관은 그닥 추천드리기가 저 전역할때쯤 중사까지는 무조건 진급시켜줬지만 상사 될려면 인맥도 있어야 되고 돈도 있어야 되서(실제로 행보관이 현실을 말해줌) 중사하고 전역할때쯤 생각해서 미래준비도 해야되는데 말이죠.

    적어도 육사는 가서 지휘관이 되야 부대에 일어나는 사건사고에 관해서 약간은 쓸모가있지 왠만한 경우면 쓸모가 없어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1 정주(丁柱)
    작성일
    14.09.04 01:29
    No. 5

    아버지가 군대에 인맥이 있어야합니다.
    아니면 장기 힘듭니다.
    장기 하려면 특전사 갔다가 상사쯤 달고 다른 부대로 가는 전략을 많이 씁니다.
    특전사 힘듭니다.
    평생 직장으로 좋긴 하지만, 인맥이 갑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고병인
    작성일
    14.09.04 01:57
    No. 6

    저 같은 경우는 육군에서 해안소초에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저희 쪽 부대의 부사관들은 모두 장기가 쉽게 되는 편이기도 했습니다. 정말로 오래 있을 생각이면 GOP나 해안소초가 3~4년 고생하지만 조금 더 확실하다고 보여지는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피리휘리
    작성일
    14.09.04 03:30
    No. 7

    장기 되는 법 : 부사관으로 간다 장기 신청했다가 떨어진다. 전역한다. 다시 부사관으로 간다. 장기신청한다. 거의 90%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이상이 없다면 99%) 장기 할 수 있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1 정주(丁柱)
    작성일
    14.09.04 03:38
    No. 8

    저희 부대에 장기 신청 떨어져서
    특전사 지원한분 있었음 ㅎㅎ
    합격도 했고, 한 3개월 지나니 짬대우 해준다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9.04 14:05
    No. 9

    만 26세 이하만 부사관 지원이 가능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4 돌아옴
    작성일
    14.09.04 14:19
    No. 10

    엥 바뀌었나요? 만29세인가 만30세까지 아닌가요?
    제 동기중에 서른도 있었는데요?
    그리고 만26세라도 스무살에 갔으면 충분히 두번 가죠.
    스무살에 입대해서 24살에 전역하고 바로 입대하면 뭐 ㅋ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9.04 14:32
    No. 11

    만 30세 이하는 '장교+ 일반병'입니다.
    '부사관 재 입대'는 '만 26세 이하'의 제한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피리휘리
    작성일
    14.09.05 11:09
    No. 12

    부사관 전역후 재임용은 부사관 전역후 3년이내 에 신청하면 됩니다. 33세 에도 30세에 전역했다면 다시 재임용 가능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정주(丁柱)
    작성일
    14.09.04 03:39
    No. 13

    물론 최근 징집병이 감소하고 군대가 전문화 되어가는 추세이기 때문에 부사관을 지원하시겠다는 생각은 나쁘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좋은 선택이지만, 저보고 지금 하라면 못하죠ㅠ.ㅠ
    군대 또가라고요? ㄷㄷㄷ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9.04 14:10
    No. 14

    부사관과 장교를 고르라면 전 장교를 고르겠습니다.
    그것도 대학 2년 마치고 3사관 학교를 지원해서 장교임용되어서 장기지원서를 같이 넣겠습니다.
    그럼 적어도 군대 10년은 버틸수 있고, 소령진급되면 군생활 만 43세? 까지 할수 있죠.
    계급정년이 있어서, 각 계급별 근무할수 있는 나이제한이 있습니다.
    적어도 대령으로 진급하려면 상당한 공적을 세워야 합니다.


    부사관은 부하들을 단도리 잘해서 무사고1순위, 각종 표창장을 받아서 인사관리를 잘 해줘야 합니다.
    그러면 장기지원 잘 처리해주며, 사단내에서 진급심사를 하기에 쉽게 진급합니다.
    부사관은 사단인사처에서 세부심사로 정합니다. 육본에서는 각사단 부사관 진급인원'숫자'만 배정해줍니다.

    고로 연대인사과 사단인사과 등등 인사담당자와 자주 어울리면서 인사고과 관리를 잘해줘야 합니다.
    그럼 남들보다 1년이상 빠르게 상사진급하며, 3년이상 빠르게 원사진급합니다.


    부사관 보다는 장교를 추천합니다.
    월급과 퇴직금 그리고 전역후 진로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과일즙
    작성일
    14.09.04 17:16
    No. 15

    장기전환힘들어요... 진짜 빽있어야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9.04 17:33
    No. 16

    인사고과만 좋으면 됩니다.
    장기지원서를 올리면 부사관과 장교의 서류는 최종도착지가 달라집니다.

    부사관은 사단인사처에서 최종승인이 떨어지고, 이름만 육본에 통보됩니다.
    장교는 육본에 최종승인이 떨어지고, 육본에서 인사명령이 날아옵니다.


    빽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 과정을 잘 알고, 해당 인사고과에 장기자원으로서 스펙이나 활용+성장 가능성을 보고 장기 서류를 접수받습니다.

    추천서가 있다면 쉽게 장기승인이 되는 이유죠.
    연대장이나 사단장의 추천서가 한장 붙으면 대부분 장기신청은 그냥 승인됩니다.

    그 방법은 표창장을 잔득 쟁여 놓아서 [병적기록부, 군적부]에 기록하여, 우선순위에 올라 서야 하는 것이죠.

    연간 7점상점한계점이 있습니다.
    기억상이라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대장급 0.3점 연대장 0.5점 여단장 1점 사단장2점 군사령관3점 대장4점 국방부장관5점 순으로 대략 상점이 누적됩니다.
    이러한 개인 표창점수와 부대표창점수를 누적시켜두면 승진과 장기신청에 무척이나 쉽죠.

    경고나 감봉등 '징계내역이 있다'면 당연히 '승진과 장기신청의 장애물'로 꿈도 꾸지 말아야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7 OTL포젤
    작성일
    14.09.04 19:53
    No. 17

    현역 부사관으로서 부사관은 아닌거 같아요...
    장교를 추천.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7 OTL포젤
    작성일
    14.09.04 19:55
    No. 18

    윗분 말씀하신거처럼 근무중에도 장교와 부사관의 대우는 천지차이고
    전역 후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난 이 일에 다른 이들의 시선 아무것도 신경안쓰고 꾸준히 밀고나가야 하는게 있다!"
    이런거 아니면 대우받고 사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피리휘리
    작성일
    14.09.05 11:09
    No. 19

    3사관학교 추천합니다. 물론 육사 해사 공사 가실 수 있다면 그게 더 좋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