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33 가성비EX
작성
18.07.25 21:00
조회
467

서학.....천주교나 개신교를 근본이념으로 삼았다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요.

원나라를 거쳐 들어온 전도사에 의해 개종을 했었다던가.

정도전 등의 인사들도 서학을 깊게 공부하기도 하고 하는 식으로....

프레스터 존의 나라가 에티오피아라는 주장이 삭제되고 조선이 프레스터 존의 나라로 등극....? 한다던가.

스페인 등의 유럽국가와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조선 초기부터 해양으로 뻗어나가서 필리핀이나 대만은 물론 호주에 신대륙까지 발을 뻗는 대제국을 건설하기도 한다던가.......

흠. 이런 내용으로 쓰여진 대체역사 소설은 없으려나요.ㄷ


Comment ' 9

  •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일
    18.07.25 21:09
    No. 1

    왕 못 되었죠.
    권문세가와 그 밑에 기생하는 배 갈아탄 사대부들이 잘먹고 잘사는 거 보고 배알 꼴려서 들고 일어난건데요.
    이건 여담인데 고려중기때 무인시대의 첫장을 연 이의방 동생이 핏줄이 이성계입니다.
    전주에서 몰락한 호족으로 몇대 살다가 이대로는 길이 안보여서 오지인 동북으로 모든 가세를 이끌고 갔어요. 그게 태조 이성계의 증조 할아버지시고, 온갖 고생하다가 겨우 터전을 잡고 몽고에서 천인장 벼슬을 따서 세를 확장했죠.
    그러다가 이성계 아빠가 몽고가 맛이가기 시작하니까는 공민왕에게 충성 맹세를 한거고. 단독세력으로 최대 정예 기마병을 바탕으로 이성계가 으샤으샤 해서 사대부와 의리의리 하여 나라를 먹었죠.
    이의방이 권력을 잠깐 잡아 암살 당하고, 세자비였던 이의방에 딸도 폐비가 되어 결국 역적으로 죽었죠. 그래서 초에 고려에서는 빛을 볼 수 있는 가문이 아니었죠.
    이 가문의 태생을 잘 알고 있던 정도전은 이성계에게 올인한거죠. 물론 이성계가 가진 능력과 인품.그리고 몇대를 걸쳐 가문에 충성하는 정예병력도 고려 대상이었죠. 그래서 고려가 망함.

    찬성: 7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일
    18.07.25 21:10
    No. 2

    몽고에서 천인장으로 지낸 것은 이성계 할아버지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5 초아재
    작성일
    18.07.25 21:39
    No. 3

    후대 성리학, 아니 성서학자들이 이기이원론, 아니 삼위일체론의 진위를 두고 싸우고 있겠지요.(먼산)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75 그냥가보자
    작성일
    18.07.25 22:08
    No. 4

    이슬람화 될 수...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6 잠마니
    작성일
    18.07.26 01:42
    No. 5

    유교나 불교와 결합되어 다른 방식으로 튀지 않았을까 합니다. 유교에서도 신은 아니지만 하늘을 섬긴다는 사상은 존재하고 불교는 한 차례 결합된 흔적이 있습니다. 통일신라 때의 유적인 마리아상을 보면 이미 그 때에 기독교가 들어왔었고 불교와 합쳐져서 지금은 흔적이 잘 안 보인다고 하더군요. 근데 불교가 변질되면서 망한 국가 2개를 보면 또 불교를 택할 것 같진 않고 결국 남는 것은 유교겠죠. 근데 유교의 사천(하늘을 모심)사상도 자세히 들어가면 천주교의 신과는 많이 다릅니다.
    기독교의 신은 인간 외부에 있는 존재가 천지를 창조하고 감시를 하지만 유교의 하늘은 인간 내부에 있어 선을 향하도록 이끄는 존재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동양의 이런 사상이 서학과 대두되며 진화한 형태가 동학의 시주천 내지 인내천이고요.
    인간관도 둘은 매우 다른데 기독교는 성악설에 가깝습니다. 원죄 등을 언급하며 신을 믿어야 죄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하죠(사실 이 부분도 깊게 들어가면 지옥이라는 개념이 기독교에서는 부정할 수 밖에 없는 개념입니다만... 쓰면 넘 길어질거 같군요). 반면 유교는 철저하게 성선설을 주장합니다. 민본주의를 지향하는 이유지요. 인간은 기본적으로 선하지만 재물등에 가려지다보니 불선을 행한다는 주장입니다(불선과 악은 동일한 개념이 아닌데 얇게만 이해한다면 악을 행한다고 이해하시는게 빠를듯 합니다).
    결국 정도전 등의 초기 학자들이 서학을 깔고 간다면 기존에 뿌리박혀 있던 개념들과의 모순을 극복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모순을 해결하는 방법은 여럿이라 개인적으로 하나만 생각해보면 결국 유교에서 나오는 상제 개념을 기독교의 신과 동일시하며 전개하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이것을 정약용이 했다는 주장이 있는데 또 들어가면 정약용은 철저한 유학자입니다). '상제가 천지를 창조하여 특별히 아낀 인간속에 깃드셨으니 인간이 해야할 것은 상제를 상기하여 선을 행하는 것이다' 정도...로 생각해봅니다. 어쨌든 서학을 받아들이면 서양과의 교류에대한 저항감도 완화될거고 서양의 문명발전에 좀 더 민감해졌으려나요? 단점은 변질되기 시작하면 1인독재가 시작할수 있다는 점...? 어렵네요 ㅋㅋㅋ

    찬성: 0 | 반대: 3

  • 작성자
    Lv.99 sunwh196..
    작성일
    18.07.26 06:54
    No. 6

    택도 없는 소리죠.우선 14세기 말엔 개신교가 등장 하지않았고 이성계가 카톨릭에 전도 되었다 한들 개인의 믿음이지 국가 전체로 퍼져 나가지 못 했을겁니다. 일본 같으면 몰라도 대륙과 연결되어 있는 조선은 중국의 눈치를 보기 때문에 개인 적인 신앙에 머물거라고 봅니다. 설사 기독교 국가가 된들 백인 놈들이 어떤 놈 들인데 맞상대를 해주겠읍니까. 식민지로 냉큼 잡아 먹고 저들 종교의 우수성이나 자랑하겠지요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8.07.26 11:09
    No. 7

    조선이 건국될 무렵에는 이미 만주를 호령하던 고구려의 위상은 온데간데 없고 작은 땅덩어리 안에서 아둥바둥 할 때 아니겠습니까. 돌려 말하자면 중국의 영향력이 크던 시기에 중국에서 발원된 학문이나 사상이 아닌 서구의 종교나 이념이 들어와 국가이념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봐야겠죠.

    서구사회의 역사를 보면 그리스 로마의 문화가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고 받았고, 개중 일부 나라가 한때 흥한다면 그 역시 밑바탕은 그리스 로마 문화권의 영향하에 융성하고 그런거였다고 봐야 합니다. 아주 뿌리가 깊다고 볼 수 있죠.

    신진사대부가 갑자기 뜬금없이 성리학을 내세운게 아니라 그 이전의 과정들이 있었다는 것이고요.

    또한 기독교 즉 천주교과 개신교를 합해 기독교라 하는데, 이 기독교의 유일신 아래 만인이 평등하다는 생각이 동양에선 소수라면 몰라도 많은 이들이 받아들이게 되면 지배층에선 거의 역천으로 받아들여질 공산이 큽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가 서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정도.여행 프로 보면 그런걸 조금씩은 느끼겠지만... 고작 그 정도가 아닙니다. 아무 매우 어마무시하게 뿌리깊은 영향을 주었구요. 서구 역사상 일어난 많은 역사적 사건들의 뿌리 역시 기독교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암튼, 우리나라에선 사실상 불가능....건국할 때의 지배 이념과도 맞지 않고요.

    찬성: 2 | 반대: 0

  • 작성자
    Lv.57 로코코
    작성일
    18.07.26 12:15
    No. 8

    우리 나라도 유교가 갑자기들어온게 아닌 삼국시대부터 있어왔었고 그것이 서서히 상류층의 주류가 되자 왕이 그걸 명분으로 삼은거죠 불교도 삼국시대 초에 들어와 주류가 되자 왕이 쓴거 따라서 천주교 쓰려면 상류층의 지지세력이 있어야 되는데 그런거 없이 하면 뻔하죠 다 죽는것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99 북극오로라
    작성일
    18.07.26 22:22
    No. 9

    유학에 들어와서 유교가 됐죠. 괴력난신을 믿지않는 유자는 무슨.. 자기 스스로 종교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0355 글을 보다보면 +4 Lv.75 그냥가보자 18.07.28 471
240354 소비자가 기업의 관점을 대변해주다니 +11 Lv.60 카힌 18.07.28 632
240353 유료후 연중 열 받지요. +6 Lv.52 라토르 18.07.28 484
240352 와 ~~ 비가 +8 Lv.61 손님온다 18.07.28 386
240351 유료후 연중하시는 분들 +9 Lv.54 찌노 18.07.28 784
240350 대하나 꽃게 찌개는 애호박을 넣어서 딸짝찌근하게 끓여서.. +2 Lv.24 약관준수 18.07.28 264
240349 헛소리 좀 하겠습니다. +9 Lv.65 편곤 18.07.28 593
240348 가끔씩 좀 다른 댓글들이 보이네요 +2 Lv.64 Ryuche 18.07.28 428
240347 카드가 어디 있는지 모르겠네요. +6 Personacon 적안왕 18.07.28 260
240346 올해 달력, 8월7일에 '입추'라고 쓰여 있더군요. 맞는 거... +6 Lv.26 온필수 18.07.27 302
240345 집에 그릇이 +6 Lv.75 그냥가보자 18.07.27 299
240344 대여권? +7 Lv.47 내일은 18.07.27 347
240343 날이 더워서 내가 미친 짓을. +7 Lv.52 사마택 18.07.27 457
240342 중복인 오늘 제가 요즘 즐겨읽는 작품 5 작품... +5 Lv.4 ba******.. 18.07.27 509
240341 남성은 짧은 반바지 안됩니까? +17 Lv.60 카힌 18.07.27 512
240340 밤 중에 들리는 소리 +4 Lv.75 그냥가보자 18.07.27 298
240339 (잡담) 월급이다아아! +7 Lv.16 조상우 18.07.27 354
240338 도대체 왜 과거 결제글을 볼때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가? +4 Lv.99 잉돌 18.07.27 439
240337 문피아앱 선호작에서 로딩 너무하네요. +1 Lv.99 투덜곰 18.07.26 299
240336 게임 속 전지적 중간보스 시점 +26 Lv.16 프리바 18.07.26 492
240335 운전 하다 식겁 했네요 +8 Lv.75 그냥가보자 18.07.26 476
240334 한 사람을 떠나보낸다는게 이렇게 힘들군요 +4 Lv.60 카힌 18.07.26 660
240333 문피아 사이트가 이상한가? +4 Personacon 水流花開 18.07.26 655
240332 프로듀스 관련 작품들이 어떤게 있나요? +7 Lv.26 충잘 18.07.26 331
240331 출판사랑 계약했네요 ^^// +9 Lv.22 우주수 18.07.25 737
240330 여름에 살빼기 +3 Lv.74 선비홍빈 18.07.25 355
240329 이야기의 의외성. +19 Lv.52 사마택 18.07.25 516
» 만약 이성계가 조선의 근본이념으로 유교가 아니라 +9 Lv.33 가성비EX 18.07.25 468
240327 날도 더운데 정말 참을 수가 없던 거야 난. 우카 상담원 ... +4 Lv.52 사마택 18.07.25 336
240326 작가 정보 관리하는 사이트가 있나요 +1 Lv.68 장과장02 18.07.25 357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