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요새 작품들 문체를 보면

작성자
Lv.90 zw******..
작성
18.07.13 12:04
조회
657

명사로 끝나는 문장을 자주 활용하는 것 같습니다.

‘그것은 너무나도 눈부신 한 줄기의 빛’

이런 식으로 말이죠.

저는 이런 식의 문장을 볼 때마다 읽기가 거북해지더군요.

글에서 한 두 번 정도 사용하는 거야 강조를 위해서 그렇다고 생각하지만,

이런 문장이 시도 때도 없이 나오면 전 거기서 읽는 걸 포기하게 됩니다.

왜 이런 식의 스타일이 점점 유행하게 되는 걸까요.

전 이런 문장을 볼 때마다 한국어를 읽고 있는건지

한국어의 탈을 쓴 일본어를 읽고 있는 건지 헷갈립니다.


Comment ' 18

  • 작성자
    Lv.61 왱알이
    작성일
    18.07.13 18:17
    No. 1

    문장은 '~다.'로 끝나는 게 자연스러운데 요즘 사람들은 그렇지 않나봅니다. 가끔 댓글 보면 '작가님 문장은 왜 항상 다 이다로 끝나나요? 초등학생 일기 같네요.'하는 뉘앙스의 댓글이 상당수 보이더라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0 zw******..
    작성일
    18.07.13 19:42
    No. 2

    저로썬 한국어 문장이 ‘다’로 안 끝나면 뭘로 끝나야 하나 싶은데 말이죠.

    찬성: 4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2 세돌스리가
    작성일
    18.07.13 20:11
    No. 3

    요.

    뭐...캐릭터마다 달리 끝내도 된다고봐요

    찬성: 0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90 zw******..
    작성일
    18.07.13 22:22
    No. 4

    대화문에선 비문을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말할 때 일일히 문법 따지진 않으니까요.
    다만 서술하는 문장에서도 그런 표현을 자꾸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가을선
    작성일
    18.07.13 18:21
    No. 5

    한본어?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0 zw******..
    작성일
    18.07.13 19:43
    No. 6

    예, 그렇게 부르는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타타르
    작성일
    18.07.13 20:55
    No. 7

    에요 어미체도 라노벨에서나 쓰는 줄 알았더니...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0 zw******..
    작성일
    18.07.13 22:24
    No. 8

    라노벨이 끼친 영향도 분명 있지 않나 싶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7 라온해
    작성일
    18.07.13 23:56
    No. 9

    너무 문장호흡이 짧으면 다로 끝나는게 갑자기 의식되서 거슬릴 수 있는데 그렇지 않은 글에서도 다로 끝나는 거 지적하는 경우도 있더군요;; 그 분늘이 바라는 글은 어떻게 써야하는지..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0 zw******..
    작성일
    18.07.14 08:55
    No. 10

    사람마다 취향이 다를 순 있습니다. 하지만 문장호흡이 긴 글에서 다로 끝나는 게 이상하다... 그 분들이 생각하는 올바른 문장이란 게 어떤 건지 묻고 싶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5 연람
    작성일
    18.07.14 06:38
    No. 11

    적절하게 쓰면 글의 빛이 발하는 작법이지만, 반대로 쓸 곳 안 쓸곳 구분못하면서 남발하면 그런 식으로 거북하게 느껴지더군요. 무조건 명사로만 끝내면 만사인 줄 알더라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0 zw******..
    작성일
    18.07.14 08:52
    No. 12

    이상한 점은 그런 방식을 쓰는 작가 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런 방식이 편하게 느껴지시는 건지 궁금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5 연람
    작성일
    18.07.14 17:19
    No. 13

    꼭 그런 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런 작법 쓰시는 분들은 필력이 부족하신 분들입니다. 인기있는 작품들 중에 유독 그런 작품들이 많아서 차용하고 있는 것이죠. 비슷한 예로 영어작법 방식도 들 수 있겠네요.
    예를 들면 이런 부분입니다.

    난 밥을 먹기 싫다. 배가 고프지 않아서.

    우리나라 작법으로는

    난 배가 고프지 않아서 밥을 먹기 싫다.

    라고 써야 바른 표현이죠. 영어에서는 that 과 같은 접속사를 활용하여 뒤에 수식하고자 하는 말이 들어가게 때문에 저런 식으로 쓰입니다.
    그런데 이런 작법이 유행하는 이유가 단순히 영어작법의 영향 때문만은 아닙니다.
    웹소설에서는 단문의 글이 긴장감 유발과 가독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긴 장문글을 나누다 보면 저런 식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 원인이 아닐까 합니다. 또한 영어작법식으로 작문을 하면 뒷문장이 앞문장을 수식하는 것이기에 '강조'를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됩니다.
    단어로 문장을 마치는 것도 그것과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가독성 향상과 강조를 위한 표현방식.
    아마 긴 문장에서는 단어로 문장을 마무리 하는 경우는 보기 드물었을 겁니다. 대체로 단문의 글에서 단어를 이용한 문장 마침이 자주 쓰이는 것을 보셨겠죠.
    그런데 잘 보시면 자신의 필력에 자신이 있는 작가들은 이러한 작법을 잘 쓰지 않습니다. 문장마무리는 거의 다 종결 어미를 활용하죠.
    영어식 표현도 잘 안쓰고요.
    남발하는 작가들은 그걸 구분할 줄 몰라 감각대로만 쓰기 때문에, 또한 인기있는 글들이 그런 작법을 쓰니까 가독성에 장점이 있나 하는 생각에 따라 쓰는 것이겠죠. 아니면 어휘력이 나 필력이 부족해서 반복되는 종결 어미로 글의 늘어짐을 막으려고 그런 것이던가.
    이러든 저러든 남발해도 가독성이 오른다고 착각하는 작가들이 구분 못해서 필요이상으로 갖다 쓰는게 문제가 되는 것은 변함없겠죠.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0 zw******..
    작성일
    18.07.14 18:42
    No. 14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첫 번째 예는 확실히 영어 유래라고 느껴집니다. 두 번째 예로 들어주신 명사 종결 형식은 제가 일본어 전공자라서 그런지 몰라도 일본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서술 + 명사 형식에 더 가깝다고 느껴지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 으갹당
    작성일
    18.07.14 18:07
    No. 15

    뭐든지 적당히가 좋은 것 같아요.
    묘사하는 글귀에서 가끔 저러는 거야 그렇다하고 넘어 갈 수 있겠지만
    시도때도 없이 저런다면 ㅡㅡ;;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0 zw******..
    작성일
    18.07.14 18:43
    No. 16

    그 적당히가 어려운 거겠죠. 몇몇 작가 분은 확실히 과다할 정도로 쓰신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심해관광
    작성일
    18.07.15 07:16
    No. 17

    장르문학을 천시하는 데는, 한글로 쓰인 일본어표현들 때문일지도 모르겠네요.
    장르 소설 초창기-하이텔 시절- 가장 많이 읽은 소설이 '로도스 섬 전기'라서 였고, 이후로 마구잡이로 번역되어 들어 온 소설들 덕분에 일본어 문장 표현이 심각하게 확산된게 아닌가 합니다.

    90년대 장르 소설 갈무리해둔 게 있는데, 얼마전에 다시보니 심각하긴 하더군요.....
    그렇게 쓰인글로 배워서 그렇게 쓰게 되었다 랄까요???

    지나치게 많은 수식어는 독자를 피곤하게만드니.......

    글은 읽기 싀운 게 최고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0 zw******..
    작성일
    18.07.15 15:52
    No. 18

    장르문학 천시와 순문학 중시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비롯되긴 했죠.
    로도스 섬 전기... 오랫만에 듣는 이름이군요.
    이 소설 덕에 오랫동안 엘프에 대한 선입견이 생겼었죠.
    말씀 대로 읽기 쉬운 글이 좋은 글이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0182 주말밤 외로운이들을위해 추천하는 작품들 +3 Lv.99 은빛821 18.07.14 462
240181 연재 중단 내용 삭제 후 재 연대에 대해서 +1 Lv.89 레리스 18.07.14 473
240180 주말에 추천해드리는 애니작품 +10 Lv.99 은빛821 18.07.14 632
240179 댓글 +4 Lv.75 그냥가보자 18.07.14 403
240178 문피아앱에서 컨텐츠 구매내역 +2 Lv.99 우키히 18.07.14 383
240177 과거 결제 글을 읽어볼까 했는데 +8 Lv.60 魔羅 18.07.13 429
240176 간단한 술안주... 오징어 무침. +4 Lv.24 약관준수 18.07.13 299
240175 영어는 정말 별개의 뜻인데 하나의 단어인 경우가 많나요? +14 Personacon NaNunDa 18.07.13 437
240174 김치 사발면은 거의 완벽한 음식. +13 Lv.24 약관준수 18.07.13 533
240173 작품 보다가 우울할 때 +1 Lv.75 그냥가보자 18.07.13 374
» 요새 작품들 문체를 보면 +18 Lv.90 zw******.. 18.07.13 658
240171 나혼자 톱스타 구매 한것 환불은 되나요? +3 Lv.99 얀사랑 18.07.13 658
240170 앞으로 30년 후면 우리모두 대기업 하청업자들?? +5 Lv.68 죽력고 18.07.13 513
240169 우와 우와 우와 +6 Lv.75 그냥가보자 18.07.13 656
240168 여러분 큰일입니다. +2 Lv.76 수란도 18.07.13 539
240167 읽을게 없나 추천란에 갔는데 +6 Lv.75 그냥가보자 18.07.12 558
240166 솔직히 이해 안 가는 댓글들이 있어요. +7 Lv.75 그냥가보자 18.07.12 606
240165 작가님들 +10 Lv.88 드토리 18.07.12 802
240164 착한 대체역사나 영지물 추천해주세요~ +5 Lv.38 Altair0 18.07.12 456
240163 냉장고에서 꺼내 먹은 우유 +17 Lv.75 그냥가보자 18.07.12 418
240162 대체역사 제목좀 알려 주세요. +3 Lv.99 won원won 18.07.12 320
240161 무료하네요… +6 Lv.49 메타포라 18.07.12 366
240160 근래 'KW북스'의 소설들에 보이는 후기들 +4 Lv.5 dd68923 18.07.12 820
240159 공기청정기 살려고 하는데 이 제품들 어떤가요? +5 Personacon 그늘바람 18.07.12 419
240158 대마법사를 넘어 대현자가 되어가는 중 +11 Personacon 백수77 18.07.12 509
240157 바이블이라는 게 장르판에도 존재하는군요 +7 Lv.35 메가마우스 18.07.12 653
240156 배고파. +5 Lv.52 사마택 18.07.11 393
240155 두 체급 석권한 UFC 챔피언 코미어, 기대 이하였던 은가누 Personacon 윈드윙 18.07.11 265
240154 워마드 자폭했네요. +6 Lv.99 zacks 18.07.11 868
240153 표절하는 작가도 문제겠지만. 출판사도 문제아닐까요 ??? +2 Lv.67 검은돛배 18.07.11 60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